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카셰어링 서비스 시장의 한계

in #carsharing6 years ago (edited)

미국의 집카로 주목받기 시작한 카셰어링 서비스는 짧은 기간내에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았고 국내에서도 쏘카, 그린카를 중심으로 급성장해서 이제는 상당한 규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카셰어링 서비스는 모바일로 가까운 곳의 차량을 예약하고 빌려탈 수 있는 서비스로 기존의 니치마켓이던 단기렌탈 시장을 획기적으로 키운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보는데요,

그런데 엄연히 말하면 기존의 일단위 렌탈서비스를 분단위 렌탈로 변형한 것으로 차량의 소유주가 쏘카, 그린카(롯데렌탈)이기 때문에 Airbnb와 같은 참여자간의 공유모델이라고 볼 수는 없죠. 

(물론, 국내법상 차량임대사업자가 아닌 개인이 차량을 유상으로 임대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야 좋은차를 싸게 빌릴 수 만 있다면 신경쓸 일은 아니지만 과연 이 서비스가 지속 가능할지는 의문입니다. 카셰어링 업계에서 일했던 경험으로 판단하는 한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동율의 한계

카셰어링 서비스는 무인서비스로 운영되기 때문에 24시간 영업이라고 볼 수 있지만 사실 고객들이 차를 빌리는 시간이 그렇게 다양하지 않습니다. 거점의 입지별로 차이가 있지만 수요가 몰리는 시간대는 거의 일정하고 고객들이 기다리면서까지 차를 빌리진 않기 때문에 회원이 늘어난다고 가동율이 계속 늘어날 수는 없죠.

결국 카셰어링 업체 입장에서는 하루에 여러 사람이 잠깐씩 쓰는 것보다 한사람이 장거리를 뛰는 것이 훨씬 더 이익입니다. 이용요금은 시간요금과 주행요금(km당 170~230원)을 합산하는데 주행요금은 할인이 되지 않고 연비편차로 인해 이익도 발생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업체들은 시간쿠폰을 후하게 뿌리면서 고객들의 이용시간을 늘려줌으로써 더 멀리까지 가도록 유도하는 마케팅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원가부담

카셰어링은 무인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차량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통신단말부터 시스템 운영, 24시간 콜센터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차량이 1~2대씩 수많은 거점에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정비와 세차도 돌아다니면서 해야하고 그러다보니 비용은 높고 관리는 어려울 수 밖에 없죠.

또한 서비스 원가의 가장 큰 항목 중 하나가 보험료인데 카셰어링의 사고율이 워낙 높다보니 매년 보험료가 늘어났고 이제는 대부분의 보험사들이 카셰어링 차량은 보험가입도 받아주지 않아서 거의 모든 카셰어링 업체들이 렌터카공제조합에 가입된 상태로 알고 있습니다.


악성고객의 증가

회원가입부터 이용까지 모두 온라인으로 이뤄지다보니 일부 악성고객들 때문에 큰 피해를 입기도 합니다. 차를 파손시키면 콜센터에 전화해서 조치를 해야하지만 모른 척하는 경우도 많고 청소년들이 부모님의 면허증으로 차를 빌려서 큰 사고를 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실제로 제가 카셰어링 업체에 근무할 때 겪은 일인데 초등학생 자녀가 몰래 카셰어링으로 운전을 하고 있었다고 부모에게 전화를 받은 적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인서비스를 운영하면서 이를 모두 관리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결국 사용자들의 성숙한 에티켓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 사업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이 부분을 리스크로 감수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죠.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카셰어링에 뛰어드는 업체들은 계속 생겨나고 카풀이나 카헤일링과 같이 유사한 사업모델도 투자유치에도 성공하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최근 쏘카는 계속된 적자에도 불구하고 큰 투자를 유치했죠. 이렇게 돈이 몰리는 이유는 분명 렌탈수익이 아닌 다른 미래가치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데요,

다음 번엔 그 미래가치에 대해 가능한 시나리오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Sort:  

글 잘 봤습니다. 다음편도 기대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고민해서 도움이 될만한 글을 써 보겠습니다.

@kimwansoo, I gave you an upvote on your post! Please give me a follow and I will give you a follow in return and possible future votes!

Thank you in advance!

Congratulations @kimwansoo! You received a personal award!

Happy Birthday! - You are on the Steem blockchain for 1 year!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in Marketplace

STEEM 0.23
TRX 0.12
JST 0.029
BTC 66121.65
ETH 3564.76
USDT 1.00
SBD 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