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는 어떻게 만들어지나 : LEGO Factory 엿보기
안녕하세요 10년차 레고인 브라이언입니다.
레고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은 꼭 한 번 가보고 싶은 곳이 있습니다. 덴마크 빌룬트에 있는 레고사를 방문하고 레고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직접 직접 확인하고 싶어 합니다. 저 역시 그런 꿈을 꾸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갈 수 있겠죠????
그전까지는 이런 저런 자료를 통해 레고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간접 경험할 수밖에 없는 현실이 슬프지만.... 이렇게라도 제가 수집한 정보를 짧은 글로나마 정리해서 여러분께 공유하는 걸로 작은 보람이라도 느껴야겠습니다.
레고는 ABS수지라는 원료로 만들어집니다. 레고사가 만든 영상을 보면 레고는 전세계 5곳의 공장에서 부품의 종류에 따라 다른 ABS수지를 사용해 생산한다고 합니다.
[왼쪽의 알갱이가 레고의 원료인 ABS수지입니다. 처리 과정을 거쳐 오른쪽 사진 속에 보이는 기계로 찍어냅니다]
ABS수지가 뭔지 검색(문과의 한계 ㄷㄷㄷ)을 해보았더니 위키백과에서 이런 내용을 찾았습니다.
(ABS수지의) 최종 특성은 재료가 최종 제품으로 가공되는 조건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고온에서의 성형은 제품의 광택 및 내열성을 향상시키지만, 저온에서의 성형에 의해 가장 높은 내충격성과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레고의 외형(광택, 정밀도 등)과 내구성(내열성, 강도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높은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정밀하게 금형 만들고 좋은 원료 확보해서 찍어낸다고 해서 누구나 레고 만큼 품질이 좋은 플라스틱 조립 완구(블록)을 만들 수 있는 건 아니라는 것이죠.
레고를 만져본 분은 유사 블록, 특히 중국산 블록 제품을 만지는 순간 그 조악함에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게 될 겁니다. 블록의 형태는 갖추고 있지만 레고 제품에서 느끼는 그런 '손맛'은 기대할 수 없는 것이죠. 단순한 느낌에 대한 이야기가 아닙니다.
레고는 상당히 정밀하게 설계된 녀석이라 적당한 힘을 주면 결합과 분리를 할 수 있습니다. 반복 작업을 해도 마모가 심하지 않고 처음 상태의 결합력과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합니다. 그렇지만 대다수 유사 블록은 그렇지 않죠. 과도한 힘을 줘야 하거나 너무 헐거워서 결합력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도 흔합니다.
레고 미니피겨 역시 다양한 레고 부품과 결합이 되도록 정밀하게 설계됐습니다. 요즘에는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감정을 담은 얼굴 표정과 화려하고 디테일한 복장까지 표면에 프린팅하는 수준까지 완성도가 높아졌습니다.
[왼쪽부터 투명 부품, 일반 브릭, 타이어류를 만들기 위한 ABS수지 원료의 모습]
부품이나 미니피겨도 대단하지만 레고사의 기술력을 알 수 있는 건 레고를 만들거나 가지고 놀 때 사용된는 밑판(Base Plate)입니다. 레고 밑판은 일반 부품하고 비교했을 때 단단하지 않고 상대적으로 무른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게다가 얇기 때문에 유연하게 휘어지기도 합니다.
재미난 것은 여타의 유사 블록 회사가 다른 건 다 따라서 만들어도 레고사와 같은 밑판은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사실입니다. 다른 블록처럼 단단하게 만들어내는데 정밀도가 떨어져서 그 위에 부품을 꽂아 쌓으면 위로 올라갈수록 간격이 벌어지기도 하고 아주 조잡합니다.
올해가 플라스틱 레고가 탄생한지 60주년이라고 하니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겠죠.
레고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래 유튜브 영상에서 아주 자세하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약 1분부터 보세요).
이 영상에서 제가 가장 놀란 부분은 레고 공장의 자동화 수준입니다. 원료의 이동과 배합, 가공, 사출, 보관까지 거의 모든 과정이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손이 닿는 공정은 레고 부품의 생산이 다 끝나고 포장하는 단계 정도 뿐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샘플의 색상, 표면 상태, 크기 같은 품질 관리를 하거나 금형을 정성스레 교체하고 유지보수하는 직원들의 모습도 인상적입니다.
생산이 끝난 부품이 보관된 창고는 정말 대박이네요. 마치 인터스텔라에 나오는 블랙홀 속 초월적 시공간을 연상시킵니다.
이런 고도화된 공장 자동화와 품질 관리가 있었기에 세계 완구 기업 순위에서 1~2위를 다투는 글로벌 기업으로 발돋움할 수 있었겠죠.
정품과 유사품의 차이는 묘하게 큰 것 같아요.
그러나 가격의 장벽이.. 기술력이 필요한 분야인 건 느꼈는데(중국산을 써봐서요.. ^^;;) 내용을 보니 제가 생각한 것 보다 더 섬세한 기술인가봐요.
그냥 간단하게 따라할 수 있는 건 아니지 싶어요. 그러니 여태 블록완구 1위겠죠.
한때 레고같은 블럭을 함 만들어보면 어떨까 생각하고 이런저런 검색을 했더랬지요.(중국산 유사 레고 막 판칠때...) 그랬다가 공장 자동화 동영상보고 이거 아무나 쉽게 덤빌 덩어리가 아니구나 싶더군요. ㅠㅠ
쉽게 보고 덤볐다가 낭패본 공장들이 있다고 하더라고요. 모양을 흉내낼 수는 있겠지만 품질까지 따라가기는 60년 노하우를 무시할 수 없을 거예요
얇은 판들이 떼기 힘들 정도로 단단히 붙는데 떼었다 붙였다 해도 딴딴하다니 정말 절묘한 탄력을 지녔다고 유년시절 생각했습니다. 부수거나 휘는 일도 한도가 굉장히 커서 결국에야 끈끈히 잘리는 그 느낌.
예전 브릭이 약간 더 물렀던 것 같습니다. 요즘은 그보단 딴딴한 느낌?? ㅎ
레고로 성만들고 다리만들고 차도만들고 신기한거 같아요.
레고 재테크도 있고 ~
팔로 꾸욱~❤
레고 창작품들을 보고 있노라면 레고로 못 만드는 게 대체 뭐가 있는지 궁금해집니다
레고는 마모가 안되는게 신기했었는데
유사 블럭들은 안그런 것도 있군요!
재료 배합이나 성형과정에서의 공정에 중요한 노하우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10년차의 내공이 느껴지네요.ㅎㅎ
요즘 중국산 짝퉁들 때문에 골치아픈데
카피제품이 아닌 창작품들은 나름 볼만하더라구요.
레고 공정과정 잘 보고 갑니다.
중국산 짝퉁 브랜드가 내놓는 창작품도 아픈 사연이 있더라고요. 창작가 작품을 무단으로 가져다 상품화.... 그야말로 생양아치짓을 하고 있는 경우가 흔합니다. 기가 찰 노릇이죠;;;;;
그런 사연이... 중국은 양아치집단인 건가요? T^T
하는 짓을 보면 그렇게 부른다 해도 중국은 할 말 없을 것 같아요.
ABS를 쓰는 이유는 크게보면 사람에게 무해하기때문입니다. 스마트폰 게임과 여러가지 게임 플랫폼때문에 요즘 레고회사가 많이 힘들다고하더라구요 혁신이 필요해보입니다.
지난해 13년만에 매출하고 순이익이 감소해서 1,400여 명의 직원을 내보냈습니다.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저는 기본에 충실한 제품을 만들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요즘 나오는 레고 제품은 전혀 레고 같지 않아요. 갈수록 피겨 회사가 되는 것 같습니다.
글을 읽다보니 이런 생각이 또 드네요. 공장 자동화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냐 말이 많은데... 결국에는 단순반복 작업하는 인력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되는 것 같습니다. ^^;
우선은 표준화할 수 있는 작업이라면 인간 대신 기계가 하게 되겠죠. 한 때는 콘텐츠 생산처럼 크리에이티브가 있어야 하는 일은 기계가 못할 거라 믿었는데 이미 기사를 쓰는 인공지능이 등장했으니 인간이 설 자리는 점점 더 줄어들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인공지능이나 기계가 벌어들이는 부를 어떻게 인간이 평화롭게 나눠 가질 것인지를 논의하는 게 중요한 의제라 봅니다.
아, 그렇네요. 기사를 작성하는 인공지능, 바둑을 두는 인공지능, 지진을 감지하여 알리는 인공지능, 그림을 그리는 인공지능, 영상을 합성하는 인공지능, 음악을 작곡하는 인공지능... 생각해보니 이미 많이 나왔네요. ㅠㅠ
인공지능이나 기계가 벌어들이는 부를 어떻게 인간이 평화롭게 나눠가질 것인가에 대한 고민보다도 조만간 벌어질지도 모르는 인공지능과 인간의 대립이 걱정됩니다. 기술의 발전이라는 것이 처음에는 더딘 것 같아도 어느 순간 급속도로 빨라지니깐요. ㅠㅠ
사실 그런 걱정은 상상만으로도 두려워서 미뤄두고 있어요 ㅠㅠ
ㄷㄷㄷㄷ 이왕 이렇게 된 것 블록체인으로 미리 남겨둬야겠어요.
<인공지능님, 저는 그냥 평화주의자입니다. 함께 행복하게 살아요. ^^>
ㅋㅋㅋㅋㅋㅋㅋㅋ
인공지능과 인간이 대립하기 이전에 인공지능이 레고를 회생시켜줄지도 모르겠어요. 사람들을 열광시킬만한 디자인으로요. ㅎㅎㅎ그런 행복한 상상도 해봅니다. ^^
그렇담 인공지능님 LEGOLAND 제품군 다 재발매해 주세요. (엄근진 궁서체)
!!! 힘찬 하루 보내요!
https://steemit.com/kr/@mmcartoon-kr/5r5d5c
어마어마합니다!! 상금이 2억원!!!!!!
늘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