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 리스트를 대기행렬(queue)로 사용
파이썬의 리스트(list)를 대기행렬(queue)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기행렬은 저장된 데이터중에 가장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부터 가져옵니다. 지난번에 포스팅했던 스택(stack)과는 반대 순서로 가져옵니다. 스택은 가장 나중에 저장한 데이터부터 가져오는 방식입니다. 파이썬 리스트를 스택으로 사용하는 내용은 아래의 링크입니다.
대기행렬 사용은 스택과 동일한데, 데이터를 가져오는 pop() 함수에 가장 처음에 저장된 데이터를 가져오도록 인덱스를 지정해 주면 됩니다. 리스트에서 가장 처음에 저장(append)한 데이터는 인덱스 0번에 있습니다.
# 리스트 초기화
x = []
# 데이터 추가
x.append('abc')
x.append('def')
# 가장 처음에 저장한 데이터를 꺼내서 변수 y에 저장
y = x.pop(0)
위와 같이 하면 먼저 저장된 'abc'를 꺼내서 y에 할당하고, x에서는 'abc'가 제거됩니다.
print(x)
['def']
즉, append() 함수로 차례로 저장한 후에, 가져올 때 스택으로 사용하려면 pop(), 대기행렬로 사용하려면 pop(0)를 이용하면 됩니다.
@joviansummer의 스팀 프로젝트
스팀 증인노드를 운영중입니다. @jswit에 증인투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steemitwallet.com/~witnesses)
Upvoted! Thank you for supporting witness @jsw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