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다노(Cardano:ADA)의 기본적 분석 2탄

in #ada6 years ago

안녕하세요.. 쉬는타임 티타임한번 가지고 다시 돌아왔습니다.
1탄에 이어서 2탄을 써보겠습니다 혹시 1탄이 궁금하신분은 https://steemit.com/ada/@coduck/cardano-ada-1
보고오시면 될거같습니다 ^^

1탄에서 못끝낸 기술적분석을 이어서하겠습니다 !

  • 발행량 분석

카르다노 세틀먼트 레이어(CSL)의 한 부분이었던 에이다 토큰 쿠폰의 분배는 2015년 10월에서 2017년 1월 초 사이에 네 단계에 걸쳐 일어났습니다. 네 번의 분할 발행 동안 총 에이다 쿠폰의 20%에 해당하는 5,185,414,108개의 토큰이 판매되었습니다.

토큰 쿠폰을 구매한 국가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초기 분할 발행량을 매입한 국가 비율을 나타낸 도넛 그래프를 보면 일본인 홀더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에이다는 마운트곡스 파산 이후, 비트코인으로 대표되는 암호화폐에 보수적이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했던 일본인들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암호화폐로도 유명했습니다.

에이다의 현재 발행량은 ​31,112,483,745 ADA 이며 그 중 ​25,927,070,538 ADA가 거래되고 있습니다. ​최대 발행량은 ​45,000,000,000 ADA 이며, 카르다노 측은 이 이상의 코인 발행은 없다고 확고히 공표했습니다.

에이다의 발행과 보상

카르다노 플랫폼의 타임라인은 테스트넷 시대, 부트스트랩 시대, 보상 시대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현 시점은 부트스트랩 시대에 해당됩니다.

부트스트랩 시대에는 에이다를 구매한 사람들이 코인을 태환함에 따라 지분은 자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노드들의 풀에 위임됩니다. 이 시기에는 블록 보상이 이뤄지지 않으며, 네트워크는 무료로 유지됩니다.

카르다노는 부트스트랩 시대 (Bootstrap Era)이후 보상 시대 (Reward Era)를 시작한다고 공표했습니다. 보상 시대의 네트워크는 완전히 탈중앙화된 상태입니다. 이 시기에는 많은 지분을 보유한 이들의 온라인 노드들이탈중앙화된방식으로프로토콜을유지함에따라적은 지분을 보유한 이들도 보상을 받게 됩니다.

  • 마케팅 분석

인지도 관리 분석

카르다노는 자체 공식 홈페이지, Github, Twitter, Facebook, Reddit 등의 다양한SNS채널을 활용하여 투자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의 위클리 보고서와 Github을 통해 꾸준히 투자자에게 개발상황을 공개하고, Forum, Chat, Twitter, Facebook을 통해 투자자에게 즉각적인 뉴스가 전달되고 댓글로 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합니다.

카르다노의 공식 홈페이지는 금융과 현대 과학에 대한 운영진·개발진의 철학적인 생각부터 개발에 기초가 되는 기술적인 논문 공개까지 방대한 양의 정보를 투자자들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다만 백서가 난해하다는 의견이 많아, 전문 지식을 갖추지 못한 투자자들도 카르다노의 의도를 이해하기 쉽게 표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혁신성 분석

기존 암호화폐의 문제점

확장성의 문제

현존하는 모든 암호화폐의 설계가 직면한도전은실제로확장성을갖도록설계되지않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블록체인은블록들의추가가가능한연결리스트일뿐입니다. 블록체인 프로토콜의 보안 및 가용성은 전체 복사본을 보유한 많은 노드들에 달려 있는데, 노드가 증가한다 해도 단일 바이트의 데이터가 n개의 노드들에서 복제될 뿐 트랜잭션 능력 등의 자원이 증가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네트워크 중계가 증가할수록 같은 작업을 하기위해더많은자원이소비됨을의미하며, 암호화폐가레거시금융시스템과동등한글로벌네트워크로확장하는데있어걸림돌입니다. 레거시 인프라는 확장성이 뛰어나고 처리 및 스토리지 성능에 부하가 걸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확장성의 해결책

카르다노의 합의 프로토콜은 합의 노드의협의체를선출하는탈중앙화된방법을제공하는데, 이를 통해 대규모 인프라 제공자들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카르다노 로드맵에서는 카르다노의 발전 단계를 역사적 인물의 이름을 딴 에포크 (Epoch)으로 나누고, 한 에포크마다 협의체를 선출합니다. 이는 특정한 기간 동안 원장을 유지할 거라고 신뢰할 수 있는 노드 집합을 갖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러 협의체를 동시에 선출하고트랜잭션들을다른협의체로분할하는것은쉬운일입니다. 비슷한기술이네트워크 전파 및 블록체인을 파티션으로 분할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습니다.

  • 경쟁사 분석

카르다노는 3세대 블록체인의 대표주자로 불리는 만큼, 경쟁사는 2세대 블록체인으로 이미 생태계를 구성한 이더리움, 또다른 3세대 블록체인이라고 불리는 이오스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 (Ethereum)의 경우 크게 4단계로 분류되는 로드맵을 따라 개발되고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표현이 가능합니다. 가상 화폐 거래를 위해 코인을 채굴· 발행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프론티어 단계(1단계), 이더리움의 성장을 위해 각종 기능을 업데이트하고 보완하는 홈스테드 단계(2단계), 이더리움의 대중화와 본격적인 활용이 기대되며, 알고리즘이 PoW에서 PoS 방식으로 전환되는 메트로폴리스 단계(3단계), 이더리움의 최종 단계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기록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블록체인이 완성되는 시기인 세레니티(4단계). 이더리움은 현재 3단계까지 개발되어 있고 Dapp을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확장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트코인처럼 기축통화로서의 역할을 하며, 장기간 시총 2위를 지키고 있는 우량한 암호화폐입니다.

이오스(EOS)는 최초의 블록체인 OS (Operation System)를 표방하는 프로젝트로서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을 개발, 운영하기 위한 플랫폼입니다. 이오스는 DApp의 가장 큰 문제점인 스케일링 문제를 보완하여 고성능을 요구하는 상용화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스케일링이 가능하며 플랫폼을 사용할 때 마다 들어가는 비용이 없습니다. 또한, DApp을 실질적으로 개발하는 것은 탈중앙화라는 쉽지 않은 요소 때문에 고민할 것이 많습니다. 이오스는플랫폼차원에서지원하여개발자의노력을최소화합니다. 이는이오스의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누구든 소스코드를 사용하여 블록체인을 런칭할 수 있고 수정도 가능합니다.

3세대 블록체인을 표방하는 카르다노의 경우, 앞선 암호화폐들의 단점을 철저히 반성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선택, 레이어 설계 등의 모든 개발 단계에서 로드맵과 개발 철학에 합목적적인 수단을 택한고 성실한 개발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 투자자들의 신뢰를 획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진행된 개발 상황으로는 카르다노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적인 평가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3세대 블록체인이라면 기본적으로 1, 2세대의 기본적인기능을제공하는데에무리가없어야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에이다의 경우 1세대 블록체인의 화폐로서의 역할은 충실히 하고 있지만, 그 외의 기능은 아직 개발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 유동성

거래소 상장 상황

현재 카르다노의 암호화폐인 에이다는 Bittrex, Binance, Coinnest, Gate.io, Mr.Exchange, Upbit, Bitmex 등의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카르다노 측의 공지에 따르면 Bitfinex와 Cryptopia에도 상장될 예정입니다.

에이다의 시총이 5위임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 더 많은 거래소들에 상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 로드맵 분석

카르다노의 개발 단계는 Byron, Shelley, Goguen, Basho, Voltaire의 단계로 나뉘어 있으며, 현재는 부트스트랩 단계인 Byron 단계를 완성하고 Shelley 단계를 이행 중입니다. 첫째, 카르다노가 로드맵에 현재까지의 목표 이행률과 담당자를 공개하는 것, 둘째, 위클리 리포트에서 한 주에 있었던 기술 개발 사항을 투자자들과 공유하는 것, 셋째, Github에 소스를 공개하여 peer review가 가능하게 하는 것, 넷째, 로드맵에 새롭게 추가되는 세목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카르다노의 연구진과 개발진들이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성실히 매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좀더 냉정한 시각에서 볼때, 완전히개발완료된것은PoS로시작해메인넷을구성하는 단계 뿐이기 때문에 앞으로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여러 개발 이슈가 발생할가능성을고려할 필요성은 있습니다.

  • Byron (부트스트랩) : IOHK는 약 2년의 연구기간과 1년의 개발 기간동안암호화폐의 기술스택을 설계하고 만들었습니다.
    - 카르다노 SL 메인넷 개시 (진행률 100%)
  • Shelley (탈중앙화) : 셸리는 카르다노의 주요 요소들이 완전히 탈중앙화되고 자동화된 시스템으로 기술이 발전하도록 보장하는 것을 겨냥하고 있습니다. 2018년 2사분기로 예상합니다.
    - Ouroboros 위임 시작 (진행률 75%)
    - 다중서명 트랜잭션 (진행률 35%)
    - 미들웨어 (진행률 40%)
    - 합의 인센티브와 수수료 (진행률 45%)
    - 기밀금고; 양자 저항 서명 (진행률 50%)
    - 경량 클라이언트 지원 (진행률 20%)
    - 읽기 쉬운 주소 체계 (진행률 20%)
    - 더 넓고 동적인 탈중앙화 네트워크 (진행률 20%)
    - 투표 센터 (진행률 20%) - 종이 지갑 (진행률 10%)
    - 테스트넷 및 메인넷 출시 전략 (진행률 50%)
    - 홍콩에 코워킹 스페이스 설립 (Newly Added)
    - 도쿄에서 월 1회 개발자 및 기업 대상 미팅 개최 (Newly Added)
    - 엑셀러레이션 프로그램 및 MOX와 파트너십 계약 (Newly Added)
    - 블록체인 기업에 대한 투자 (Newly Added)
    - Distributed Futures 연구 (Newly Added)
    - Ledgerwallet의 카르다노 지원 (Newly Added)
    - 카르다노 직불카드 출시 (Newly Added)
    - 카르다노 소프트웨어 감사 (Newly Added)
    *Goguen : 차세대 가상머신과 보편적 언어로 된 프레임워크가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인프라로 이용되도록 설계하고 있습니다.
    - 사이드체인 (진행률 5%)
    - 회계 모델 (진행률 10%)
    - 카르다노 SL과 CL에 통합될 플루투스 코어 언어 개발 (진행률 12%)
    - 스마트컨트랙트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보편적 언어 프레임워크를 장착한 IELE 가상머신 V1 (진행률 33%)
    - 스마트컨트랙트 배포 및 상호작용 (Newly Added)
    *Basho : ​(성능 개선, 보안 및 확장성에 초점)
    *Voltaire : (확장성, 보장성에 초점, 재무 모델의 도입을 통한 블록체인 지속성과 자족성 획득)

-트렌드 분석

시장 트렌드 분석

각종 블록체인과 암호화폐가 차세대 주역으로서의 자리를 꿰차기 위해 각축을 벌이고 있고, 현 기축통화의 기술적 물리적 한계도 분명한 상황이지만, 실제로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의 지위를 넘 볼 수 있는 암호화폐는 그다지 많지 않은 실정입니다.

카르다노가 로드맵에 따라 얼마나 개발이 진행되었는지의 정도는 긍정적으로도 평가 될 수 있고(꾸준한 개발 과정 업데이트와 로드맵 업데이트) 부정적으로도 평가될 수 있지만(100% 완료된 것은 메인넷 개시 뿐이기 때문), 로드맵의치밀성만고려했을때는카르다노가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부분이 많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합의기구를프로토콜에포함시켜암호화폐체계의지속가능성과안정성을확보한것이 그러합니다. 업데이트에 대한 이견이 있을 때 이를 반영하는 방법에는 하드포크와 소프트 포크가있는데, 기존의몇몇코인에서는하드포크과정에서의의견불일치가투자자와이용자 들에게 다소의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이에 반해 카르다노는 소프트포크를 기본업데이트방식으로채택하여투자자및사용자들의 중요한 욕구 - 그들이 지지하는 블록체인 시스템의 정체성이 위협받지 않길 바라는 욕구-를 빠르게 포착했다고 생각됩니다.

구글 트렌드 분석

  • ‘ADA Coin’ 검색 결과
  • ‘Cardano Coin’ 검색 결과
  • ‘Cardano ADA’ 검색 결과

Ada와 Cardano는각각세계최초의여성컴퓨터프로그래머와르네상스기의수학자· 과학자· 자연철학자였던 인물의 이름을 딴 것으로, 단독 검색 시 인명으로 검색될 가능성이 있어 ‘Cardano coin’, ‘ADA coin’, ‘Cardano ADA’와 같은 키워드를 활용해 구글 트렌드를 분석했습니다.

먼저 ‘ADA coin’으로 검색했을 때 눈에 띄는 국가는 대한민국이지만, 다른 키워드로 검색한 순위 5위 안에는한국이없습니다. 한국에서에이다가가장많이거래되는거래소인업비트에 ADA라는 명칭으로 상장되어 있기 때문이겠지만, 한국인들은 국제적으로 더 많이 사용되는 명칭인 Cardano라는 용어에는아예익숙하지않은것으로보입니다. 에이다의가격이급격히 상승하면서 매력적인 투자 대상으로서 한국 대중의 많은 주목을 받은 데 반해 에이다라는 암호화폐와 그 특징 자체에 대한 정보는 상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고추론할수 있습니다.

한국을 제외하면 모든 키워드 검색에서 5순위 안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국가는 슬로베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입니다.

마지막으로

긴글 읽어주시느라 감사합니다 ! 다들 가즈아 성투 가즈아~~

Sort:  

글 잘읽었습니다. 저도 에이다 투자자입니다.
아무래도 댄의 영향력이 남아있는 스팀이라 에이다는 이곳에서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한 것 같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0811.28
ETH 3369.34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