블록체인 뉴스 모니터링 ( 18.2.21 (수) )

in #decenter6 years ago

정리 : 디센터 (Decenter.kr)

1.국내소식
[디센터] 최흥식 금감원장 "당국 눈치보지 말고 암호화폐 계좌 만들도록 독려“
http://decenter.kr/NewsView/1RVS0FFJVU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이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 시중은행이 신규 계좌 개설에 머뭇거리고 있는 데 대해 “당국 눈치 보지 않고 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의 한 음식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국민·하나은행은 (암호화폐 거래실명제) 시스템을 다 구축해 놓고도 (신규 계좌 개설 등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뉴스 1] '힘빠진' 거래실명제?…암호화폐 투자자 여전히 300만명
http://news1.kr/articles/?3239963
--

[서울경제][본지 주최 아시아 핀테크포럼] “애플 뛰어넘는 블록체인 기업 나오게 정부가 도와야”
http://www.sedaily.com/NewsView/1RVS1QHC6X
정부가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투기를 우려해 암호화폐를 통한 자금조달 방식인 코인공개(ICO)를 전면 금지한 데 대해 아마존과 애플·페이스북에 버금가는 블록체인 기반의 글로벌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ICO 규제가 풀려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헨리 킴 대표는 “싱가포르 정부는 ICO 진행 업체에 기술백서 제출을 요구하면서 가만히 앉아서 전 세계 블록체인 기술정보를 빠르게 수집하고 있다”며 “싱가포르에 최소 자본도 남겨 둬야 하고 현지 인력도 고용하도록 해 거둬들이는 이득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가상화폐 제도정비 늦으면 中 거래소에 안방 내준다’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
“서두르지 않으면 중국계 거래소 업체가 국내 시장을 장악할 수도 있다” 가상화폐(암호화폐) 관련 법률과 제도 정비를 서두르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지는 수준을 넘어 해외 세력에 주도권을 완전히 내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화폐로서의 가치 여부를 따질 때는 이미 지났고, 이제 현실 세계에서 빠르게 자리잡고 있는만큼 한시 빨리 법적 정의를 마치고 제도권 안으로 가상화폐를 편입시켜야 한다는 주장이다.

[노컷뉴스] BPA, 부산항에 블록체인 구축키로
http://www.nocutnews.co.kr/news/4927142
부산항만공사(BPA)가 블록체인(Block chain)기술을 항만물류에 구축하는 시범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BPA는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범사업으로 추진하는 블록체인(Block chain)기술 시범사업과제에 응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BPA는 이 사업을 추진할 경우 선사와 운송사,그리고 터미널운영사(TOC) 등 민간의 여러 물류주체의 정보공유를 통한 새로운 맞춤형 서비스 발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해외소식
[디센터] [글로벌 인사이드-막 오른 암호화폐 국가발행]디지털 金? 쓰레기코인?...베네수엘라 '페트로' 어디로
http://decenter.kr/NewsView/1RVS1R8BJ9
베네수엘라 정부가 20일(현지시간)부터 세계 최초로 자국 원유자원에 기반을 둔 정부주도 암호화폐 ‘페트로(Petro)’ 사전판매(pre-sale)에 나선다. 미국의 경제제재를 이겨내야 하는 절박한 처지인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이 꺼낸 카드가 베네수엘라를 비롯한 자원부국들의 자본조달을 위한 묘수가 될지, 글로벌 암호화폐 열풍에 편승한 ‘쓰레기코인(shitcoin)’으로 남게 될지 주목된다.

[이데일리] 페이팔 CFO '비트코인, 주요 결제수단 될 가능성 매우 높다'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
비트코인이 미래에 주요한 지급결제 수단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세계 최대 온라인 전자결제서비스업체인 페이팔(Paypal)의 고위 임원이 인정했다. 존 레인니(사진) 페이팔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페이팔은 이미 지난 2015년에 브레인트리라는 플랫폼을 통해 비트코인을 받아들이는 동시에 입점업체들에게도 비트코인으로 결제하는 것을 허용했던 최초의 기업들 가운데 하나”라고 언급하면서 비트코인의 지급결제 기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디센터] 이스라엘 조세당국 "암호화폐에 부가세·소득세 부과하겠다“
http://decenter.kr/NewsView/1RVS07NYOX
이스라엘 정부가 암호화폐 관련 양도 소득세와 부가가치세의 과세 방안에 대한 입장을 세부적으로 발표했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는 이스라엘 조세 당국이 19일(현지시간) 암호화폐를 ‘화폐’가 아닌 ‘자산’으로 간주, 과세 대상에 포함키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2013년부터 암호화폐 과세 문제를 조사해왔다. 이번 발표는 지난 1월 조세당국이 발표한 과세 관련 문건 초안에 뒤따른 것으로 과세 대상과 세율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아주경제] 가상화폐 범죄 기승...국제사회 규제 한 목소리
http://www.ajunews.com/view/20180220103318048
가상화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국과 캐나다, 영국 등 전 세계에서 가상화폐 보유자를 노린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국제사회의 규제 움직임도 탄력을 받고 있다. 뉴욕타임스(NYT)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지난달 태국 푸껫에서는 납치범들이 러시아 남성을 감금한 뒤 10만 달러어치의 비트코인을 요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사
[IT조선] 가상화폐 보유자, 미·영·러 등 국가서 범죄 표적돼
http://it.chosun.com/news/article.html?no=2847070
 
 
3.인터뷰
[아시아타임즈] 공기업 퇴사후 '가상화폐 전문가'로 변신… 박대호 발상의전환 대표
http://www.asiatim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8606
최근 암호화폐 전문가로 입소문을 타고 있는 박대호 ㈜발상의전환 대표가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박 대표는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공기업에 다니다 암호화폐 투자자들을 위한 컨설팅 업체를 차린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지난 2016년 한국가스공사에 입사해 신입사원 최초로 업계에 블록체인 시스템 도입을 제안해 화제를 모았고, 암호화폐 투자를 시작한 이후에는 블로그에서 '시세리딩'을 통해 인지도를 쌓은 뒤 최근에는 법인 '발상의전환'을 설립해 암호화폐 실전 투자 기업 강의를 하고 있다. 게다가 그는 자신의 이력을 살려 공기업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무료 컨설팅 등 재능기부도 하고 있다. 자신의 이전 재능과 현재 재능을 모두 남을 돕는데 사용하고 있는 박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시사저널] 진대제 “기술은 시속 100㎞로 발전하는데, 정책은 10㎞”
http://www.sisajournal.com/journal/article/173802
최근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이 블록체인 생태계에 합류하면서 이 업계를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각도 일부 바뀐 것이 사실이다. 진 전 장관은 암호화폐 거래소 및 개발업체 등 60개가 넘는 관련 회사들이 모여 1월26일 창립한 한국블록체인협회 초대회장으로 추대됐다. 시사저널은 진대제 한국블록체인협회 회장이 왜 이 자리를 맡았고, 앞으로의 포부는 무엇인지 들어봤다.
 
 
4.리포트
[중앙일보] 2030, 왜 블록체인과 ICO에 열광하나
http://news.joins.com/article/22382522
지난달 2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한 컨벤션홀. 소프트웨어 개발자ㆍ디자이너ㆍ기획자 등 100여 명이 모인 이곳에선 세미나가 한창이었다. 싱가포르의 유명 블록체인 재단 ‘카이버 네트워크’와 국내외 5개 블록체인 기업들이 무대에 올라 각자 개발 중인 프로젝트를 소개했다. 주로 20~30대인 이들은 파티 같은 분위기에서 자유롭게 묻고 토론했다. 카이버 네트워크의 로이 루 대표는 “한국에 올 때마다 블록체인 분야에 뛰어드는 개발자들이 빠르게 늘고 있는 걸 느낀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좋은 기술 개발하면 '옆집' 가서 토론하고…서로 자극받아 '딥러닝’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

  1. 지난 7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에 있는 ZGC 이노베이션 센터에 서른여명이 모였다. ‘핀테크 내 블록체인, 암호화폐(가상화폐), ICO(암호화폐공개), M&A(인수합병) 트렌드’를 듣기 위해서였다. 강연이 끝나자 암호화폐의 미래, ICO 전망, 블록체인의 보안성 등 질문이 쏟아졌다. 한 창업가는 준비 중인 자신의 블록체인 관련 스타트업을 소개하기도 했다. ZGC센터 관계자인 지아위 루는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크다보니 신청자도 더 많았고 토론도 활발했다”고 했다.

*관련기사
[이데일리] 중국의 실리콘밸리 선전…'범죄 빼고 다해봐’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
--

[오마이뉴스] 카지노에서 칩 대신 암호화폐를 사용한다면?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암호화폐가 화폐로 기능할 가능성을 쓴다더니 겨우 카지노냐? 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세계의 카지노 산업 규모의 합은 이미 웬만한 국가 하나의 경제 규모를 넘어선다고 추측할수 있다. 세세한 통계자료도 필요 없다. 카지노로 먹고 산다고 할만한 세계의 도시들, 라스베이거스, 마카오, 정선, 마닐라 등의 도시로 가상의 국가를 형성한다고 생각해 보면 어지간한 개발 도상국 하나보다 경제 규모가 더 클 것이라는 추측은 쉽게 할수 있다.

*관련기사
[오마이뉴스] '스팀잇'이 보여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가치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
--

[중앙일보] 순식간에 9000억원 모은 텔레그램…'주주 자본주의' 가고 '코인 자본주의' 오나
http://news.joins.com/article/22382302
전 세계 10억 명의 이용자를 거느린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이 19일(현지시간) 8억5000만 달러(약 9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통상 회사가 이렇게 거액의 돈을 끌어오려면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한다. 하지만 이 회사는 주식·채권 대신 '그램스'라는 코인, 즉 암호화폐를 발행했다.
 
 
5.칼럼
[전자신문] [ET단상]블록체인이 가져올 새로운 디지털 세상
http://www.etnews.com/20180220000158
발레리 바빌로프 비트퓨리그룹 최고경영자(CEO)

[매일신문] [경제 칼럼] 평창 ‘괴물’들과 금융혁신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
공명재 계명대 경영학과 교수
 
 
6.행사
[중앙일보] [사랑방] ‘블록체인과 금융의 미래’ 학술대회 개최
http://news.joins.com/article/22383366
한국인터넷법학회(회장 백태승·66·사진)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공동으로 22일 오후 3시 연세대에서 ‘블록체인과 금융의 미래’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금융연구원의 이대기 박사가 주제발표를 하고, 이기연 성균관대 교수, 정진명 단국대 법대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석한다.

Coin Marketplace

STEEM 0.32
TRX 0.11
JST 0.031
BTC 67887.98
ETH 3775.80
USDT 1.00
SBD 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