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소득통계

in #kr7 years ago

국민소득통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새롭게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금액으로 평가하여 변환한 통계를 말하는데 대게 국가별로 계산합니다.

국민소득통계는 UN 등 국제기구가 공동으로 마련한 국민계정체계를 기준으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주요한 지표로 매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통계는 한국은행, 통계청 등 주요 기관들이 매년 발표합니다.

국민소득통계에는 여러 지표들이 나오는데요. 이러한 지표는 주요 총량지표라고 합니다. 이 주요 총량지표의 개념을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명목 국내총생산이라는 지표가 있습니다. 이것은 경제규모 등 파악시 이용되는 지표이구요.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수량에 가격을 곱해 산출합니다. 명목 GDP의 변동분은 최종생산물의 수량과 가격변동분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실질 국내총생산이라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국내경제 생산활동의 동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경제성장률 산정에도 이용되구요. 지수기준년부터 당해연도까지 매년 개별 재화와 서비스의 가중치와 수량 변화를 반영합니다. 그 측정값인 연쇄 물량지수에 지수기준년의 GDP 금액을 곱해 산출한 수치입니다.

세 번째는 실질 국내총소득입니다.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낸주는 지표이구요. 명목 GDP로부터 개별 상품의 절대가격 변화에 따른 변동분을 제거한 것이구요. 이것이 실질 GDP가 됩니다. 여기에서 교환되는 상품간의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구매력의 변동분을 조정하여 구하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실질 국민총소득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적으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실질 GDI에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간 실질소득을 차감하구요. 우리 국민인 국외에서 벌어들인 실질소득을 더해서 계산합니다.

다섯 번째는 명목 국민총소득입니다.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외적으로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명목 총소득을 의미합니다. 명목 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해서 산출합니다.

여섯 번째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입니다.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총소득이라는 뜻이구요. GNI에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을 더해 산출합니다.

마지막으로 가계총처분가능소득입니다. 이것은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가 임의로 처분 가능한 소득입니다. 이는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국민총소득.jpg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29
BTC 60941.82
ETH 3385.03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