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에 대해서: 대승불교 3대 종파

in #kr7 years ago

3대 파.jpg

불교에 대해서: 대승불교 3대 종파

천태종 [ 天台宗 ]

중국 수나라의 천태대사 지의를 개조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호남성 남부 화룽현 출신의 지의는 광주 대소산 남단)에서 혜사에게 사사하여 선관을 닦고 《법화경》의 진수를 터득한 뒤, 진릉에서 교화활동을 하여 많은 귀의자를 얻었지만, 575년 38세 때 저장성의 천태산으로 은둔하여 사색과 실수를 닦았다. 이것이 천태종 성립의 단서가 되었으며, 지의는 《법화경》에 따라 전불교를 체계화한 《법화현의)》, 천태의 관법인 지관의 실수를 사상적으로 정립한 《마하지관》 《법화경》을 독자적인 사상으로 해석한 《법화문구》의 이른바 <법화삼대부경>을 편찬하였다.

이것은 중국 ·한국 ·일본을 일관하는 천태교학의 지침서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인도 전래의 불교를 중국 불교로 재편하는 계기도 되었다. 그의 문하인 장안(章安) 관정(灌頂)을 필두로 지위(智威) ·혜위(慧威) ·현명(玄明)을 거쳐 제6조 담연(湛然)으로 교학이 전승되었다. 그들은 지의의 삼대부경에 상세한 주석을 가하여 《석첨(釋籤)》 《묘락(妙樂)》 《보행(輔行)》을 저술, 천태 교의를 선양하였고 초목도 성불할 수 있다는 초목성불설(草木成佛說)까지 전개하였다.

당나라 말기에 쇠했던 불교가 북송 때에 부흥하여 12조인 의적과 그의 동문 지인의 양계통에서 많은 학승이 배출되었는데, 전자를 산가파(山家派), 후자를 산외파(山外派)라고 한다. 의적의 제자 의통(義通), 그 문하 지례(知禮)의 계통이 송대에 융성하여 천태종의 주류가 되었으며, 남송(南宋) 대에는 선월(善月) ·지반(志盤) 등이 강학에 뛰어났고, 원대(元代)에는 불교 전반의 교학적인 쇠퇴와 함께 쇠하였지만, 명대(明代)에 다시 부흥하여 선(禪)과 정토(淨土)와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명 말기에는 지욱(智旭)이 교학을 진흥시켰다. 지의는 《법화경》의 정신을 근거로 전불교 경전에 의의를 부여하여 오시(五時:華嚴時 ·鹿苑時 ·方等時 ·般若時 ·法華涅槃時)의 교판, 화의사교(化儀四敎:頓敎 ·漸敎 ·密敎 ·不定敎) 및 화법사교(化法四敎:藏敎 ·通敎 ·別敎 ·圓敎)로 구분하였으며, 공(空) ·가(假) ·중(中)의 삼관(三觀)을 교의의 중심으로 하였다.

화엄종 [ 華嚴宗 ]

중국 당(唐)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천태종과 함께 중국 불교의 쌍벽을 이룬다. 동진 말 북인도 출생의 승려 불타발타라가 《화엄경》을 한역한 이래 《화엄경》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특히 511년 인도의 논사 세친의 저서 《십지경론》을 모두 완역한 것을 계기로 지론종이 성립되었는데, 이는 화엄종 성립의 학문적 기초가 되었다.

한편 《화엄경》을 사경(寫經) ·독송(讀誦)하는 화엄 신앙과, 이 신앙에 근거하는 신앙 단체인 화엄재회(華嚴齋會)도 발생하여 화엄종 성립의 기반이 성숙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두순(杜順)은 종래의 화엄에 대한 교학적 연구보다 실천적 ·신앙적 입장을 선양하여 화엄종의 제1조가 되었다. 새로이 중국에 전해진 현장(玄)의 유식설(唯識說)을 채용하면서 종래의지론종 학설을 발전시킨 사람이 화엄종의 제2조인 지엄(智儼)이며, 이 지엄의 학문을 계승하여 화엄종 철학을 대성시킨 사람이 현수(賢首)이다.

그 후 징관(澄觀) ·종밀(宗密)이 나와 화엄종을 계승하였으나, 선종의 발흥과 함께 일시 쇠퇴하였다. 그러나 송(宋)나라의 자선(子璿) ·정원(淨源) 등이 화엄의 맥을 이었으며, 그 후 많은 선사(禪師)들의 사상에도 화엄사상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선종 [ 禪宗 ]

화엄종 ·법상종 등 교학을 중시하는 교종에 대하여, 직관적인 종교체험으로서 선을 중시한다. 원래 선종은 석가가 영산 설법에서 말없이 꽃을 들자, 제자인 가섭이 그 뜻을 알았다는 데서 연유한 것으로, 이심전심 ·불립문자)를 종지로 삼는다. 종파로 성립된 것은 개조로 전해지는 달마가 650년경 중국에 입국하면서 비롯되는데, 혜가 ·홍인 ·혜능 등으로 계승되면서 크게 발전하였다.

남종선 [ 南宗禪 ]..(唐)나라 혜능(慧能)에 의해 성립된 불교 선종(禪宗)의 일파.

혜능과 동시대인 신수(神秀)와 그 계통을 북종선(北宗禪)이라고 하는 데 대한 대칭어이기도 하다. 북종선이 《능가경(楞伽經)》을 근거로 단계적 깨달음[漸悟]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남종선은 《금강경(金剛經)》을 근거로 행동적이고 즉각적인 깨달음[頓悟]을 주장한다. 이를 가리켜 ‘남돈북점(南頓北漸)’이라고 하나, 후대에는 남종선이 특히 발전하여 선종이라 하면 남종선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선종의 기본 종지(宗旨)는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 할 수 있는데, 혜능에게 있어 견성성불은 인간의 본성을 대상화하여 보는 것이 아니라 중생이 본래부터 깨달음을 지니고 있는 것을 아는 것이며, 이것을 알고 난 다음 불타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본성을 아는 것이 그대로 불타라는 것이다. 즉 성불은 불타가 되는 것이기보다 불타로 이루어져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그러므로 견성성불은 점오가 아니라 자성(自性)이 곧 진불(眞佛)임을 깨우치는 돈오이다. 이러한 사상의 줄기는 후에 임제종(臨濟宗) ·위앙종(仰宗) ·조동종(曹洞宗) ·운문종(雲門宗) ·법안종(法眼宗) 등의 5가(五家)를 형성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신라 때에 임제종 계통이 유입되어 9산선문(九山禪門)을 이루었고 그 후 한국불교의 중요한 줄기가 되었다. ..

네이버백과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1
JST 0.031
BTC 107165.05
ETH 3871.84
USDT 1.00
SBD 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