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 거래 방법 (국내 거래소 -> 해외거래소)

in #biocoin6 years ago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동전 거래 관련 많은 게시글을 읽다보니, Steemit을 알게 되어서 가입을 하게 되었습니다.

열심히 활동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첫 게시글은, 국내 거래소에서 해외거래소로 이동 하는 방법입니다.

저는 제일 처음에 동전 시장에 들어오면서, 동전 지갑이니, 동전 거래소니, 해외 거래소는 또 무엇이며, 프리미엄 차이가 왜 이렇게 크게 나는 것 인지....매우 헷갈려서 조금 헤매었는데요.

이번 기회에, 동전 거래에 대해서 요약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물론, 제 자신을 위해서 쓰는 것도 있습니다. ㅎㅎ)

일단은 국내 거래소 (예를 들어, 위로 가는 비트, 또는 세무 조사 들어간 다른 몇 몇 거래소 들이 있는데, 제가 알고 있기로는 현금 거래만 진행 되는 것으로 압니다.)

이 경우에는 본인이 사용 하시는 현금 계좌를 통해 동전 거래소의 은행 계좌로 입금을 하셔야 하구요.
그 이후에, 동전 거래가 가능 해집니다. 원하시는 특정 동전을 구입 하신 후에, 기다리시면 목돈이 만들어 질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의 인내심이 매우 필요 합니다.

끝~!!! 은 아니고, 이 게시글의 취지는 해외거래소 이니, 제가 사용하는 해외 거래소는 쿠코인 인데요.

쿠코인 홍보는 나중에 하기로 하고, 쿠코인으로 옮기 실 수 있습니다.

자..여기서 부터 집중을 하셔야 하는데, 일단, 업비트 나 타 동전 거래소의 앱 (APP)에서는 주소 거래가 불가능 하구요.
홈페이지에 직접 로그인을 하셔서, 주소 거래가 가능 합니다.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하셨다는 가정 하예, 본인이 소지 하고 있는 동전에 쿠코인 이나 다른 해외거래소의 입금 (deposit) 주소를 입력 하셔야 합니다.

여기서 한 단계 safety로 Myetherwallet 이라는 본인만의 지갑으로 동전을 옮기 실 수 있지만, 이더리움만 가능합니다. * 확실치는 않습니다만, 그렇게 이해 하고 있습니다. ㅋㅋ명확하게는 다음 번 게시글에 올리겠습니다.

여기서 정말 정말 중요한 것은...일반 알트코인 (잡코인....스팀잇아 미안..ㅠㅠ)을 해외거래소에서 구매하고 싶으실 경우에는, "국내거래소"의 "이더리움"을 구매 하여, "해외거래소"로 입금 받아, "잡동전"을 구매 하셔야 합니다.

비트코인으로 전송 가능 하지만, 이더리움을 추천 합니다. 이유는 제가 듣기로는 이더리움이 더 안정적으로 빠른 시간안에 전송이 가능 하다네요.

제 경험 상에도 그랬습니다. 이더리움 받을 때는 20분 걸렸는데, 비트코인 받을 때는 2시간이 넘었습니다.

자, 만약에 이더리움을 해외 거래소에서 받았다. 하시면, 이제 잡동전을 구매 하시면 되겠습니다.

요약*****:

  1. 국내 거래소에서 "한 화 KRW", 로 동전을 구입한다. -> 해외 거래소에 가입 한다.
  2. 해외 거래소의 특정 동전 주소를 찾는다. "반드시" deposit 주소 여야 합니다.
  3. 국내 거래소의 동전 "출금" 주소 에서 해외 거래소의 "입금" 주소로 전송 한다.
    이 때는 이더리움 강추. (안정성과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4. 잡코인을 산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4252.58
ETH 3495.24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