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O 파헤치기 - 엠블(MVL)체인_7편(엠블체인(MVL)의 앱(APP) 구현모습 1편)

in #app6 years ago

mvl.png
엠블체인(MVL)

현재 ICO Pre-Sale 2차를 진행중인 블록체인기반 자동차생태계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엠블체인(MVL)은, 이번 Pre-Sale이 마무리되면 메인세일 진행 후 ICO를 마감한다고 합니다. 현재까지는 성공적인 ICO단계를 진행중인 엠블체인(MVL)이 어떤 토큰인지에 대해서는 앞선 글들에 설명을 해 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이런 블록체인기반 자동차생태계 구현을 목표로 하는 엠블체인이 구체적으로 어떤 모습으로 실제로 앱(APP)을 구현할지에 대해서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볼까 합니다. 참고로 제가 지향하는 포스팅은 하나에 장문의 글을 쓰는 것 보다는 최대한 짧게짧게 끊어서 단편으로 하나씩 가볍고 빠르게 읽어볼 수 있도록 지향하는지라, 어플도 엠블체인(MVL)에서 소개한 화면들을 하나씩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첫 번째 편으로 살펴볼 부분은 엠블체인(MVL)의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입니다.

앱1.png

실제로 엠블(MVL)이 앱(APP) 정식런칭을 할 때, 이 화면들을 그대로 구현하게 될지는 미지수이지만 우선 일종의 앱 화면 로드맵 개념으로 백서에 그려놓은 어플화면이기 때문에 최대한 이 구조를 비슷하게 따라가게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세세하게 살펴보면 엠블체인(MVL)의 엠블럼을 상징하는 마크와 색상이 메인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장단점은 있을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강한 인상을 남겨줄 수 있어서 긍정적인 면이 있을 것이라 보여집니다.

그리고 밑에는 운전사/승객/정비사/차량데이터 네 가지 버튼이 있는데, 각자 엠블체인(MVL) 생태계 속에서 자신이 어떤 역할의 구성원인지를 선택해서 들어가면 각자 그에 맞는 다음 내용들이 나오도록 구현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밑에 내 지갑을 하이드바로 가려놓고 누르면 바로 올라올 수 있도록 한 점은 매우 좋은 부분같습니다. 사실 블록체인 기반, 그것도 토큰을 순환시키는 앱이라면 유저들이 제일 관심을 가지게 되고 습관적으로 누르게 될 수 밖에 없는 부분이 지갑부분인데 지갑을 버튼으로 누른 후 다음화면으로 넘어가게 되면 그만큼의 전체화면을 전환시켜야 되는 만큼 트래픽이 또 발생하게 되지만, 하이드바로 가려놓고 누르면 올라오게 되는 구조라면 로딩부터 이미 지갑내용들이 불러와져 있기 때문에 트래픽 발생에 좀 더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대로 구현이 될지 안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요.

아무튼 실제 앱을 통해서까지 구현을 하는 엠블체인(MVL)인 만큼 실제로 유저가 직접 접하게 될 앱(APP)에 대해서는 더욱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ICO단계에서의 실패를 줄이기 위해서는 더욱 꼼꼼한 관점에서의 접근이 피룡하겠지요. 그런 관점에서 다음편에서 이어서 앱을 계속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7
BTC 64912.75
ETH 3524.22
USDT 1.00
SBD 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