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는 조선땅" 고지도 또 발견 / 1885을유감계담판 지도

in #kr-history6 years ago

안녕하세요. 왜곡된 역사를 우리나라 국민이 모두 알때까지 전달하는 역사 지킴이 @actor0801 입니다.
오늘은 고대부터 우리땅인 간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韓·中국경은 두만江 아닌 토문江으로 표시 1885·1909년 淸·日제작… 韓·中·日 인정한 셈 (유석재기자)
두만강 이북 간도(間島) 땅이 조선 영토였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한·중·일의 고(古)지도 3점이 잇따라 발견됐다.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이 22일 정부 수립 후 외교부 장관으로는 처음으로 간도를 중국에 넘긴 간도 협약은 법리상 무효라고 말한 가운데, 19세기 말~20세기 초 작성된 이 지도들은 간도 영유권 문제의 당사자인 조선과 청, 제3자인 일본 모두 백두산 정계비에 국경으로 명기된 토문강(土門江)을 두만강이 아닌 송화강의 지류로 뚜렷이 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육락현(陸洛現) 백산학회 총무이사가 24일 공개한 1885년 을유감계담판(乙酉勘界談判) 당시 지도(사본)는 백두산 정계비 부근에서 토문강까지 쌓았다고 적힌 토퇴(土堆)와 석퇴(石堆)가 송화강 지류 오도백하(五道白河)까지 이어진 것으로 표기돼 있다.

육 이사는 “1885년과 1887년 두 차례에 걸친 조선·청의 회담에서 양국이 모두 동간도 지역을 조선 영토로 공식 인정했다는 움직일 수 없는 증거”라고 말했다.

한편 1909년 청·일 간도협약 직후 일본측이 제작했던 ‘제9도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답사도’〈본지 9월 9일자 A1면 보도〉의 또 다른 부분도 발견됐다. 이상태(李相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이 24일 공개한 ‘제3도 백두산 부근 지세(地勢) 약도’는 토문강을 송화강 지류로 명확히 표시하고 있다. 이 지도는 ‘통감부 임시간도파출소 잔무정리소’가 1910년 3월 20일 발행한 ‘간도산업조사서’에 수록됐던 것으로, 이 실장은 “일제가 설치했던 ‘간도파출소’가 업무를 마감하면서 제작한 공식 보고서”라며 “간도를 청나라에 넘겨준 1909년의 간도협약이 근거 없는 것이었음을 스스로 인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태 실장은 또 “서울대 규장각이 소장한 19세기 초 ‘백두산 정계비 지도’(서지번호 26676)에도 토문강은 흑룡강(黑龍江)과 합류하는 강으로 두만강과는 전혀 다른 강으로 표시돼 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이 지도들은 당시 한·중·일 3국이 모두 간도가 조선 땅이었음을 인정하고 있었음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18~19세기 서양地圖도 "간도는 조선땅"
당대 유명제작자가 만든 69점 공개
유석재기자

18~19세기 서양에서 제작된 고(古)지도의 대부분이 간도를 조선의 영토로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프랑스 당빌(D’Anville·1737), 독일 하세(Hase·1730), 영국 키친(Kitchin·1745), 이탈리아 상티니(Santini·1778), 오스트리아 몰로(Mollo·1820) 등 당대의 유명지도제작자들이 만든 지도는 두만강 이북 동간도 지역뿐 아니라 압록강 서북쪽도 조선 땅으로 표기하고 있다. 당시 조선·청을 구획하는 울타리였던 이른바 ‘레지(Regis)선’을 두 나라 국경으로 명기하고 있으며, 동쪽 국경도 두만강보다 훨씬 북쪽으로 떨어진 곳에 있는 것으로 그렸다.

14일 동해와 관련된 첫 서양 고지도 도록 ‘시 오브 코리아(Sea of Korea)’를 출간한 경희대 혜정문화연구소 김혜정(金惠靜) 소장은 “간도를 분명한 조선 땅으로 표시한 서양 고지도 69점을 수집했다”며 “조만간 이를 주제로 한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소장은 “대부분의 서양 고지도들이 옛 고구려 수도였던 집안(集安) 일대를 ‘핑안(Ping-ngan)’, 즉 평안도 땅에 속했던 것으로 표기하고 있다”며 “18~19세기에 분명히 동간도와 서간도 일대가 조선 영토로 인식되고 있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자료”라고 말했다.

간도, 조선영토로 표시한 1884년 지도 포함 675점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조달청장을 역임한 강정훈(姜晸薰.69) 신성대학 초빙교수가 평생 모은 한국 근현대 관련 자료 675점을 최근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관장 최병현)에 기증했다고 이 박물관측이 30일 밝혔다.

최병현 관장은 "이번 기증자료는 강 전 청장이 외교관으로 재직하면서 주로 해외에서 수집한 것으로, 조선후기 북방지역 영토 사정을 엿볼 수 있는 고지도와 18세기 외국 성경을 비롯해 한국 근현대사나 기독교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라고 말했다.

1.jpg

2.jpg

1969년 행정고시 7회 출신인 강 전 청장은 조달청에 주로 근무하다가 1985년 주뉴욕총영사관 영사로 일하면서 이들 자료를 집중 수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국사편찬위원장을 역임한 유영렬 숭실대 사학과 명예교수와의 친분으로 이들 자료를 숭실대에 기증했다.

강 전 청장의 기증자료는 19세기 후반 한ㆍ중 국경선을 압록강과 두만강 북쪽으로 표시한 중국지도와 영국군에 의한 거문도 점령사건, 신미양요, 청일전쟁 등에 관한 생생한 현장 기록인 그래픽신문 14점, 개화기 구미인의 한국 관련 저술 220점, 18세기 외국 성경 7점, 정기간행물 100점 등이다.

기증품 중 하나로 중국 주재 미국 외교관으로 활동한 윌리엄스 웰스(Williams S. Wells)가 1884년 뉴욕에서 발간한 중국지도는 당시 조선과 중국 국경선을 압록강과 두만강보다 훨씬 북쪽에다가 붉은 선으로 표시했다.

이처럼 간도를 조선 영토로 간주한 이 지도는 붉은 색으로 두텁게 칠한 국경선 일대를 중국과 한국의 중립지대(Neutral Territory between China and Corea)로 명기하기도 했다.

1816년 9월 영국 군함 앨체스트(Alceste)호와 리라(Lyra)호를 타고 백령도 서해안 일대를 탐사한 영국인 맥레오드(McLeod)의 '한국 서해안과 유구(오키나와) 항해기'와 1866년 통상을 요구하며 흥선대원군의 아버지인 남연군 묘소를 도굴한 독일인 오페르트(Ernst Oppert) 여행기인 '금단의 나라 조선'과 같은 저술도 기증품에 포함됐다.

기증식은 다음 달 9일 열리며 숭실대 기독교박물관은 이들 강 전 청장 자료를 '영천 강정훈 문고'로 관리할 방침이다.

http://blog.yonhapnews.co.kr/ts1406/

[email protected]
연합뉴스|김태식|입력2011.05.30 18:39

●30년간 전세계 돌며 ‘간도는 조선’ 입증하는 서양 고지도 구입
●18세기 압록강·두만강 이북 지역은 조선인 생활권
●중국 논리 뒤집는 ‘두만강·토문강 별도 표기’ 지도
●서구 유명 지리학자들이 측량, 중국 황제도 지도제작 지원
[도깨비 뉴스]

18일 발매된 시사 월간지 신동아는 만주 지역이 조선의 영토였음을 입증하는 유럽 고(古)지도가 대량으로 발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이 기사에 따르면 경희대 부설 혜정박물관(관장, 김혜정교수)은 18세기 압록강-두만강 이북 집안, 간도지역이 조선의 세력권이었음을 보여주는 서양 고지도 69점을 발굴했다고 합니다. 신동아는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이 한반도 이북 지역에서 형성됐음을 보여주는 서양 지도가 이처럼 대량으로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전했습니다.

신동아로 부터 사진과 기사를 제공받아 도깨비 뉴스 독자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간도협약 100주년 이전에 한국 영유권 국제사회에 고증해야”

오는3월 문을 여는 경희대 수원캠퍼스 내 혜정박물관은 600여점의 동·서양 고(古)지도를 고루 갖췄다. 모두 김혜정(金惠靜·58) 박물관 관장이 수집한 것들로, 이중엔 주목할 만한 지도들이 있다. 18세기 압록강·두만강 이북의 집안 및 간도 지역을 조선이 관할했음을 보여주는 서양 고지도 69점이 그것이다. 모두 지금껏 공개되지 않은 지도들이다.

그간 국내 학자들이 간도가 조선 영토였음을 보여주는 옛 지도들을 간헐적으로 알려왔지만, 대량으로 공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지도들은 당시 동아시아 국경 문제를 중립적으로 바라본 서양 지리학자들이 제작한 것이라 의미가 크다. 김혜정 관장은 “이번 지도 공개를 계기로 간도 영유권 논란에 대해 많은 한국인이 관심을 가져줬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간도 문제는 ‘잃어버린 한국 근대사’의 참모습을 복원하는 일이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박물관의 전시품 보관창고에는 칸마다 고지도와 관련 사료들로 꽉 차 있다. 한 사람이 이를 모두 채우기란 쉽지 않았을 듯싶다. 김 관장에게 지도를 수집한 경위를 물어봤다.

“30여 년이 걸렸습니다. 경비도 수십억원 들었죠. 중국만 60여 차례 방문했고, 일본과 유럽도 해마다 들렀습니다. 해외에 나갈 때마다 고서점, 골동품가게 등으로 한국이 표기된 동·서양 고지도를 찾아다녔습니다. 그렇게 16세기에서 20세기까지 시대별로 빠짐없이 지도를 수집했는데, 모두 원본입니다. 세계적으로도 혜정박물관은 서양 고지도를 가장 많이 보유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이 표기된 서양 고지도는 거의 대부분 수집했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김 관장은 “그처럼 많은 시간과 자금을 투자해 수집할 정도로 고지도가 매력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서양 고지도는 객관적 증거물”
“기능을 강조하는 요즘 지도와 달리 옛 지도는 우선 아름답습니다. 색채, 디자인의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습니다. 지도엔 국가와 민족의 뿌리가 담겨 있어요. 예를 들어 최근 미국 의회는 ‘아메리카’라는 지명이 최초로 표기된 16세기 세계지도 한 장을 구입하기 위해 1700만달러를 제시했지만, 지도를 가진 독일인은 판매를 거절했습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메리카’를 국명으로 사용하는 나라가 최초의 ‘아메리카’ 표기 지도를 갖고 있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따라 그것의 상징적 의미가 달라지지요. 지도의 보유 여부는 때로는 국가의 자존심과도 결부되는 사안입니다. 또한 지도는 당대를 살던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인정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줍니다.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이죠.”

2년여 전 김혜정 관장은 일을 한번 낸 적이 있다. 동해 표기를 둘러싸고 한국과 일본 간에 논란이 일었을 때 동해를 ‘동해’ ‘한국해’ ‘고려해’ ‘조선해’ 등으로 표기한 서양 고지도 50여 점을 일시에 공개, 전시한 것.

“객관적 증거자료를 제시하면서 국제사회를 설득해야 합니다. 그러기엔 서양 고지도만한 게 없죠. 당시 고지도 전시장을 둘러본 일본 수학여행단 학생들은 문화충격에 빠졌습니다. ‘일본해’로 표기하는 것이 절대로 옳다고 믿던 상식이 절반쯤 깨져 나갔기 때문입니다. 최근 서구 국가들이 동해 표기를 병기하는 것은 한국의 국력이 커진 탓도 있지만, 상당 부분은 ‘서양 고지도를 발굴한 힘’에서 나온 것입니다. 서양인들이 보기엔 자신들의 선조가 만든 수많은 지도가 ‘동해’라고 표기하고 있는데, 더 이상 어떤 설명이 필요하겠습니까.”

“현 ‘조선족자치주’는 실제 조선땅”

고지도가 가진 ‘증거물’로서의 가치는 간도 영유권 논란에도 적용된다는 것이 김 관장의 주장이다. 1712년 조선과 청나라의 국경을 확정한 백두산정계비엔 ‘압록강과 토문강을 조선과 청의 국경으로 삼는다’고 적혀 있는데, 중국은 토문강이 곧 두만강이라며 간도 영유권 논란을 일축한다.

반면 한국 사학계는 “토문강은 백두산에서 발원해 북쪽의 만주로 흐르는 강으로, 두만강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강”이라고 반박한다. 한국측 고증에 따르면 토문강이 국경이 될 경우 현재 중국 조선족자치주(남한 면적의 3분의 2)의 상당 부분이 조선의 영토였음이 인정된다. 이와 관련, 김혜정 관장은 토문강과 두만강을 별도 표기한 조선통감부의 미공개 지도 원본을 이번에 새로 공개했다.

1909년 일본은 청나라와 ‘간도협약’을 체결, 간도지역을 청나라에 양도했다. 이에 대해서도 한국 학계는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강탈한 을사보호조약이 고종 황제의 위임장이 없는 등 국제법상 무효이므로, 이를 근거로 한 국가간 외교조약인 간도협약도 무효”라는 주장을 편다.

김혜정 관장이 이번에 공개하는 69점의 간도 관련 서양 고지도는 18세기 이후 간도, 집안 지역이 조선의 영토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혜정박물관의 오일환 박사(역사학)는 간도 관련 서양 고지도의 제작경위와 지도상의 영토 표기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혜정박물관이 확보한 지도들은 프랑스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원인 당빌리, 영국 지리학자 존 케리, 본 도법(圖法)으로 유명한 프랑스 지리학자 본, 윌킨스 등 당대를 대표하는 서양 지리학자들이 1700년대 중반 동아시아 일대를 표기한 지도들로, 모두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 일부 지역을 조선의 관할권으로 기록하고 있어요. 백두산정계비로 조선-청나라 국경이 확정(1712)된 이후 제작된 것입니다.

당빌리를 비롯 서구 지리학자들은 강희제(康熙帝) 등 청나라 정부의 지원으로 측량한 뒤 지도를 제작한 것이어서 중국측 주장이 많이 반영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어요. 그런데도 69점에 이르는 당시의 서양 지도는 조선-청나라 국경이 만주에서 형성됐다고 기록하고 있어요.

두만강 이북의 간도 지역은 조선 함경도 관할로 돼 있습니다. 압록강 이북 집안지역도 조선 평안도의 일부로 돼 있고요. 청나라가 ‘봉금지역’으로 설정해 자국민인 한족(漢族)의 통행을 제한한 압록강, 두만강 이북 지역이 사실상 조선인들의 생활무대였음을 당시 서양 지리학자들과 중국인들이 인정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서양 지리학자들은 한반도가 중국-일본 간 전면 전쟁의 무대가 된 임진왜란 이후 한반도와 만주 지역을 지도에 정교하게 나타내기 시작했습니다.”

일본과 만주국이 패망한 1945년 이후 60년간 실효적으로 중국이 간도 지역을 점유하고 있는데다, 간도와 접경한 한반도 북부에 주권이 미치지 못해서 한국은 그동안 간도 영유권 문제를 심각하게 논의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김혜정 관장은 “그러나 2004년 중국이 고구려사를 중국사에 편입시킨 이른바 ‘동북공정’을 전개한 것은 한국에게 한반도 주변 고대사(고구려사)와 근현대사(간도영유권)의 사실관계를 정확히 구명해야 할 당위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고구려사 문제와 간도 영유권 논란의 사실관계를 밝혀 국내외에 알리는 일에 당사자인 한국이 적극 나서야 할 때가 됐다는 것이다.

외교부 장관에게 전달된 간도 자료
지난해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간도협약은 법리적으로 무효”라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간도 영유권 문제에 침묵으로 일관해온 한국 정부로선 진일보한 변화였다. 이런 발언은 우연히 나온 것이 아니었다. 김혜정 관장은 반기문 장관이 이 발언을 하기 며칠 전, 반 장관에게 간도 지역이 조선 영토임을 입증하는 서양 고지도들과 사료들을 전달하면서 간도 문제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간도협약은 2009년이면 체결된 지 100년이 된다. 김혜정 관장은 “이젠 간도 영유권 문제를 덮어둘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국가간 조약(간도협약)은 100년이 지나면 문제를 제기하기가 더 어려워진다. 그 전에 간도지역 영유권 문제를 국제사회에 이슈로 제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관장은 “간도 영유권에 대한 구체적인 고증을 지금부터라도 해야 한다. 간도는 한-중 간 영유권 논란 지역”이라고 말했다.

사진1)1749년 프랑스 지리학자 당빌리(D’Anville)가 제작한‘et des Rojaumes de COREE ET DE IAPAN’ 지도. 한국 평안도(PINGAN·왼쪽 밑줄)가 압록강 이북의 현 중국 집안지역까지로 돼 있고, 함경도(HIENKING·오른쪽 밑줄)도 두만강 이북 간도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당빌리는 프랑스 왕립과학아카데미 회원이었다.

사진2)1745년 키친(T. Kitchin)이 제작한 ‘A Map of QUAN-TONG or LEA-TONGE PROVINCE ; and the KINGDOM of KAU-LI or COREA’ 지도. 동해를‘SEA OF KOREA’라고 표기했다.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9.jpg

11.jpg

'도성팔도지도' 간도를 우리영토로 명기 토문강.두만강 분리표기..대마도도 우리영토
안동=연합뉴스
입력 : 2004.09.09 17:00 04' / 수정 : 2004.09.09 17:09 54'

18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지도인 ‘도성팔도지도(都城八道之圖)’에 간도와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분명히 명기한 사실이확인됐다.
한국국학진흥원 김순석 수석연구원은 18세기 당시 도성도와 팔도지도를 합쳐 모두 9장으로 제작된 도성팔도지도 함경북도편에 간도지역이 우리 영토로 표기돼 있다고 9일 밝혔다.

▲ 18세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지도인 도성팔도지도(都城八道之圖)' 함경북도편에는 간도지역이 우리 영토로 분명히 기록돼 있다. 특히 이 지도에는 토문강(土門江)과 두만강(豆滿江)을 분리, 명기해 청나라와 일본의 간도협약의 바탕이 된토문강은 두만강이다'라는 중국측의 억지주장을 정면으로 뒤집고 있다. /연합

특히 이 지도에는 토문강(土門江)과 두만강(豆滿江)을 분리, 명기해 청나라와일본의 간도협약의 바탕이 된 ‘토문강은 두만강이다’라는 중국측의 억지주장을 정면으로 뒤집고 있다.

이 지도에는 간도지역 산하와 부락 등이 상세히 그려져 있으며 지도 오른편에는‘당시 종이 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는 다른 지도들에 비해 정확성이 높다’는 설명이곁들여져 있다.

또한 도성팔도지도 경상도편에는 대마도의 남동쪽을 일본영토로 명기해 대마도가 우리 땅임을 명시했을 뿐 아니라 동해 역시 동대해(東大海)로 표기해 우리 영해임을 분명히 했다.

도성팔도지도는 작성자가 불분명하지만 서애(西厓) 유성룡(柳成龍) 선생의 후손이면서 1820년대에 우승지와 호조참판 등을 지낸 유이좌(1763~1837) 선생이 소장했던 것으로 후손들이 국학진흥원에 보존을 위탁했다 김 연구원은 “함경북도편에 간도지역이 포함된 사실만으로 이 지역이 우리 영토임을 보여준다”면서 “특히 명확히 분리된 토문강과 두만강의 위치, 간도지역 산하명등은 이 곳이 우리 땅임을 입증하는 중요한 근거”라고 말했다.

▲ 이 지도에는 토문강(土門江 사진 왼쪽 두번째 붉은원)과 두만강(豆滿江 사진 오른쪽 붉은 원)을 분리, 명기해 청나라와 일본의 간도협약의 바탕이 된 `토문강은 두만강이다'라는 중국측의 억지주장을 정면으로 뒤집고 있다. 왼쪽에 백두산이 보인다. /연합

▲ 1924년 프랑스 파리 외방정교회가 발행한 ‘한국의 가톨릭(Catholicism en Coree)에 실렸던 지도. 함경도와 간도 일대, 흑룡강성 일부까지 ‘원산 보좌신부 관할구역’으로 구획, 이곳이 원래 조선의 영향권 안에 있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조선일보 DB사진
두만강 이북 '간도는 조선땅'
[조선일보 2004-09-09 ]

12.jpg

1909년 日帝제작 地圖서 ‘증거’ 발견
토문강을 두만강 아닌 송화강 지류로 표기… 中주장 뒤집어
1909년 淸·日협약에 따른 간도의 중국 이양은 근거 없어져
[조선일보 유석재 기자] 일본이 간도(間島)지역을 중국에 넘겨준 ‘청·일 간도협약’의 바탕이 됐던 ‘토문강=두만강’설을 정면에서 반박하는 지도가 발견됐다.

‘토문강(土門江)’을 두만강(豆滿江)이 아닌 별개의 송화강 지류로 분명히 밝힌 이 지도는 1909년 ‘청·일 간도협약’ 당시 일본측이 만든 것으로 ‘조선과 청의 국경인 토문강은 두만강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줄곧 주장해온 중국에 대한 중요한 반박자료일 뿐 아니라 간도가 조선 땅이었음을 밝히는 결정적 자료로 주목된다.

이상태(李相泰)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실장이 최근 서지학자 고 이종학(李鍾學)씨의 소장자료 중에서 찾아내 8일 공개한 이 지도는 ‘제9도(第九圖) 백두산 정계비 부근 수계(水系) 답사도’라는 제목 아래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두만강·송화강(토문강)과 그 지류의 흐름을 상세히 그려 놓은 것이다.

지도에는 ‘메이지(明治) 42년(1909년) 10월, 축척 40만분 1’이라고 제작연도와 방식을 밝히고 있다. ‘조선총독부 도서’ 직인과 ‘아홉 번째 지도’라는 표시가 있는 것으로 볼 때 당시 일제 통감부나 군부대가 전략적인 목적으로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도는 백두산 부근에서 동북 방향으로 흐르다가 다시 북쪽으로 꺾여 송화강과 합류하는 하천에 ‘토문강’이라는 이름을 명기해 놓았고, 동쪽으로 흐르는 강에는 ‘두만강’이라 적어 토문강과 두만강이 같은 강의 다른 이름일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1712년(숙종 38년) 세워진 백두산 정계비는 ‘압록강과 토문강을 조선과 청의 경계로 삼는다’고 적었으나 ‘토문강’을 송화강의 지류로 해석한 한국과 달리 중국은 ‘토문강=두만강’설을 내세워 간도지역이 청나라 영토였다고 주장해 왔다.
(유석재기자 [email protected] )

Sort:  

즐거운 스팀잇 생활하시나요?
무더위야 가라!!!!

Coin Marketplace

STEEM 0.32
TRX 0.12
JST 0.034
BTC 64647.93
ETH 3160.25
USDT 1.00
SBD 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