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OS 메인넷의 거대한 변화 예측] EOS 생태계 확장과 거버넌스 강화, 토큰 유통량 감소, 그리고 Mass Adoption.

in #coinkorea6 years ago (edited)

REX.png

[EOS의 거대한 변화] EOS 생태계 확장과 토큰 유통량 감소, 그리고 Mass Adoption을 위한 댄의 큰 그림

얼마전 EOS 투표 보상 및 자원 보상 기능인 "REX" 관련 코드 깃헙에 공개되었습니다.

d12422ce5457c74a7faf560d14289613.jpg

※ 관련 코드 : https://github.com/EOSIO/eosio.contracts/pull/94

생소한 분들도 많으실텐데요. 쉽게 말해 해당 코드가 적용이 되면 21개 이상의 블록 프로듀서에게 투표를 한 계정들에게 REX 토큰을 스왑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지며, REX 토큰을 보유시 EOS 네트워크에서 누적되는 수수료를 배분 받을수 있습니다.

즉, 투표를 한 홀더들이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마련이 되는 셈이며 투표율 상승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NEO의 가스가 배당의 형태로 인식되어 증권형 토큰이 될 위험은 없습니다. 투표를 해야만 교환이 가능한 일종의 유틸리티 토큰으로서의 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이 REX라는 개념은 댄 라리머가 현재 구상하고 있는 URI(쉽게 말해 UBI 개념, 즉 기본 소득 개념)와 함께 EOS 생태계 발전을 위한 큰 파급력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Big Picture of EOS

최근 블록원의 개발 중인 댑들과 함께 이들이 어떤 시너지를 낼지를 아주 쉽게 예를 들어드리면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겠네요.

EOS 네트워크 수수료 - 현재 RAM 구매 수수료가 누적되고 있죠. 현재 1,918,988 EOS로 약 200만 EOS가 램 수수료로 사용됩니다. 앞으로 댄은 CPU 및 네트워크 Bandwidth(대역폭)도 RAM 처럼 토큰화 하여 거래 수수료를 네트워크 Fee로 쌓을 생각을 밝힌 적이 있습니다만, 이 부분은 아직 확정은 아닙니다.

블록원이 개발 중인 Dapp - 블록원의 CEO인 브렌단 블루머는 블록원이 개발 중인 서비스들의 수수료 역시 REX 토큰 등으로 투표를 한 홀더들에게 분배 될 수 있음을 시사한 적이 있습니다. 이들 서비스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코드명 스팀 2.0, 비트쉐어 3.0으로 알려진 댑들입니다. 이들 댑들의 사용을 통한 수수료가 REX 보유자들에게 분배 될 수 있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REX - 21개 이상 투표한 계정은 위 설명한 수수료들에 대한 일종의 청구권 토큰입니다. 21개 이상의 BP에 투표를 한 계정은 EOS 투표 스테이킹 수량만큼 REX 토큰을 지급 받고, 네트워크 전체 유통된 REX 토큰 중 자신의 비율 만큼 네트워크 수수료를 배분 받습니다. 즉 투표에 대한 간접 보상이 생기는 셈입니다.

이 REX가 무서운 파급력을 가질 것으로 생각되는데, 현재 EOS 메인넷의 스테이킹 비율은 약 55%입니다. 사실 어마어마한 양인데 10억개가 발행된 EOS 전체 토큰의 절반이 넘는 숫자가 아무런 보상이 없음에도 스테이킹 되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만약 REX가 발행되어 스테이킹량 및 투표량이 증가한다면, EOS 토큰의 유통량은 드라마틱하게 감소할 겁니다. 점차 유통량이 줄면서 네트워크에서 EOS로 환산되는 수수료도 줄어들테지만, EOS 토큰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적은 EOS의 FIAT 가치는 극적으로 상승할 가능성도 염두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EOS의 가치가 올라가도 DAPP 들은 이미 구현된 CHINTAI나 온체인 EOS 자원 마켓에서 EOS를 저렴하게 대출 받을 수 있습니다.

UBI(URI) REX 만 해도 꽤나 큰 영향력을 가질 것이 명백하지만 더 재미있는 것은 이 UBI 개념입니다. UBI는 기본소득이란 개념인데, 블록원이 개발하고 있는 EOS LIFE(가칭) 월렛은 iOS 기반의 생체 정보 인식과 관련된 스마트폰 앱입니다. 일반 유저들이 이 월렛을 사용하고 자신이 실존하는 사회 속의 인간임을 증빙하면 EOS 토큰의 전체 인플레이션 발행량 중 4%를 EOS 생태계에 인증 참여한 개인에게 기본 소득으로 지급하겠다는 개념입니다.

이 부분은 사실상 Mass Adoption(대량 채택)과 직접적인 관련성을 갖는데, 현재 EOS 계정을 생성하기 위한 절차는 EOS 홀더들이 아닌 일반인들에게는 사실 꽤 까다롭습니다. 일단 EOS의 계정 생성을 위한 모계정이 있는 사람을 찾던가 계정 생성을 위한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죠.

하지만 블록원의 EOS LIFE 월렛을 통하면 개인 인증만 해도 무료로 계정을 만들어줄 뿐만 아니라 연간 기본 소득을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댄 라리머는 생체 인식을 해야하고 지속적인 개인 인증을 해야하기에 -어떤 매커니즘인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습니다만 - 일반인이 친지 가족을 인위적으로 가입시켜 어뷰징을 할 수는 없다.고 이야기 합니다. 뭐, 나와봐야 알 일입니다만) 이 부분이 제대로 구현이 되기만 한다면 EOS의 진입벽은 훨씬 줄어들게 될 뿐더러, EOS 계정은 이익을 위해 마치 구글 계정처럼 안드로이드를 사용하기 위해 누구든지 가져야 하는 필수 계정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실제로 Mass Adoption이야 말로 모든 블록체인의 숙원이자 가장 성공하는 블록체인의 필수 선결과제입니다. EOS LIFE가 사용자 신원을 통한 UBI 지급의 게이트웨이가 되어 주는 동시에 EOS 메인넷 상의 다양한 댑의 로그인을 위한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을거라 기대가 되구요.

Mass Adoption을 위한 선결조건, 투표율 상승과 WP 인플레이션 정책 조정

하지만 UBI를 위한 큰 선결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WP 부분인데, EOS 상에서 최초 적용된 WP 제도는 현재도 연간 4%의 인플레이션 비율로 EOS 위 서비스들에게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누적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댄 라리머는 몇 번의 거버넌스 미숙으로 인한 위기 상황 - 초기 ECAF 계정 동결, 고래 담합으로 인한 의혹 등등 - 으로 인해 아직은 거액의 WP 기금을 커뮤니티의 판단에만 맡겨 집행하는 것은 시기 상조라고 보고 있는 듯 합니다.

4%의 EOS 인플레이션이 잘못된 집행으로 고래들의 손아귀에 잡혀 불필요한 곳에 쓰여진다면 그만큼 위협적인 것도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댄 라리머는 EOS의 올바른 거버넌스 확충을 위해 먼저 REX를 통한 투표율 상승을 꽤하고 있는게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일반인들의 투표율을 끌어올린다면 단순히 고래들의 의결권이 큰 영향력을 갖는 것을 견제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EOS 전체 체인에 대한 10% 투표권을 가지고 있는 블록원의 EOS 메인넷 거버넌스 참여에 명분을 제공합니다. 전체적인 투표율이 증가하면 블록원 자체의 10% 지분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무게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죠. 따라서 블록원이 좌지우지하는 블록체인이라는 약점을 극복할 수 있는 합당한 명분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사실 초창기 메인넷 런칭 전부터 10%의 투표권을 블록원에 준 것은 커뮤니티와 BP들이었습니다. 따라서 저는 사실 언제 블록원이 투표하더라도 그건 커뮤니티가 그리 원했기 때문이라고 봅니다만. 여튼 그렇습니다.)

REX 토큰을 도입할 수 있게 되면 투표율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투표율 상승으로 WP 의 제대로 된 사용이 가능해지거나 혹은 아예 투표를 통해 WP를 폐지하고 그 EOS를 가지고 UBI 정책을 결정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이 됩니다.

사실 어떻게 되든 EOS 체인에게는 모두 거버넌스의 발전으로 향하는 좋은 그림입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꼭 UBI 를 통한 일반 유저들의 빠른 유입이 더 큰 발전을 이룰 것이라 믿습니다. 여튼 WP의 인플레이션 양의 사용처가 어떻게 될 것인지는 EOS의 Mass Adoption에 있어 큰 영향력을 미칠 것임은 자명합니다.

결국, REX는 EOS 생태계를 위한 거대한 나비효과의 시초가 될겁니다. REX 토큰으로 투표로 인한 보상이 발생하면, EOS의 투표가 늘고 유통량은 줄어듭니다. 이는 거버넌스의 발전을 꽤하게 되고 블록원의 투표 참여를 이끌어냅니다. 고래 BP는 더욱더 커뮤니티로부터 견제되고 그럼에도 메인 BP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신들의 투표량을 더 이끌어 내야 할겁니다. 결국 EOS 토큰의 락업은 더욱더 가속화 되고 시장에서 EOS는 희소성이 더욱 증대될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Dapp 개발사들은 CHINTAI(EOS 임대 플랫폼), REX와 관련된 자유 자원 시장을 통해 시장이 만들어준 합리적인 가격에 EOS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겠죠. 여기에 블록원의 EOS LIFE가 추가되면 엄청난 계정들이 생겨나고 사용자수가 급증할 겁니다. Dapp에게 이보다 더 매력적인 블록체인이 있을 수는 없을 겁니다.

REX가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기대가 아니 될 수 없죠. 정말 머지 않았습니다.

※ 한국 EOS 홀더 커뮤니티 : http://koreos.io

Sort:  

늘 보면서 재밌는 모습으로 흘러가는 것 같습니다. 한정되고 가치있는 디지털 자산은 점차 부동산화 되면서 현실세계와 놀랍도록 유사해 지고 그만큼 이해하기도 어려워지는 듯 합니다.

친타이 등이 활성화 되면 조금 더 먼 미래엔 eos 홀더와 dapp사용자는 건물과 세입자 같은 관계가 될텐데, 그것도 교체 주기가 아주 빠른 관계 말이죠.

무척 흥미롭네요-

그동안 곰돌이 많이 지원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스파가 너무 많다보니 후원해주신분들 보팅해드리는 관리에 제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서 부득이하게 임대회수를 부탁드리게 되었습니다. 다시 필요해지거나 또 다른 서비스들도 (먼훗날ㅎㅎ) 생각하고 있으니 그때 다시 연락드리겠습니다. 그동안 큰 지원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스팀잇에서 서리님 포스팅 오래간만에 보게되니 엄청 반갑네요 :D 투표에 관한 관심 증대는 어떤 BP들에게 투표할 것이냐에 대한 이슈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BP활동에 대한 유저들의 정보 공유가 활발해짐으로써 이오스 생태계 자체에 긍정적인 거버넌스의 선순환 구조가 형성되겠죠 ㅎㅎㅎㅎ 정말 머지 않았네요 :)

이오스의 미래가 기대 됩니다.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이오스가 더욱 활성화되길 바랍니다!

기다리다 현기증 나겠습니다. ㅎㅎ

그동안 다이스 하시면 시간 잘 갑니다ㅋㅋㅋㅋㅋ

멋집니다.

트론 네트워크의 경우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을 블록 생산을 담당하는 SR(스팀 증인과 유사한 개념)이 제공하고 있는데 이오스는 전체 수익을 공유하기 위한 스테이킹 보상 방법을 도입했군요. 재밌게 흘러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ㅎㅎ.

dApp을 준비하는 입장에서는 조금 부담되는 소식일 수 도 있을듯합니다. 물론 임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겠지만, 그 서비스비용 역시 이오스의 가격에 따라 변동되겠지요.

저는 2개 bp에게만 투표를 해둔 상태인데 이럼 rex 를 못받나요? 지금이라도 21개 bp에 재투표를 하면 될까요?

서리님 글 보고

기존 2개의 BP에게만 투표하던 것을 22명으로 늘렸습니다.

BP 분들에게도 관심을 더 가져야 되겠더군요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9
BTC 60808.77
ETH 3368.54
USDT 1.00
SBD 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