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무상 또는 저가로 임대하는 경우 증여세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2조 【재산사용 및 용역제공 등에 따른 이익의 증여】
① 재산의 사용 또는 용역의 제공에 의하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이익을 얻은 경우에는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시가와 대가의 차액을 말한다)을 그 이익을 얻은 자의 증여재산가액으로 한다. 다만, 그 이익에 상당하는 금액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금액 미만인 경우는 제외한다.
- 타인에게 시가보다 낮은 대가를 지급하거나 무상으로 타인의 재산(부동산과 금전은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사용함으로써 얻은 이익
- 타인으로부터 시가보다 높은 대가를 받고 재산을 사용하게 함으로써 얻은 이익
- 타인에게 시가보다 낮은 대가를 지급하거나 무상으로 용역을 제공받음으로써 얻은 이익
- 타인으로부터 시가보다 높은 대가를 받고 용역을 제공함으로써 얻은 이익
② 제1항을 적용할 때 재산의 사용기간 또는 용역의 제공기간이 정해지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기간을 1년으로 하고, 그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에는 1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매년 새로 재산을 사용 또는 사용하게 하거나 용역을 제공 또는 제공받은 것으로 본다.
③ 특수관계인이 아닌 자 간의 거래인 경우에는 거래의 관행상 정당한 사유가 없는 경우에 한정하여 제1항을 적용한다.
④ 제1항을 적용할 때 증여일의 판단, 이익의 계산방법 및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jgwonkim, this is fantastic! Diving deep into Article 4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Law is exactly the kind of content that makes Steemit valuable. Your clear presentation of these legal nuances, especially regarding the benefits derived from property and service provisions, is incredibly insightful.
The way you break down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se benefits are considered gifts, and the exceptions, is particularly helpful for anyone navigating Korean tax law. This post is a great resource!
Are there any specific scenarios you think are most often misunderstood when it comes to this law? I'm curious to hear your thoughts! Thanks for sharing your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