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이코노미 풀어내기] 7. 블록체인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in #tokeneconomy6 years ago (edited)

토큰 이코노미 설계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지는 않지만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들이 꼭 알아야 하는 것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특성상 이해하기 쉽지 않은 요소인 On-chain과 Off-chain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온체인은 블록체인 위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을 통칭하는 표현이며, 오프체인은 블록체인 외의 영역, 예를 들어 운영사 서버 같은 곳에서 일어나는 활동들을 의미한다. 이 두 가지는 작동 방식이나 비용, 효율성 등에서 완전히 다른 종류의 활동이기 때문에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들은 그 차이점과 장단점을 명확히 알고 있어야 정확한 설계를 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모든 거래나 활동은 온체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블록체인에 기록된다는 특성 때문에 온체인이 갖는 가장 큰 특성은 불가역성이다. 즉, 한번 기록하면 블록체인 자체가 사라지기 전에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반영구적으로 보존된다는 장점이 있겠지만, 개인정보와 같은 민감한 데이터가 블록체인에 기록된다면 치명적인 실수일 것이다. 블록체인은 누구나 읽을 수 있기에 온체인에 올라오는 정보는 신중히 선택해야 하며, 만약 선별적인 공개를 원할 경우에는 따로 암호화해서 올려야만 한다.

온체인 활동은 여러 제약 사항들 또한 가지고 있다. 먼저 수수료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분권화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에서는 모든 활동에 대한 비용을 각자가 부담하게 되어있다. 따라서 모든 온체인 활동에는 수수료가 수반된다. 이용자에게든 토큰 생태계 운영자에게든 수수료는 많아봤자 좋을 게 없는 존재이기에 불필요한 온체인 활동은 가능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든 온체인 활동의 전파속도는 블록체인의 블록타임(블록을 하나 만드는데 걸리는 시간)에 종속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물론 여기에서 전파(broadcast)와 확인(confirm)은 구분되어야 하겠지만, 컨펌이 없는 단순 전파는 종종 발생하는 가벼운 포크(fork)나 의도적인 방법 때문에 취소가 가능하기에 안정적인 토큰 이코노미를 위해서는 컨펌이 수반된 블록타임이 기준이 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말해보자면 블록타임이 1분인 블록체인에서는 실시간이라는 최소 단위가 1분이기 때문에 1분보다 빠른 빈도로 발생하는 활동은 온체인으로 담아낼 수 없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초당 거래시간(TPS, Transactions Per Second)으로 대변되는 확장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다행히 최근에는 TPS가 높은 블록체인들이 점차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고민은 조금씩 줄고 있는 추세이다.

온체인 활동을 조금만 더 자세히 살펴보면 거래의 종류별로 수수료가 달라지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온체인 활동에 소모되는 블록체인의 자원이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활동은 CPU를 더 필요로 하며, 어떤 활동은 RAM을 더 필요로 한다. 또 어떤 활동은 저장장치를 소모하고, 어떤 활동은 네트워크 데이터를 소모한다. 이것들이 각각 다르고 RAM과 같은 자원의 가격은 다른 것보다 훨씬 비싸기 때문에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들은 이런 부분에 있어서 개발자들과 긴밀한 협의를 하면서 이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야만 한다. 예를 들어 Graph Analysis와 같이 컴퓨팅 자원을 상당히 많이 먹는 계산은 온체인으로 할 경우 비용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 이를 상회하는 효용이 없다면 오프체인으로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자세히 다루지 않겠지만 온체인 활동은 한번 더 분류가 될 수 있는데, 하나는 Consensus 활동이고, 다른 하나는 Non-consensus 활동이다. 컨센서스 활동이란 블록체인의 핵심이 되는 활동이며, 이것이 빠질 경우 블록체인의 정합성은 깨어지게 된다. 즉 완전히 다른 블록체인으로 취급을 받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비컨센서스 활동은 없어도 그만인 블록체인 기록이다. 즉, 비컨센서스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있어서 누구나 다 볼 수 있지만,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에서 따로 검증을 하지는 않는 부록과도 같은 존재인 것이다.

오프체인 활동은 온체인과는 달리 제약 사항들이 거의 없다. 수수료도 없고 속도도 빠르며 처리량도 많다. 물론 이는 서버 운영자가 부담하는 것이기 때문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무료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며, 실제 거래당 비용도 온체인 활동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다. 하지만 오프체인 활동의 가장 큰 단점은 완전히 믿을 수 없다는 점이다. 우리는 운영사의 서버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없으며, 어떠한 검증도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오프체인 활동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신뢰가 전제되어야 하며, 고의든 실수든간에 이 신뢰가 깨질 경우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다.

토큰 이코노미 설계자 입장에서 온체인과 오프체인을 적절히 쓰는 것은 토큰 이코노미의 사용성과 생태계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와 믿음을 적절히 조화롭게 만족시키기 위해서이다. 불필요한 온체인 활동이 많다면 사용성이 떨어질 것이고, 오프체인이 지나치게 많다면 사람들의 믿음이 떨어지고 왜 블록체인을 써야 하는지 의문이 제기될 것이다. 이 둘을 섞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는 다음 주제인 하이브리드 모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이전글] 6.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 예방
[다음글] 8. 하이브리드 모델

※ 본 게시물의 저작권은 @clayop에게 있으며 무단게제 및 도용을 금지합니다. 일부 또는 전체글을 인용할 경우 원본 링크와 저자를 반드시 명시해야 합니다.

Sort:  

댓글 달고 있는 김에 제목만 보고 일단 댓글 달면,

그냥 중앙화 서버로 할수 있다면,
블록체인으로 할수 없는 것은 별로 많이 있지 않을 것 같고요,

'블록체인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이 아니라,

'블록체인으로 하면 비용 및 비효율 증가 대비하여도 좋은 것과
블록체인으로 하기에 효용 대비 비효율적인 것'

이라는 표현이 좀 더 맞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같은 내용을 제목으로 짧게 하자면,

'블록체인이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글자만 알고 논리는 이해하지 못하는, 지천으로 늘린 멍멍꿀꿀들이
또 문구 그대로 받아들이고 오해하지 않을까 약간 염려되기는 하네요.

스팀잇 사용자 입장에서 수수료를 부담하는 온체인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스팀은 대역폭 사용 모델이기 때문에 수수료가 없습니다

블록체인 아니라, 블록체인 할애비라도,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 시스템은 없을 것이므로,

각 사용자들의 개별 계약에 따른 수수료는 없도록 하여
타 코인 대비 거래 비용 측면에서 유인을 두어 경쟁력이 있는 것 같지만,

스팀 블록체인 유지에 필요한 비용은

결국은 스팀파워 ? 또는 어떤 형태든 스팀 코인 보유자들이
그 보유 지분만큼 비율로 나누어서 부담하고 있다

고 봐야 하지 않을까요?

맞습니다. 좀 더 엄밀히 말하면 스팀과 스팀파워 보유자 모두 비용을 부담하고 있으나 스팀파워를 보유한 사람들이 조금 덜 부담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스팀파워 보유자들에게 가는 연간 보상의 10% 때문에 비용이 좀 더 상쇄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겠네요.
그냥 거래소든 어디든 스팀이나 스팀 달러 로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이,
스팀파워 로 보유하고 약간의 자동 이자를 받거나,
저작, 보팅, 임대 등으로 수익을 올리고 있는 사람들보다
조금 더 비용을 분담한다고 볼 수 있겠군요.

물론 빠른 환전에 대한 이점이 있는 것이고요.

좋은 의견 감사드립니다.

댓글 고마워요. 그런데 아래의 댓글 포함해서 그 내용을 얼추 짐작할 뿐 자세히는 모르겠네요. 어쨌든 별도의 수수료 등의 부담은 없다는 것으로 이해할게요.

여기에서 갖게 되는 의문 하나. 스팀이나 스팀달러를 실생활에서 쓰는 것은 애초부터 설계되어 있지 않았나요?

스팀 아이디를 지갑 주소로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스팀 사용자 간의 스팀 송금 거래를 편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코인들은 송금하는것이 복사 붙여넣기 나 사진찍어 주소 인식 아니면 인간 기억력으로는 주소를 외워서 송금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하지요.

이것 때문에 코인의 주요 가치 중의 하나인 익명성 장점에 상당한 손상이 오지만, 동일한 사람의 글이라는 인식을 인간이 해야하는 sns 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면도 있고요.

게임의 모든 데이터를 온체인에 담는 것은 속도 저하와 자원 낭비의 문제를 동반하는 것 같더라구요.

스팀의 RAM은 대역폭에 포함되어 있는게 맞죠? SMT후에는 RAM 이 이오스처럼 따로 분리되나요?

Resource Credit 이라는 것으로 따로 계산합니다. 스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종류는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각각 미리 계산해두는 듯 하네요.

잘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온체인과 오프체인의 적절한 조화~!

Coin Marketplace

STEEM 0.25
TRX 0.11
JST 0.032
BTC 61830.08
ETH 2986.99
USDT 1.00
SBD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