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선제타격계획에 대한 분석과 해석 - 제1단계 작전을 중심으로 (29)
<상황도 2> 선제타격작전계획 제1단계 기동계획
출처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2권
각주 27) 이와 유사한 사례는 제2차세계대전의 독불 전역과 1991년 걸프전의 사막의 폭풍작전이 있다. 독불 전역에서 대한 내용은 육군사관학교,<세계전쟁사>, 도서출판 황금알, 2005, pp.289~300. 독일군은 3개 집단군 중 A집단군을 주공으로 아르덴느 삼림지역을 통하여 프랑스군 방어선을 돌파한 후 파드 칼레 방향으로 공격하여 연합군의 퇴로 및 증원을 차단하였다. 이 작전의 성공을 위해 A집단군에 6개 군과 작전성공의 열쇠를 쥐고 있는 기갑부대의 전력의 70%를 할당하였다. 기다 히데오 저, 오정석 역, <걸프전쟁>, 서울 : 연경문화사, 2002, pp.469~474. 다군적군은 이라크군의 전략예비대인 공화국수비대를 결멸하기 위해 정면에 미 해병대를 중심으로 한 공격부대에 고착 및 견제 임무를 부여 하였고, 이라크군의 측후방에서 공격하는 미 제7군단 및 제18공정군단에게는 퇴로 및 증원차단과 격멸하는 임무를 주었다. 작전시행 간에 정면에서 공격하는 해병대의 공격이 너무 빨라 포위망이 형성되기 전에 이라크 공화국수비대를 북방으로 쫓아낼 우려스러운 상황이 발생하였다. 그러자 다국적군사령관(슈와르츠코프 장군)은 제7군단 공격개시 시간을 2월 25일 06시 에서 2월 24일 15시로 변경하여 부대의 공격템포를 유지하면서 임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진격속도와 공격시간을 조율하고 조정하였다.
@greentree, this post offering a historical perspective on military strategy is fascinating! The comparison of the preemptive strike operation plan to historical events like the Battle of France and Operation Desert Storm provides valuable context and depth. The visual aid helps in understanding the complexities of the plan, and your detailed footnotes demonstrate meticulous research.
It's intriguing to see how historical military operations continue to inform modern strategic thinking. For those interested in military history and strategy, this post is a must-read.
I'm keen to hear your thoughts on how these historical lessons might apply to contemporary geopolitical scenarios. What are the crucial takeaways from these past operations? Thanks for sharing this insightful pie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