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T 백서 번역에 대한 초안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설치하기

기본 정의

앞으로 $s$를 스팀(STEEM)의 양으로 정하고, $t$를 SMT 토큰의 양으로, $p$를 가격으로, $pt$는 스팀에 따른 가치로 표시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내 토큰'이 $p = 0.05$ STEEM / '내 토큰'에 교환될 때, $t = 120$이면 '내 토큰'의 가치는 $pt = 0.05 / [스팀/내 토큰] * 120 / (내 토큰) = 6 스팀이 되는 것이죠.

어떤 $s$ 스팀과 $t$ 토큰을 자산(포트폴리오)으로 가진 시장 관리자 혹은 관리인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토큰의 가격이 $t$라면, 스팀 단위로 이 포트폴리오의 가치는 $v(p,s,t) = spt$라는 함수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포트폴리오 관리에 있어 하나의 핵심이 되는 정책은, STEEM은 포트폴리오 $r$ 속에서 항상 동일한 상수화 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s = r v(p,s,t)$에서 $0<r<1$ 처럼요. 이런 정책을 고정 포트폴리오 비율, 혹은 CPR 정책이라고 부르고 $s = r v(p,s,t)$ 함수로 정해지는 $s를 CPR 상수라고 부르겠습니다.

방코 백서(Bancor Whitepaper)에서 언급된 다른 포트폴리오 관리 규칙은 CRR 혹은 고정 보존 비율이라 부르겠습니다. CRR을 이야기 하기 위해선 현재 존재하는 토큰의 총 숫자를 $T$로 정의하겠습니다. 그리고 CRR 상수는 $s=rv(p,0,T-t)$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거래에 대한 주석

SMT 백서 개념은 방코 백서에서 나온 것을 주지해야 합니다. '앨리스'라는 사용자가 시장 공급자와 거래를 하면, 앨리스는 시장 공급자에게 steem을 얻기 위해 토큰을 사용해야 합니다. 반대로, '밥'이란 사용자는 시장 공급자에게 steem을 보내 토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방코는 위 예시에서 나온 거래에서, 시장 공급자가 앨리스와의 거래에서는 토큰을 파괴하며, 밥과의 거래에서는 토큰을 생성한다고 상정합니다. 방코 시스템 하에서의 시장 공급자는 단순히 하나의 거래 역할만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토큰에 대한 발행권이 주어진 시스템 권한이 있는 특수한 관리자로 제안됩니다.

하지만 이 백서에서는, 시장 공급자에게 보내진 앨리스의 토큰은 파괴된 것이 아니라, 시장 공급자의 잔고에 더해진 것으로 간주하며 마찬가지로 밥에게 토큰을 보낼 때도, 발행된 것이 아니라 시장 공급자의 잔고에서 인출된 것으로 간주하겠습니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토큰이 전송된 것이죠. 이렇게 되면 (방코 백서에서 제안된 것 처럼) 시장 공급자는 특별한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평범한 시장의 일원으로 행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됩니다.

Sort:  

좋은 정보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
스마트미디어토큰를 통한 스팀의 미래가 기대가 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1153.73
ETH 3403.85
USDT 1.00
SBD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