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와 바이러스의 대결이 펼쳐지는 호주

in #kr7 years ago (edited)

d03e1d2917e3f81ddbca580fca207a70.jpg

무분별한 외래종의 도입이 문제를 만들어내는 예시중
자주 등장하는것이 호주에 도입된 토끼입니다.
유럽인들이 별생각없이 가지고온 수십단위의 토끼들은
억단위로 변해서 호주를 초토화시켰고 이 숫자를 줄이기 위해
호주 정부가 취한 방법 중 하나가 치사율 100%에 가까운 바이러스입니다.

호주 정부는 단순히 토끼처리를 위해 바이러스를 풀었겠지만
이 행위는 뜻하지않게도 자연 단위의 바이러스 실험이 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실험장에선 결코 꿈꿀 수 없는 규모의
숫자와 지역에서 인간의 의도적인 바이러스 살포가 이루어졌으니깐요.

우선 바이러스 살포의 결과는 지금도 알려진대로 실패로 끝났습니다.
흔히말하는 선택으로 인한 진화가 대륙단위로 입증된것이죠.
이에대한 원인으로 흔히 말하는 것은 내성을 지닌 토끼들의 등장입니다.
바이러스에 살아남은 토끼들이 퍼지면서 호주의 토끼들이
바이러스에 내성을 가지게된것이죠.

하지만 토끼만 변화한것은 아니었습니다. 바이러스 역시 변화했습니다.
바이러스 학자 Frank Fenner는 최초 살포가 지난 몇년 후에
바이러스를 살펴본 결과 이 바이러스들이 이전보다
덜 신속하게 작용하고 치사율도 줄어들었음을 알아냈습니다.
왜 이런일이 일어났을까요? 너무 높고 빠른 치사율은 바이러스에게도
손해였기 때문입니다. 숙주가 신속하게 죽으면 바이러스 역시
새로 퍼지기 힘들기때문에 덜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변화하게 된것이죠.
이 두가지 요소가 합쳐져 호주의 토끼 숫자는 회복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변화가 끝난것은 아니었습니다.
Pennsylvania대학의 생물학자 Andrew Read는
모든것이 장기적인 공존상태로 항상 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몇십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들이 여러 변종들로 다시 변한것입니다.
1990년대에 이들은 십여가지의 새로운 바이러스들을 실험하였고
이들중 몇몇은 기존처럼 높은 치사율을 보이며
심지어 한 종류는 기존 바이러스와는 다른 작용을하여 토끼를 죽이는
모습까지 보여줬습니다.

한편 새로운 바이러스에 토끼들 역시 대응하고 있었습니다.
새로운 치명적인 변종들은 유럽의 실험용 토끼들을 모두 죽였습니다.
하지만 호주의 야생토끼들을 대상으로 실험했을때는
살아남는 토끼들이 존재했습니다. 기존의 치사율 100%에 가까운
변화하지 않은 바이러스에도 야생토끼 중 일부는 살아남았습니다.

1990년대에 한 실험을 끝으로 20여년간 새로운 실험은 없었습니다.
그사이에 1997년에 새로운 바이러스의 투여가 이루어졌지만
위와같은 과정을 통해 토끼들은 줄어들다가 다시 늘어났습니다.
호주에서 이루어진 거대한 실험은 자연속에서
선택과 진화를 보여주며 토끼의 승리로 끝난거죠.
호주 정부는 이번엔 유전자 조작으로 대응할 계획을 세웠지만
이런저런 반대로 이루어지진 않았다고 합니다.
그 사이에 어디선가 현재 토끼과 바이러스 상태는 어떨지
새로운 연구를 진행할지도 모르겠습니다.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적자생존...그리고 진화...자연은 알면 알수록 대단한 듯 합니다.

그런 이유로 퇴치법으로 바이러스 살포는 좋은방법이 아니다란 교훈을 얻을수있었죠

리차드 도킨스의 이기적유전자 (다 읽지 않은 책) 에 나올법한 이야기네요 +ㅇ+

그렇죠 바이러스가 약화된것도 더 잘 퍼뜨리기 위함이니

생명의 신비란.... 토끼도, 바이러스도 ㅎㅎㅎ
그러다가 변종 바이러스가 사람도 죽일 수도 있겠네요...

일단 해당바이러스가 사람에 무해함을 입증하고 진행은했다지만 생각해보면 위험한 일이었죠.

우째이런일이... 자연은 인위적으로 건들지 말아야할듯요...

덕분에 외래종의 유입이 엄격해졌죠. 그래도 들어올놈들은 들어오지만

물리적인 작업이 가장 효과가 크지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요^^

실제로 세계대전 시절 세계적인 식량난이 찾아와 고기를 얻으려고 토끼를 엄청잡았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끼숫자는 유지되었다지만....

요즘은 모르겠지만
예전엔 집집마다 토끼를 키웠습니다.
번식력도 좋고 풀을 뜯어다가 먹이면 되는 동물이기에
식용으로 키웠지요.
오랜만에 토끼를 생각했네요^^

자연에 인간이 너무 개입을 하는 것처럼 보이네요. 자연 치유의 힘에 맡겨도 될텐데 말이죠.

외래종 유입부터가 인간때문이기도하고 자연 전체로 두면 사실 큰 문제는 없을겁니다. 하지만 그 자연은 토끼떼가 기존생태계를 갈아버리고 나오는거라 기존 생태계를 유지하려고 하는것이죠. 100년도 넘었으니 이미 기존 생태계는 다 갈릴만큼 갈렸겠지만....

치사율 100%라니... 살아남은 야생토끼들이 신기하네요

100%에 가까울순있어도 결국 완벽한 100%는 없다는 증명이겠죠. 그래도 초기엔 엄청 죽이긴했던거같습니다 90%이상 줄었었다고 하네요

오 정말 신기합니다... 인간의 잔인함이 느껴지기도하고 토끼와 바이러스의 대전쟁처럼 보이기도 하네요. 자연의 신비가 느껴집니다 ㅎㅎ 생각해보면 인간도 여러 바이러스들을 극복하며 진화해왔군요... 뭔가 괜히 생존의 자신감이 생깁니다 ㅋㅋㅋㅋ

흑사병같은 대규모 역병이 비슷한 일이었죠.

Coin Marketplace

STEEM 0.26
TRX 0.11
JST 0.033
BTC 64359.90
ETH 3105.50
USDT 1.00
SBD 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