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맵핑히틀러 관람 후기

in #art8 days ago

1756705431331.jpg

천만 구독자를 가진 유튜버로 성장하고, 소셜미디어의 가공할 만한 힘을 활용해 대통령 당선자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보여준다.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의 스토리 전개로, 관객들은 이미 대통령이 된 한들호의 과거를 보게 된다.

유튜버가 대통령이 된다니, 너무도 기이한 상상이 아닌가! 하지만 극 중 한들호는 이 기이한 상상을 기어이 현실로 만든다. 비록 시작은 대한민국의 정의를 위한다는 공익적인 취지였을지 몰라도, 그를 추동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그는 자신의 생각에 대한 절대적인 신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결국, 자신의 사상에 갇혀 극단적인 주장을 내뱉는다.

더 무서운 일은 그런 그의 생각에 천오백만의 구독자들이 반응을 한다는 사실이다. 그들에게 더 이상의 관용은 존재하지 않는다. 자신들의 사상에 반하는 이의 주장은 반역자의 것이며 그들은 더 이상 대한민국의 국민이 아니다. 몰살하고 제거해야 하는 적이 된다.

이런 이유로 연극 <맵핑히틀러>는 히틀러 시대의 역사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보면 더 흥미롭게 즐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 부분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궁극적으로 극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과거 실존했던 히틀러가 아닌, 미래 시대에 등장할지도 모르는 가상의 히틀러이기 때문이다.

극 중 히틀러인 한들호는 사실 유튜버였다. 처음부터 대통령이 될 생각은 없었다. 하지만 주위 사람들의 동조가 더해지며 자신의 사상에 완전히 젖어 들어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은 과연, 단지, 극에서만 나타나는 모습일까? 연극 <맵핑히틀러>는 이 부분을 질문한다.

현실에는 다양한 종류의 유튜브 채널들이 존재한다. 그들 중에는 어떤 사안에 대해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공유하는 목적의 채널들이 있다. 개개인의 생각은 무척 다르기에 누군가는 그들의 이야기를 무시하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공감하고 좋아할 수 있다.

문제는 팔로워의 숫자가 늘어나며 발생한다. 그들의 채널 안에는 자신들과 동일한 생각과 신념을 가진 사람들만 존재하기 때문에, 자칫 자신들의 말과 행동이 무조건적으로 옳다는 잘못된 믿음을 갖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믿음은 점점 부풀어 오른다. 더 이상 숨길 수 없는 지경에 이르면 한들호와 같은 인물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연극 <맵핑히틀러>는 누구나 자신의 생각을 대중과 나눌 수 있는 시대에 대한 첨예한 비판 의식을 담고 있다. 무심코 던졌던 말과 행동이 한들호와 같은 인물을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면 오소소 소름이 돋는다.

극이 우리에게 '좀 더 비판적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고 말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누군가의 말을 들을 때, 심지어 나 자신의 생각을 말할 때도 '이것이 과연 진실인가'에 대한 의심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 같았다.

극중 최래민이 '이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야'라고 외치던 장면이 떠오른다. 그는 비록 자신의 목소리를 피력하지 못했지만, 우리에겐 아직 기회가 남아 있다.

그럴싸한 말, 그럴듯한 논리로 마음을 사로잡는 말들이 점점 더 많아질 것이라 예상한다. 누군가의 선동하는 말에 휘둘려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나의 생각을 명료하게 가질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연극을 보고 난 후, 스스로가 기준이 될 수 있도록 더 단단하고 용기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했다.

Sort:  

Thank you for sharing on steem! I'm witness fuli, and I've given you a free upvote. If you'd like to support me, please consider voting at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 🌟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33
JST 0.034
BTC 112203.77
ETH 4318.55
SBD 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