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h Material] #11 꿈 세계는 일관적이고 객관적이다. 자기암시법.

in Korea • 한국 • KR • KO5 years ago (edited)

Seth Material이라고 오래된 외계인과의 채널링한 책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꿈과 의식관련된 내용을 모은 책이 Seth, Dreams and Projections of Consciousness입니다.

Beyond Reality Researcher로서 이 책을 분석하고, 깨달은 점들, 느끼는 점들을 같이 적어볼까 합니다.

image.png

이전글 - [Seth Material] #10 행위의 결과보다 감정이 중요하다


꿈 세계도 일관적이다!

  • 내부 세계도 외부 세계만큼이나 풍부하고, 복잡하고 변화가 심하다. 꿈 현실(dream reality)는 내부 세계의 한 면에 불과하다.

  • 꿈 해석은 우리의 3차원 사고방식에 중요하다. 꿈은 우리의 동기, 욕구, 판단에 관해 일관되고 가치있는 정보를 줄 수 있다. 이것들은 일상생활에 실용적으로 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효용은 일부분에 불과하다.

  • 꿈 현실 또한 물질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이는 구조, 경치, 이미지들이 있다. 그러나 "물질"은 우리가 익숙한 규칙이 아닌 다른 규칙을 따른다.

  • 꿈은 단순한 심리적 이벤트가 아니다. 모든 꿈 속의 이벤트가 벌어지는 "객관적" 차원이 있다. 모든 현실들(모든 레벨들)에서 동작하는 근본 가정(root-assumptions)이 있다. 우리는 꿈 현실의 근본 가정들을 찾아내야 한다.

  • "객관적" 꿈 차원은 우리나 우리의 꿈에 관계없이 존재한다. 꿈 차원에서는 내 꿈과 너의 꿈의 각각의 존재가 있다.

  • 만약 네가 꿈속 풍경을 맵으로 만들고 싶다면, 수 백만의 숙련된 꿈꾸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 사람들이 꿈 속 환경과 꿈 장소들이 존재하는 환경을 구별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 물질 세계에서 의식들이 합쳐져 서로 공유하는 거대한 물질적 이벤트를 만들듯이, 꿈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거대한 세계가 만들어진다. 꿈의 세계가 개인 이벤트로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란 것이다.

꿈을 기억 하는 방법

  • 꿈을 기억하는 방법은 잠들기 전에 다음과 같은 자기 암시를 하는 것이다.
    "나는 아침에 일어나 꿈을 기억할 수 있고 꿈일기를 쓸 것이다."

  • 꿈일기를 쓸때는 최대한 꿈 내용을 끄집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명심할 것은 꿈일기를 쓸 때 일상의 활동들이 벌어지게 전에 써야 한다. 즉 몸을 움직인다거나, 알람을 듣고 깨서 스마트폰을 본다거나 하는 행동을 하지 말아야 한다.

  • 또 중요한 것은 우리의 가능성을 제한하지 않는 마인드이다. 때론 두려움도 인정하고 그러한 부정적 에너지를 내보내야 한다.

  • 보통 아침에 깨서 기억나는 꿈만 적는데, 그것보다는 꿈 하나 하나 끝날 때마다 깨서 쓰는 것이 좋다. 그런 자기 암시를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꿈의 기억은 매우 신선하고 분명하다. 만약 매번 깨기 싫다면 다음과 같이 자기암시를 해라.
    "나는 처음 세 개의 꿈을 기억할 것이다"
    (보통 하루에 4-5개의 꿈을 꾼다)

  • 또는 다음과 같은 자기암시문도 좋다.
    "나는 처음 다섯개의 꿈을 꾼 후 깨어날 것이다. 그리고 즉시 그것들을 하나 하나 기록할 것이다."

  • 꿈속에서 잘 모르는 드림 캐릭터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우리는 자기 암시만으로도 꿈을 기억하게 할 수 있는데, 자기암시는 꿈의 본성도어느정도 바꿀 것이다.

  • 꿈을 기억하는데 있어서 자던 방에서 다른 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꿈을 기억하지 못하게 한다. 몸을 움직이는 것이나 외부 자극은 꿈을 기억에서 사라지게 한다. (꿈을 꾸던 자세로 돌아가면 꿈이 기억나는 경우가 있다.)

  • 나중에 꿈 속에서 하고 싶은 것들에 대한 자기암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은 먼 얘기지만, 우리 내부 존재는 이러한 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

  • 모든 레벨(레이어)의 성격(personality)은 의식적이다. 그것들은 단순히 각각의 부품처럼 동작한다. 그래서 한 레벨의 존재가 다른 레벨의 존재를 인지하지 못하기도 한다. 규칙에 의해, 깨어 있을 때의 우리의 존재는 잠잘 때의 존재를 알지 못한다. 또 반대로 꿈 속에서는 깨어 있을 때의 환경과 같은 곳을 경험하기 어렵다. 꿈을 꿀 때는 깨어 있는 존재를 잊어버린다. 이 때는 잠자는 존재가 바로 우리이다.

  • 이러한 두 상황은 연결된다. 그리고 분명 두 상황 모두에서 존재하는 현실도 존재한다. 바로 이 연결점이 우리가 찾는 것이다! 오직 이 연결점을 찾음으로써 우리는 인간 본성과 동작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 에고는 물질 세계와 우리 존재간의 관계를 책임지고 있다. 에고는 주로 물질적 현실에 초점을 맞추도록 되어 있는데, 꼭 그럴필요는 없다. 우리는 훨씬 더 많은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두려움, 무지, 미신과 같은 것들이 우리의 능력을 제한한다. 심지어 이러한 제한은 물질적 세계에서도 비효율을 불러 일으킨다.

  • 잠자는 시간을 아까워하는 것을 보면 놀랍다. 우리가 자는 동안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데 에고는 이것을 모르고 이런 생각을 한다.

  • 우리는 꿈의 경험들이 얼마나 생산적이고 우리의 전체적 경험들과 끼워 맞춰진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요약

  • 꿈 세계도 물질 세계처럼 꿈 세계의 원리에 근거하여 일관적이고 객관적이다!
  • 꿈을 물질 세계에 관련하여 욕구해소, 문제해결에 도움이 된다
  • 꿈을 기억하는 방법은 자기암시가 매우 효과적이다. "나는 아침에 일어나 꿈을 기억하고 기록할 것이다"

참고

본 내용은 다음 책을 참고했습니다.
image.png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1
JST 0.034
BTC 110601.27
ETH 3882.01
USDT 1.00
SBD 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