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ue 프로젝트 서버문제 해결하기 ep02(스테픈 2km완료)
어제 작업하던걸 이어서 작업합니다.
어제 작업하던건 기존 배포했던
vue 프로젝트가 프론트 사이트는 firebase에서 배포하고
서버는 cloudtype에서 배포를 했으나
클라우드 타입의 무료버전은 매일 서버가 다운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는점..
덕분에 제 사이트는 회원가입 및 로그인 자체가
서버가 다운되면 진행이 되지 않아서... 서버를 매일 켜주지 않으면
사이트 자체가 로그인 불가로 진행이 안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어제 간단하게 로그인 버튼에 guest 접속 버튼을 만들고
guest인지 확인하는 변수를 store에 만들어서 게스트인경우에는 외부 서버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지
않고 vuex에서 직접 처리하는 방식으로 방식을 변경했습니다.
여긴 구매 페이지인데
회원 구매정보 같은 경우에도 같은 방식으로 서버에 데이터를 보낼게 아니라
guest 접속시 vuex에서 처리하도록 코드를 수정했습니다.
여기 장바구니에 담는 경우에도 isguest 변수의 값을 참조해서
guest접속의 경우 스토어만 사용하고
회원 로그인을 한 경우 서버쪽에 데이터 요청을 보내도록 변경했습니다.
이렇게 코드 수정하다가 다시 고민을 해봤는데요..
어차피 aws에 있는 react 서버에 vue 프로젝트의 로그인정보 정도만 데이터 요청해서 받거나 저장하는 정도면
vue 코드를 이렇게 수정할게 아니라
그냥 엔드포인트 주소만 바꾸고.. 서버만 수정할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aws에 코드를 붙이게되면
코드 수정이 별로 없고 그냥 서버쪽만 수정하면 끝인 상황이라.....
엄청 고민되네요
일단 이 부분은 좀더 고민해봐야겠습니다.
일단 무료 서버 제공이라는 큰 장점때문에
선택했던 첫 서버인지라..
다른 단점이 없는지 크게 고민하지 않고 선택했던 점이 큰 문제군요...
이렇게 개발을 할때에 어떤식으로 할건지를 미리 정하고
또 아무 이유없이 선택하거나 선택한 것에 장단점 정도는 파악하고
정해야겠습니다..
이번에는 무료 서버라는 딱 하나만 보고 선택한게 좀 후회되네요..
추가 서버 수정은 내일까지 고민해보고 합치던지 결정하려고 합니다...
하아..
오늘도 스테픈 완료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