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이야기] 제로에너지 건축에 대해 알아보자.
@leesongyi 작가님 고맙습니다.
제로에너지건축 (ZEB)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1)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고, 2) 에너지를 생산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인 건축물이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
정부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는데, 5등급으로 나누며 등급 기준은 다음과 같다.
- 1등급 : 에너지 자립률 100% 이상
- 2등급 : 에너지 자립률 80% 이상 100% 미만
- 3등급 : 에너지 자립률 60% 이상 80% 미만
- 4등급 : 에너지 자립률 40% 이상 60% 미만
- 5등급 :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 40% 미만
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다.
- 예비인증 신청(설계 단계) / 본인증 신청(준공)
-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평가(한국에너지공단)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평가(한국에너지공단)
-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서 발급(한국에너지공단)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지원시스템 : http://zeb.energy.or.kr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센티브
제로에너지등급에 따라 인센티브가 부여되는데, 용적률과 건축물의 높이를 완화해준다. 법과 조례에서 정하는 용적률, 건축물 최고높이보다 1등급은 15%를 완화해준다.
- 1등급 : 15%
- 2등급 : 14%
- 3등급 : 13%
- 4등급 : 12%
- 5등급 : 11%
신재생에너지 장려를 위해 다른 인센티브들도 여러 가지 주어진다.
- 신재생에너지 설치보조금을 우선 지원한다. 설치비의 30~50%를 보조금으로 지원한다.
- 주택도시기금 대출한도를 20%까지 상향해 준다.
- 주택건설사업의 경우 기반시설 기부채납 비율(8%)을 15% 줄여준다.
- 취득세를 최대 15% 감면해준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사례
최근 판교 제2테크노밸리 내 기업지원허브와 아산 중앙도서관이 처음으로 본인증을 받았는데, 둘 다 ZEB 5등급을 받았다.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 40% 미만이다. 판교 기업지원허브는 20.2%, 아산 중앙도서관은 27.77% 에너지 자립률을 달성했다.
ZEB 1등급은 100% 이상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에 달성이 쉽지 않을 걸로 보인다. 지금까지 예비인증을 받은 10건을 보더라도 최고가 68.7% 수준이다. (제주 환경친화적 에코촌) 1등급을 받는 게 과연 나올까?
Cheer Up!
추가되는 건설비대비 에너지가 얼마나금전적으로 절감을 해주는지에 대한 계산이 중요하겠군요..
아마 지금은 설치비가 훨씬 많이 들겁니다. ^^
공공기관이라도 에너지 자립도를 높여 이산화탄소발생량을 줄여야 하지 않을까요?
맞습니다. 공공시설물에는 신재생에너지 비율, 공공디자인 등 여러 조건들이 많습니다.
태양광 발전의 효율성만 올라가도 자립도가 꽤 높아질텐데 현재의 기술로써는 한계가있어 아쉽네요!~
잘 보고갑니다.
감사합니다.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면서도 생산한다..
멋진 말인거 같습니다.ㅎ
패시브와 액티브 전략을 모두 사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