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메스의 교단일기] "시험에 플라톤이 나왔어요" - 두 동강 난 토끼 되살리기

in #kr6 years ago

"한 마리인 토끼를 두 마리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아마도, 무리하게 나눈 반 토막(?) 중 어느 한 쪽을 포기하고 싶거나, 포기할 수밖에 없어서일 겁니다. 의지가 없거나 능력이 없거나, 혹은 둘 다일 수도 있겠네요. 남보다 앞서가야 한다는 대한민국 특유의 조급증에, 아이들마다의 기본적 소양을 세밀하게 키워줄 수 있는 시스템 상의 능력 부족이 겹치면서 ‘교육’이라는 애꿎은 토끼만 두 동강 난 겁니다."


며칠 여행을 다녀오고 스팀잇에 접속했더니 기분이 새롭네요. 오늘도 교육과 관련된 칼럼하나 올려드립니다. 위 발문을 보시면 짐작하시겠지만 인성교육/인문학교육과 수능대비/입시교육을 둘로 나누는 이분법적 교육관에 도전하는 글입니다. 이 글 또한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을 위해 제가 운영하고 있는 학교 블로그에도 게시되어 있습니다. 치타봇이 댓글을 달더라도 놀라지 마시길...^^

phil1.jpg

"시험에 플라톤이 나왔어요" - 두 동강 난 토끼 되살리기


“선생님, 국어 시험에 플라톤 나왔어요.”

​모의고사를 본 아이가 저에게 들뜬 목소리로 말합니다. 국어 선생님께 부탁해서 시험지를 확인해 보니 정확하게는 고대 그리스 소피스트부터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로 이어지는 철학적 흐름을 개괄해 놓은 내용이더군요.

여하튼 <철학 입문> 수업을 통해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들과 소피스트,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 대해 자세히 다루던 차였고, 때마침 수업을 하면서 ‘지금 배우는 거 국어에서 비문학 지문으로 나올지도 몰라. 하지만 시험이 공부의 목적이 아닌 건 알지?’라고까지 했으니 본의 아니게 ‘작두 탄 족집게’가 되어 버린 셈입니다.

바로 전 주에는 다른 녀석과 이런 대화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쌤, 철학 시간에 배운 데모크리토스가 영어 수능 교재에 나와요. 짱 신기해.”
“오호~ 예습 좀 했나본데? 어쨌거나, 선생님 얘기 거짓말 아닌 건 확실하지?”

고등과정에서 철학, 역사, 교양과학, 연극, 예술 등 인문학을 가르친다고 하면 어떤 사람들은 이렇게 말합니다.

“그런 건 대학가서 배우면 되지. 고등학교 때는 입시 준비에 몰두해야 하는 거 아냐?”

그런 분들에게 이렇게 말하죠.

“인문학을 비롯한 본격적인 학문 탐구를 대학에서 하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그럴 준비를 하는 것이 고등학교 과정인 것도 맞는 얘기죠. 고등학교 과정에서 학문 탐구의 준비를 어느 정도 했느냐를 객관적으로 가늠하는 것이 수학능력시험의 목적이고요.”


phil4.jpg


아이가 말한 모의고사처럼 수능 문제의 상당 부분이 ‘인문학적인’ 내용인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오죽하면 제가 농반 진반으로 수능 교재는 훌륭한 인문학 교재라고 하겠습니까?

문제는 목적과 수단이 서로 자리를 바꾸었을 때 일어납니다. 이를테면 수능 출제를 담당하시는 분들은 ‘본격적인 학문 탐구 이전 단계에서 준비가 필요한 부분’에서 문제를 냅니다. 앞에서도 말했지만 수능이란 대학에서 ‘학문을 수련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데 목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수의 학생을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객관식’이라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고요.

반면 불안에 떠는 학부모들과 거기에 편승하는 일부(?) 입시 전문가들은 공부의 현실적인 목적이 수능 대비에 있으므로 교양 따위는 일단 접고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공부’에만 집중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객관식 정답 맞추기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인문학적 지식을 수능 대비 교재라는 비좁은 창을 통해 반복적으로 주입하는 겁니다.

​요약하자면 전자는 ‘중요하니까 문제를 낸다.’는 입장이고 후자는 ‘문제에 나오니까 중요하다.’는 입장일 텐데, 언뜻 별 차이가 없는 것 같지만 후자처럼 목적과 수단을 혼동하게 되면 결국은 의도와 달리 효율이 오히려 떨어진다는 데 문제가 있죠.

아이들에게 다양한 직간접적 체험과 교양 학습을 통해 인문학적 소양을 키울 기회를 널리 제공하는 일과 그렇게 받아들인 지식과 소양을 수능이라는 측정 방식에 맞게, 수능 관련 교재를 통해 연습하는 일은 양립할 수 없는 ‘두 마리의 토끼’가 결코 아닙니다. 전자는 전자답게 후자는 후자답게, 교과 과정 내에서 균형 있게, 그리고 시의적절하게 녹여내야 할 한 마리 토끼의 두 가지 양태에 불과하다는 거죠.


phil5.jpg


그런데도 한 마리인 토끼를 두 마리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아마도, 무리하게 나눈 반 토막(?) 중 어느 한 쪽을 포기하고 싶거나, 포기할 수밖에 없어서일 겁니다. 의지가 없거나 능력이 없거나, 혹은 둘 다일 수도 있겠네요. 남보다 앞서가야 한다는 대한민국 특유의 조급증에, 아이들마다의 기본적 소양을 세밀하게 키워줄 수 있는 시스템 상의 능력 부족이 겹치면서 ‘교육’이라는 애꿎은 토끼만 두 동강 난 겁니다.

작년 수능에는 아리스토텔레스, 재작년에는 마이클 폴라니가, 3년전에는 칸트가, 그리고 그 전해에는 비트겐슈타인이 국어 지문에 등장했습니다. 그 모든 내용이 철학 수업을 통해 가르쳤던 것이었죠. 영어 지문으로 등장한 것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훨씬 늘어나는데요. 흠…, 그래서 잠깐 생각해본 건데, 철학 수업의 제목을 <수능대비 철학특강>으로 바꾸는 건 어떨까요? 이름하여 역발상! 제목이야 어떻든 애꿎게 두 동강 난 토끼를 되살릴 수만 있다면…. 물론, 농담입니다.^^


헤르메스는 어떤 사람?
인문학과 함께하는 블록체인 영단어
헤르메스의 교단일기
헤르메스의 작은생각
헤르메스의 짧은생각
헤르메스의 주제가 있는 판타지
헤르메스, 나만의 명곡
마법사 헤르메스의 One Day, One Spell
마법사 헤르메스의 Wandcraft
헤르메스의 마법속 철학

이 글은 @eversloth 님의 스팀파워 지원으로 쓸 수 있었습니다. 대역폭 제한으로 힘겨워 하는 뉴비에게 산타 할아버지처럼 몰래 스팀파워를 지원해 주고 가신@eversloth 님께 감사드립니다. 좋은 글로 보답하고 얼른 돌려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관련글: 오늘 산타 할아버지께서 찾아오셨어요.
Sort:  

아. 저도 몰랐네요. 수능교제가 인문학적 교양을 쌓는데 적절하다는 것을... 그런데, 생각해보니까, 예전 제가 대입준비하기 위한 '도덕'교과서들도 그랬던거 같네요. 입시때문에 그렇기 하지만요.

생각해보면, 모두 '마음먹기' 달린것 같습니다. 아무리 효율성을 강조하더라도 주어진 여건에서 어떤 마음이냐에 따라서 방향이 달라지거든요.

改造命運心想事成

'운명을 결정하는것은 마음먹기달렸다'는 의미겠지요. 저도 한꼭지 썼습니다. 놀러오세요. 어떤 님의 말씀처럼 영업뜁니다.
[雜記]스티미안의꿈2(STEEMITOPIA) 플랑크톤 생존전략

수능교재가 인문학 교양을 쌓는데 적절하다는 의미까지는 아니었구요.^^;;; 교육을 그렇게 자의적으로 나누지 말자는 의미에서 한 말이었습니다. 대입제도만 손바닥 뒤집 듯 바꿀 일이 아니라 교육 시스템 자체를 개혁해야 한다는 의미도 들어있구요. 말씀하신 글을 읽어보겠습니다~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수능문제가 예전과 많이 달라졌네요.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리스팀합니다.

네... 수능이 주입식 / 암기식이라는 건 동의하기 힘듭니다. 문해력이 동반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죠... 귀한 댓글 감사합니다~^^

지금 다시 수능 공부를 한다면 즐겁게, 정말 '공부한다'는 생각으로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땐 왜 그렇게 답답하고 좁은 시야로 공부를 했을까요. 글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

네... 저는 비록 학력고사 세대지만 요즘 수능 문제 그렇게 만만히 보거나 폄하되어야 할 문제는 결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충분히 느리게 즐겁게 훌륭히 공부하고 계신 분이라... 수능이 아니라 수능 할아버지라도 잘 하실 수 있을 거라 믿습니다. 따뜻한 댓글 감사드려요~^^

공감합니다. 객관식 문제를 풀기위한 교육은 사실 너무 재미가 없습니다.실력을 키우면 정답이야 따라오는 것인데, 주객이 전도되어 버렸습니다.

수십만명이 응시하는 시험에서 표준화된 객관식 출제는 사실상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볼 때 현재 수능은 나쁘지 않은 내용과 수준이라고 판단됩니다. 문제는 그걸 못 따라가는 교육 시스템이죠... 진지한 댓글 감사드립니다~^^

수능문제에 철학이야기가 나오다니.... 정말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철학은 인성 다듬는데 필수 라고 생각하는 사람중 하나라... 철학을 공부하면 인생이 훨씬 깊이 있어지니까요

네... 동감합니다. 대학인이 되고자 하는 이들에게 지혜를 사랑하는 마음가짐을 기대하는 건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어쩌면 삶 자체가 철학하기라고 해도 좋을 테니까요. 깨달음이 있는 댓글 감사합니다~

입시 위주의 교육방식이 우리나라 교육계에 만연한 것 같아요.. 서울 소재의 대학을 몇 명이나 가느냐로 아직까지 현수막이 붙는 곳도 많구요. 학교에서 입시교육만을 가르치는 곳은 아닌데 말이죠 ㅠ

서울 소재가 아니면 '지잡대'라고 폄하하는 비인간적이고 정신나간 문화도 일조한 거 같습니다. 화나는 현실이죠.ㅠㅠ

정말 실망스러운 현실이죠... 그렇게 간 대학도 이제는 취업사관학교같은 느낌이 되어버렸으니까요..

짱짱맨은 스티밋이 좋아요^^ 즐거운 스티밋 행복한하루 보내세요!

Coin Marketplace

STEEM 0.25
TRX 0.11
JST 0.032
BTC 62432.37
ETH 3003.22
USDT 1.00
SBD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