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ves NG.테스테넷 현황.steemCreated with Sketch.

in #coinkorea7 years ago

a6db8579a402.png
https://waves-ng.wavesplatform.com/#stress-test
WavesNG의 공개 테스트가 시작되었다.테스트넷에서.
링크싸이트를 방문하면 싸이트 하단에 트랜잭션을 발생시키고,
테스트넷 상황을 모니터링 할수있는 페이지가 마련되어있따.
스크린샷에 나와있는 RunTest 버튼을 클릭하면 50개의 트랜잭션을 발생시킬수있다.

f-4176-8a79-435ce99af218.png
발생시킨 트랜잭션은 처음은 당연히 Unconfirmed Txs로 분류되어있다.(노랑색)
그리고 트랜잭션이 컨펌되어 완료가 되면 Confirmed Txs로 바뀐다.(초록색)
그리고 몇초만에 처리되는지 타이머로 확인할수있다.

위의 스크린샷은 처음으로 발생시켜본 트랜잭션인데 45초가 걸렸다.
50개의 트랜잭션 처리에 45초가 걸렸다.
약간 실망감이 들었는데 계속해서 발생시키니 점점 컨펌 속도가 짧아졌다.

ngtest.png
50개의 트랜잭션들이 2~10초사이에 처리되고 있다.
테스트넷 상황자체의 모니터링을 보자면

9156f935-3b6b-401d-8503-721857a9180b.png
윗쪽의 UTX POOL이란 컨펌 대기중인 트랜잭션의 수를 뜻하고
밑의 Transaction throughput 그래프는 처리한 트랜잭션을 1분단위로 표시하고 있다.

1분당 4000개,6000개,70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중이다.
스샷을 찍은 순간 말고도 계속 지켜보니
9000개 11000개 최대 16000개 까지의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모습을 보았다.

다만 중간중간 트랙잭션처리가 0개인 1분 구간들이 보인다.
이 0개인 구간은 존재하면 안되는거 아닌가?란 생각이 드는데....
테스트넷이다 보니 노드수가 적어서 인가?아니면 아직 네트워크가 안정적이지 않은것인가.
NG가 내세우는 점중에 하나가 기존의 블럭생성 시간 사이의 텀을
마이크로 블럭으로 빈틈없이 메꾸는것이고,그렇다면 저렇게 텅빈 1분이 나와서는 안될텐데?

일단은 첫날치고는 괜찮은 상황으로 보인다.
앞으로 어떤 문제점이 생길지,좀더 스무스하게 네트워크가 작동하게 될지 계속 지켜봐야 될듯 하다.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저도 해봤는데 신기하더군요. 단순히 결과만 공개하는 것 보다는 진행 과정을 모두 공개하는 것과 사용자들이 직접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한 것은 매우 좋아보입니다. 요즘 이 바닥에서는 믿을 놈이 하나도 없는 상황이니 말이죠... ^^

정말 믿음직한 회사입니다.waves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3633.54
ETH 3477.74
USDT 1.00
SBD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