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viewing a single comment's thread from:

RE: 게임기 플랫폼 전쟁

in #coinkorea6 years ago (edited)

이렇게 비교하니 재미있네요. 개인적으로는 게임기가 성공한 이유는 생태계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큰 회사에서만 만들던 게임들의 컨텐츠 량이 플레이어들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것이죠.

스팀(게임 플렛폼)이 가까스로 게임계를 살렸다고 생각합니다. 엄청나게 다양한 인디 게임들이 등장함으로써 생태계를 풍성하게 만들었고 그 토대 위에서 다시 대작 게임들이 지속적으로 스리즈를 출시 할만큼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인디음악이 모두 없어지면 사람들은 음악을 들을까요? 아마도 금방 질려할 겁니다. 게임도 마찬가지죠. 대작 게임만 해서는 사람이 쉽게 질립니다. 닌텐도 스위치도 젤다만 하고 다시 판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부실한 게임 생태계를 걱정해야 할 것 같아요. 엑스박스보다 ps4가 성공한 것은 인디 게임 라이센스 정책 때문이죠. 인디 게임 제작자들에게 원하는 건 다 해준다고 말하면서 게임기를 런칭했기 때문에 많은 제작자가 참여했던 것이죠. 그러다 보니 게임 회사도 이런 생태계에서 독점작을 출시할 믿음이 생긴거고, 플레이어는 대작 게임을 하고나서 다른 좋은 게임도 찾게 되니 말 그대로 상생의 플렛폼이 된거죠.

윗 분과 마찬가지로 저도 그래서 이오스가 확장성에 있어 탁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SMT 같은 경우는 sns 카테고리에만 적용되어 확장성에 한계가 있죠. 이오스 기반의 sns가 등장하게 되면 아마도 긴장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그리고 작년의 $2,600 달러와 지금의 상황이 다른건 거품 전과 거품 후라는 것이겠죠. 상황이 다릅니다. 투자를 컬트적으로 접근하면 위험한 생각이 들어요. 그리고 비트코인 - 스팀 관련에서 제가 글도 하나 남겼는데 (이건 궁금증입니다.) 테더의 자금 흐름을 보니 비트코인, 이오스, 이더리움, 기타알트코인에 1:1:1:1 비율로 기계적 트레이딩이 된 것 같은데 이건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테더를 구입한 일반 사용자가 자기의 욕망에 따라 투자를 한다고 했을 때 절대 1:1:1:1 비율이 안나올 것 같거든요.

오르고 있는 오늘 살펴보니 보니 1:1:1 입니다. 비트코인, 이더리움/이오스, 기타알트
이런 기계적인 비율은 조작이 확실하다는 것으로 봐도 되는 걸까요?

2018-06-19_041639.png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5
JST 0.029
BTC 63342.09
ETH 2658.68
USDT 1.00
SBD 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