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차트에 관하여- 5. 볼린저 밴드에 관하여(2)

in #bitcoin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뽕이입니다.

비트코인이 이번의 폭락을 기점으로 회복이 매우 더뎌 투자자들이 많이 지쳐가는것 같습니다. 존버를 하던, 손절을 하던 본인의 선택이지만 확실히 앞을 예상하기 힘든 장이네요 그래도 1월 30일 신규진입이 가능해지니, 매수세가 생긴다는 뜻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시 예전과 같은 장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습니다.

코인은 다른 투자처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위험성과 월등히 큰 변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폭락을 그대로 맞으신 분들은 -30%는 이제 버틸 수 있다고 말씀을 많이 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를 주식과 같은 시장이랑 동일하게 보아 주식투자로 이어지지 않길 바랍니다.

오늘은 저번에 못다한 볼린저 밴드의 활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려고 합니다. 오늘도 가슴 아프지만 항상 보게되는 BTC/KRW 차트를 들여다 보죠.

저번 글에서 설명드렸듯이 볼린져밴드를 뚫고 나간뒤로는 다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심선이 하방이라 아직 회복세를 보이지는 못하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아직 60일선이 상향하는 추세이므로 다음 주에 상승으로 전환한다면, 다시 이전과 같은 상승장이 찾아올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늘 살펴볼 점은 60일선과 볼린저밴드 하단과의 관계입니다. 비트코인의 가격이 업비트 기준으로 2800만원을 돌파한 날을 잘보시면, 그 다음날 60일선과 볼린저밴드의 하단선이 크로스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60일선이 상향돌파하는 모습인데, 이 신호는 단기 고점이라는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11월 말에 60일선이 상향돌파할 때는 단기 고점이 아닌데요? 하시는 분이 계실 수 있습니다. 이 때 단기고점이
아닌 이유는 볼린저 밴드가 확장되지 않고 모여있으면서 천천히 우상향하는 차트였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볼린저 밴드가 확장되면서 상승하게 되면 단기에 급등할 확률이 높지만, 볼린저 밴드가 모여있는 채 천천히 우상향하게 된다면, 기준선이 꺾이기 이전까지 대세 상승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60일선이 상향돌파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상승세를 보인 것입니다. 또한, 코인의 가격이 볼린져밴드 상단선을 뚫고 나가는 모습도 보이지 않았기도 하구요.

사실 볼린저 밴드는 앞서 설명드린 방법과 오늘 알려드린 60일선 상향돌파 신호만 가지고도 훌륭한 보조지표입니다. 하지만 사람에 따라 맞는 보조지표가 있고, 해석 방법은 많습니다. 다음 알려드릴 방법도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업비트의 BTC/KRW의 차트입니다. 앞의 그래프와는 조금 다른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회색음영부분에 조금 더 짙은 회색음영부분이 추가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짙은 회색음영부분은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 승수를 2에서 1로 줄인 밴드를 나타냅니다. 이렇게 되면, 기존의 지표에 비하여 더 좁은 밴드가 만들어지게 되고, 얼핏 보면 승수가 2인 밴드에 비하여 매도점을 잡기가 어려워 보입니다.

사실 승수 1인 밴드만을 가지고 매도점을 잡기는 쉽지 않습니다. 승수 1인 밴드를 보조지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표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매수 매도 시점은 기존의 볼린져밴드에서 상단을 이탈하는점에서 매도 하단을 이탈하는점에서 매수포지션으로 유지합니다. 여기에서 승수 1 밴드의 상단선과 해당일의 종가의 이격도를 추가로 보시면됩니다. 상단선과 종가의 격차가 크다면 매도해야하는거죠, 12월6일에도 볼린저밴드 상단을 뚫었지만, 12월 7일에 더 큰 장대 양봉이 나온것을 보면 무슨말인지 이해가 가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상단을 뚫는다고 바로 매도하는 것보다, 승수 1밴드의 상단선과의 이격도가 크면서 상단을 뚫은날 매도하시는 것이 가장 많은 수익을 내는 매매 기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승수 1 밴드는 매수 매도 포지션보다 중요한 시사점이 있습니다. 바로 승수 2밴드와 승수 1밴드 사이의 공간입니다. 이 공간에서는 상승과 하락포지션이 쉽게 바뀌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11월 말 이후의 상승장, 1월의 하락장을 통해서 위와 같은 점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평선과 볼린저 밴드의 특성상, 코인의 가격은 결국 승수 1밴드의 안쪽으로 돌아오게 되어있습니다. 만약에 저가매수를 진행하고 싶으시다면, 승수 1밴드 안쪽으로 가격이 형성되기 시작하는날 매수해보시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모든 보조지표의 신호는 맹신하면 안됩니다. 여러가지 신호를 조합해서 판단해야하며, 모든 신호가 매도 사인을 보낸다고해도, 당장의 주가는 상향할 수 있습니다. 차트로 예상하지 못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죠. 오늘은 여기서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에는 RSI 지표에 대하여 설명하는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두 성투하세요!

※ 차트는 맹신하면 안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투자심리가 적용된 것이 차트이기 때문에 무시하시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보조지표는 투자의 보조적인 역할이 될 뿐,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있는 글입니다. 비판은 달게 받겠습니다.

※ Voting은 저에게 힘이됩니다.

Sort:  

차트는 차트일뿐..이라지만 차트에 의존할수밖에 없게 되더라구여 ㅎㅎ

차트를 무시하는건 좋지않지만 맹신하는것도 ㅠㅜ 성투하세여!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29
BTC 60934.92
ETH 3379.12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