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차트에 관하여- 3. 이동평균선(MA)에 관하여(2)

in #bitcoin8 years ago

안녕하세요 뽕이입니다.

오늘은 여러가지 문제로 암호화폐 투자자 여러분이 위축되는 하루였던것 같네요. 하지만 암호화폐 투자에 있어서 중요한건 가격도 가격이지만, 암호화폐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낸다는 믿음인 것 같습니다. 실제로 암호화폐가 상용화가 된다면 가격은 당연히 상승할 것이니까요.

오늘은 이동평균선에 관한 두번째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번 글에서 이동평균선의 정의와 간략한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오늘은 좀더 자세히 이동평균선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보고,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그리고 이격도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위 그림은 매일매일 보는^^ 업비트의 BTC/USDT의 일봉 차트입니다. 오늘 대폭락이 있을때 60일선의 지지를 받고 반등했죠, 우리나라에서는 정부 규제로 인한 투자심리 위축이 30퍼센트가 넘어가는 하락을 보였지만, 외국의 비트코인은 기존 하락과 별반 차이가 없는 하락을 보였네요. 오늘 다시한번 이평선 근처에서의 지지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20일선과 60일선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 20일선은 단기선, 60일선은 중기선이라고 합니다. 단기와 중기라고하면 그냥 기간을 뜻하는 것 밖에 되지 않는데, 이는 좀 더 확장해서 생각하면 20일선은 현재 돈을 투자하는 세력이 있는가를 뜻하는 것이고 60일선은 투자 대상의 투자심리가 어떤지를 뜻하게 됩니다. 20일동안 누군가가 돈을 계속 투자 대상에 집어넣었다면, 20일선은 상향을 유지하게 되는것이고 이러한 상향이 3달간 유지되어야 60일선이 우상향하게 되는것이니까요. 아무리 세력이라도 3달간 꾸준하게 돈을 투자하지는 못하겠죠....

해외의 비트코인은 20일선이 하락세를 띄고 있습니다. 12월 중순이후로 돈을 지속적으로 투입하는 세력이 사라졌다고 볼 수있죠. 하지만 다음주에 추가적인 하락이 없이 60일선 위로 상향을 지속한다면, 이는 작년과 같은 상승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추가적인 하락이 있더라도 짧은 시간내에 반등하는 경우 역시 작년과 같은 상승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KRW차트에서는 USDT차트에서와 약간 다른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세간에선 이를 김치프리미엄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12월 이후에도 20일선이 아직 뚜렷하게 하향한 적을 볼 수 없습니다. 이는 돈을 투자하는 세력이 아직 있다는 뜻이죠, 그게 개인투자자일 수도 있고, 혹은 기관이 될수도 있는 것이구요. KRW 차트에서도 오늘 60일선 부근에서의 반등을 이뤄냈습니다. 60일선은 약 1700만원선이고 이때 매수하신분들은 수익을 내고 계신것으로 보입니다.

요약하면 20일선은 돈을 투자하는 세력이 존재하는가?

  • 있다면 상향 혹은 횡보, 없다면 하향

60일선은 해당 코인의 투자심리가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 투자심리가 긍정적이라면 상향 아니라면 하향.
    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동평균선에 대한얘기는 이정도로 하도록하고, 추가적으로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이격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일선(단기선)과 60일선(중기선)이 겹치는 부분을 크로스 된다고 하는데요, 20일선이 60일선을 뚫고 위로 지나가게 되면 골든크로스 반대로 20일선이 60일선을 아래로 뚫고 지나가게되면 데드크로스라고합니다.

모든 투자대상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재산을 지키고자하는 욕구가 있기 때문이죠. 그렇기때문에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를 추세라고합니다. 보통 주식에서는 골든크로스는 상향추세의 시작 데드크로스는 하향추세의 시작으로 봅니다. 아직 코인에서는 투자심리가 위축되지않아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는 모습은 보기 힘든것 같습니다.

아인스타이늄같은경우를 제외하면 말이죠... 아인스타이늄은 곧 데드크로스가 발생할것으로 보입니다.

작년 중순쯤의 비트코인의 차트입니다. 8월초에 골든크로스가 발생하는데... 이후의 비트코인의 가격은 다들 잘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골든크로스가 발생하기전에 잠시 데드크로스가 발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런 형식의 차트가 나타날 경우, 상승의 여파가 더욱 세진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이격도에 관한 얘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관찰력 좋으신분들은 1,2번글에 비해 차트의 아래쪽에 PSY와 Disparity 라는 차트가 추가된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PSY는 투자심리도에 대한 차트이고, Disparity는 이격도에 관한 차트입니다. 투자심리도는 말그대로 해당 코인에 대하여 투자자의 심리가 어떤지 나타내는 차트이고, 이격도는 기준선(저의 경우에는 20일선이 기준입니다.) 대비하여 현재 코인의 가격이 어느정도인지 나타내주는 차트입니다.

이격도가 심하게 +된 이후에는 하락을 동반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 이격도가 심하게 -된 이후에는 상승을 동반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저번 글에서 말씀드렸던 투자심리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직 차트를 보는게 익숙하지 않으신분들은 이격도를 활성화하시고 지금 기준선 대비하여 코인의 가격이 어느정도이구나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격도가 +방향으로 커지면 매수보다는 분할매도를, -방향으로 커지면 매도보다는 분할 매수를 시작하는게 안전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향이라고 보시면 될 것같네요.

아래에 당구장 표시로 해서 글을 써놓았지만, 모든 보조지표는 그날 그리고 과거의 코인의 가격에 따라서 정해지는 '지표'일 뿐입니다. 맹신보다는 참고하여 투자하는 방향으로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성투를 기원합니다.

※ 차트는 맹신하면 안됩니다. 하지만 어느정도의 투자심리가 적용된 것이 차트이기 때문에 무시하시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보조지표는 투자의 보조적인 역할이 될 뿐, 투자는 본인의 선택입니다.

※ 개인적인 생각이 들어있는 글입니다. 비판은 달게 받겠습니다.

※ Voting은 저에게 힘이됩니다.

Sort:  

자세한 정보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1
JST 0.031
BTC 106828.34
ETH 3882.13
USDT 1.00
SBD 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