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엔진]토큰발행과 실세계 사업 제안2

in #kr5 years ago

지난번 [스팀엔진] 토큰발행과 실세계 사업 제안 에서 많은분들이 의견을 주셨습니다. 이에따라 위 사업을 진지하게 검토중이며 앞서 제시했던 문제점들의 해결책을 찾고있는 중입니다.

앞으로 진행될 위 실세계사업은 아마 아래의 기사 내용과 비슷한 형태로 진행 될것입니다.


https://m.blog.naver.com/fbmdiezfscn/221543024965


위 사업이 실제 스캠인지 아닌지는 알수 없습니다. 직접 카자하스탄에 가볼수도없고 그 나라의 언어를 아는것도 아니니까요. 다만 핵심 내용은 이렇습니다.

  1. 카자하스탄 정부에서 대규모 태양광 사업을 진행
  2.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해 파시떼 코인을 발행
  3. 파시떼 코인 사전 판매
  4. 파시떼 코인을 보유한 비율대로 태양광발전의 수익을 분배

위 기사를 먼저 접한건 아니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한다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가 했던 실세계사업과 동일합니다. 수익을 US달러로 줄지 코인으로 분배할지는 모른다는것이 다른점이라면 또 다른점이겠습니다.

사실상 신뢰도 측면에서 스팀엔진으로 개인이 발행하는 토큰보다야 국가적 차원에서 진행하는쪽이 더욱 신뢰가 가겠지만... 토큰 발행시 적게 분배가 된다면 그것역시 제 수익이 올라가는 것이기때문에 투자자나 저나 손해는 없습니다.


애초 제안했던 사업의 문제점들에 대한 일차적인 보완 사항입니다.

  1. 투자자를 모집 후 스팀을 판매하여 태양광 사업을 진행하기는 어렵다는 판단입니다.
    해서 제가 직접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하게 되기까지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codingman님이 제안해주신대로 실제 수익이 이루어지는지를 먼저 확인시켜드리는 과정이 필요할것같습니다. 올해 완공예정이었던 제 태양광은 비록 내년 상반기 완공으로 미뤄졌만..(한전의 예산부족문제로ㅠ) 그만큼 자본을 모을 시간을 더 벌었다고 생각하고있습니다.

  2. 직접운영에 따른 실세계사업과 동시에 이루어져야하는 서브플랜을 구축 할 예정입니다.
    실제 현금은 저 혼자 투자함에 따라 토큰구입에 따른 수익률이 현저히 낮아질것입니다. 사업은 수익을 내기위함인 만큼 이 사업을 함께 진행하는 모든 분들 , 그리고 저 본인의 수익성이 보장되어야하는만큼 보팅, 에어드랍 등을 통해 수익률을 극대화 할수 있는 서브플랜을 구축 할 예정입니다.

  3. 수익의 배분은 여전히 문제입니다.
    사실 현금으로 분배하는게 가장 좋습니다만, 현금으로 분배 시 수익성이 투명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생깁니다. 이 부분은 실제 토큰 발행 전 투자자분들과 상의 할 예정입니다.

  4. 100kw에서 태양광 용량을 늘릴 예정입니다.
    같은 사업을 하는 형님이 제법 저렴한 가격에 내년 4월 완공 예정인 태양광을 매입할 의사가 있는지 물어보았습니다. 현재 투자할 필요는 없고 연말즈음 계약금 및 중도금을 요구하였고 현재 계획상으론 300kw까진 무난히 매입 가능할듯합니다. 현장답사와 사전브리핑을 듣고 이 제안이 사실일 경우 개인것 100kw보다 먼저 진행될 수 있습니다.

  5. 세금문제
    세금은 해결책이 나올 듯 합니다. 전문가는 아니고 회사 경리팀장님과 상의해본 결과 부가세는 어짜피 뻔한 것이고 소득세는 근로소득세와 사업소득세는 별개로 책정이 가능하니 투명하게 나올 수 있다고합니다. 건강보험료가 오르긴 하겠지만 4~5만원선에서 오늘것으로 예상되므로 보팅으로 지원해주셨으면 합니다. 주에 여러번(몇번인지 정해지지않아서) 정도 발전량 및 전기가격을 브리핑 할 것이므로 그곳에 보팅으로 지원 부탁드리겠습니다.(실제 진행이 될 시)


일주일간 새로 알아본 정보와 고민끝에 직접 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JJM, SSC, MINI, SCT 등등 많은 토큰들에 비해 수익률은 상당히 떨어질것으로 예상되긴합니다만, 보팅지원 등으로 그 갭을 최대한 매꿔보려고 합니다. 다른 리스크들 보다 가장 큰 리스크는 스팀 가격 자체의 변동성이 될듯합니다만... 이부분까지 감안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역시 다시 생각해보겠습니다.


사업제안3을 언제 올릴지 알순 없으나 다음포스팅으로 생각해둔 것이 있습니다.

  1. 토큰 판매 후 예상되는 수익률을 계산해보고자 합니다.
    실제 수익과 보팅으로 드릴 수 있는 수익을 합하여 그 예상치늘 계산해 보겠습니다.

  2. 위 사업이 진행되기 위한 태양광발전사업은 무엇인가.
    말 그대로 투자유치를 위한 포스팅이 되겠습니다. 태양광은 무엇이고 어떻게 수익을 내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주 오래 전 올렸던 것도 같지만, 다시 깔끔하게 정리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Sort:  

4번이 살짝 걸리네요.
완공 예정인데 굳이 지인에게 매각 한다는 것이요.
왜 매각하는지 예산 부족인지 다른 문제가 있는지의 체크가 필요해 보이네요.
그분의 플렌으로 사업이 진행 되었을 텐데 일부 매각한다는 것이 체크가 필요해 보이네요.
수익성이 있는데 굳이 수익성을 지인에게 양보한다는 것은 현실사회에서는 애매하고요.
매각의 사유를 체크해봐야 할 듯요.

네, 이부분은 주중에 한번 만나보려고 합니다. 그럴 사람 아니라고 생각하면서도 돈이란게 참 무서운것이니까요..

코인을 발행하고 수익 배분은 해당 코인을 보유한 비율에 따라 수익 분배를 하시면 될 듯요. 수입 배분은 다른 코인으로 1코인이 고정금액으로 고정 코인으로 에어드랍하고 해당 코인을 스팀전환으로 전환하거나 다시 초기 투자를 위해 발행한 코인을 매입 독점 코인으로 활용 한다면 괜찮은 코인이 될 듯 싶네요.
참고로 초기 투자 코인을 staked 기간에 따라 에어드랍 배당코인을 지속적으로 지급해주고 지급받은 코인은 다시 투자 코인을 매입 할 수 있게 함으로서 코인을 순환 시스템을 구축하고요.
처음 투자 코인을 스팀으로 매입하고 그 다음 부터는 투자코인을 보유한 만큼 수익의 배당을 에어드랍 코인으로 지급하고 그 코인만이 초기투자코인을 매입할 수 있게 하면 스팀과 해당 에어드랍 코인을 스팀엔진에서 활발이 거래가 되고 투자 코인은 자체 staked 시켜 staked 된 기간만큼 다시 에어드랍 코인을 지급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는 것도 괜챃아 보이네요.

그럼 초반에 토큰을 두개를 만들어야겠군요. 배당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깊이 생각해보지 않았으나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지속적인 투자유치를 위해 초기 투자코인은 계속 열어두는게 좋을것같다고 생각하는 중이긴 합니다. 제가 이해한것이 맞다면 스테이킹과 에어드랍으로 받을 수 있는 코인이 중요하고 스테이킹 물량이 아닌 에어드랍 물량으로 분배하면 훨씬 깔끔한 분배가 가능할것 같네요.

예를들어 스테이킹 1000SET(SOLAR ENERGY TOKEN) 당 1 RET(Renewable Energy Token)을 에어드랍하고 이 RET의 비율로 에어드랍 하는게 좋겠네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흥미있는 제안입니다. 풀봇 드리고 자세히 읽어봐야겠네요.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2
JST 0.028
BTC 65435.53
ETH 3559.74
USDT 1.00
SBD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