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블록의 첫번째 거래: 코인베이스 트랜잭션 (coinbase transaction)

in #coinkorea6 years ago

어거 코인에 관해 공부하던 중, 

coinbase / coinbase transaction / generation transaction

등 익숙하지만 생소한 단어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여기서의 coinbase는 우리가 아는 그 거래소가 아닙니다.) 

채굴자(miner)에 의해 새로운 블록이 채굴되면, 새롭게 거래(transaction) 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이 새로운 거래를 'coinbase transation' 내지는 'generation transaction' 이라고 부릅니다.  첫번째 거래이니 만큼 이전(parent) 트랜잭션의 출력(output) 을 받아오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습니다. 다만 새로운 코인을 만들 뿐이지요.

그리고 비트코인의 경우 100byte 까지 임의의 데이터로 채울 수 있는데, 사토시는 비트코인 제네시스 블록의 코인베이스 트랜잭션의 내용으로 한 기사의 제목을 적었습니다.

 The Times 03/Jan/2009 Chancellor on brink of second bailout for banks.
2009년 1월 3일, 수상이 은행에 대한 2차 긴급 구제를 지시.
The Times 03/Jan/2009 Chancellor on brink of second bailout for banks

 비트코인 위키를 보니, 이 문장을 통해 

  • 비트코인의 첫번째 블록은 적어도 2009년 1월 3일이나 그 후에 만들어졌고,
  • 그가 타임스 지(The Times) 를 구독하는 것으로 보아 영국에 거주할 가능성이 크고,
  • 사토시가 경제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트코인을 구상했다.

등의 사실을 추측하고 있습니다. 믿거나 말거나


아무튼 정리해서, 코인베이스 트랜잭션(coinbase transaction)은 새 블록의 첫 거래이고, 코인베이스(coinbase)는 이 거래의 '입력' 의 내용물 이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입력(input)' 은  '출력(output)' 이 되어 다음 거래의 부모 트랜잭션이 되겠지요. 이름 그대로 '기반(base)' 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코인베이스에 대해 한글로 설명된 글을 찾기 어려워 포스팅했는데, 누군가에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간밤의 설명은 여기서 마치겠습니다. 

이제 토트넘의 챔스 16강을 보기까지 1시간 10분..

Sort:  

코인베이스는 거래의 '입력'의 내용물이라고 하셨는데 실제 블록에는 왜 '출력' 값이 들어가 있는건가요?

예제 트랜잭션 링크

너무 늦게 봐서 죄송합니다. 제가 생각하기에 위 트랜잭션에서 보여주는 것은 해당 블록에 출력값이 들어가 있는 게 아니라, 해당 블록의 비트코인이 다른곳에 전송된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제가 언급한 '출력' 이란 이전 트랜잭션의 정보를 말한 것이었구요. 충분한 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453.36
ETH 3507.44
USDT 1.00
SBD 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