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ICO에 효율적으로 참여하는 법과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에 EOS 토큰 추가하는 방법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많은 분들이 EOS ICO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한걸까요? 첫 번째 ICO 종료 시간이 1시간 정도 남은 지금 총 모금액은 63만 이더를 넘어섰습니다.

이 기세라면 70만 이더를 돌파하지 않을까 싶네요.

제가 이전에 쓴 글에서 질문해주신분들도 계시고 간단하지만 모르시는분들이 있을 것 같아 마이이더월렛에 커스텀 토큰을 추가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EOS 공식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내용입니다. 아래부분을 보시면 토큰 주소와 소숫점 자리수가 명시되어 있습니다.

Token Address: 0x86fa049857e0209aa7d9e616f7eb3b3b78ecfdb0
Decimals: 18
Symbol: EOS
Name: EOS

  • 마이이더월렛으로 접속하여 EOS를 전송한 지갑을 여시고 우측에 보시면 아래와 같이 토큰 잔액과 커스텀 토큰 추가 부분이 있습니다. 토큰 추가 버튼을 눌러봅시다.

  • 토큰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입력 창이 나타나시는데요 위에서 나와있는 내용대로 입력을 해줍시다.

  • 입력이 완료되면 완료 버튼을 눌러줍니다.

  • EOS 커스텀 토큰 추가가 완료된 모습입니다.


이번 EOS ICO에 저도 참여하였지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초반에 너무 많은 양의 이더가 몰린 것 같습니다.
첫 번째 ICO는 2억개의 토큰이 모금된 총 이더리움에 비례해서 분배가 되고 남은 350번의 ICO에는 200만개의 토큰이 분배되므로 두 번째부터는 첫 번째의 1%가 모인다면 같은 양을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ICO가 70만 이더가 모였다고 가정해봅시다. 다음 ICO 부터는 70만 이더의1 %인 7천 이더가 모여야 총 EOS 분배량이 같아지겠죠. (물론 이더리움의 가격 변동에 따라 가치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 참여하시지 않았지만 참여의사가 있는 분들은 첫 번째 ICO가 종료되었을 때 모인 총 이더리움 양을 확인하시고 다음 번에 23시간 동안 열리는 ICO를 주시하시면서 첫 번째 모인 이더리움의 1% 보다 작을 때 참여하시는 것이 좀더 효율적인 참여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Sort: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어차피 장기프로젝트니 그냥 기준을 두고 매수를 하든 ico에 참여를 하면 될듯 하네요^^

맞는 말씀이십니다. 항상 제 글에 보팅해주시고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sigizzang님!

GOOOOOO

저는 5차나 6차에 들어갈 생각입니다!! 1차에는 좀 넣었어요.

첫번째에 못들어 갔을 때 두번째에 어떻게하면 효율적으로 참가 할 수 있는지 알게 됐습니다!

커스텀 토큰 추라라 함은 내가 EOS에 투자한 이더에 대한 EOS 토큰을 마이이더월렛지갑에다 옮겨서 보관한다는 뜻이 맞나요?

메타마스크 지갑으로 투자했는데, 낼 옮겨봐야겠네요.

이더리움 지갑에 EOS 컨트랙트 주소를 등록하여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건데 같은 뜻으로 보시면 됩니다^^

마이이더월렛으로 첫 ico에 참여했는데 그 이후에 추가로 ico에 참여할때는 resist나 token청구하는 절차를 패스해도 되는건가요?

네. 최초 참여 시에만 필요한 과정이며 이후 EOS ICO 추가 참여 시에는 해당 주소로 ETH를 보내기만 하면 ICO가 끝난 후에 자동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혹시 마이이더월렛에서 ClaimAll를 실행하지 않았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ICO] EOS ICO 마이이더월렛(MyEtherWallet)에서 참여하는 방법

네 감사합니다^^

메타마스크에서 참여를 하고 마이이더월렛으로 토큰을 받을수 있습니까? 좀 해깔리네요..

네 메타마스크와 마이이더월렛은 플랫폼만 다를 뿐 동일한 이더리움 지갑을 열 수 있기 때문에 개인키를 이용한다면 어느 곳에서든 EOS토큰 확인이 가능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251.91
ETH 3494.19
USDT 1.00
SBD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