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역사: 밀교

in #kr6 years ago (edited)

buddism time table.jpg

buddism 3.jpg

불교의 역사: 밀교

밀교의 성립

7세기 중엽에서 말엽에 이르는 시기에 새로운 불교인 밀교가 성립하였다. 밀교는 고타마 붓다 당시부터 주법으로 전해오던 것으로 주구·진언·다라니를 송지하여 그것으로 마음을 통일하고 구경의경지에 도달하여 붓다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불교의 일파였다. 7세기 중엽에 이르러 이러한 사상이 조직화되고 종합되어 《대일경》·《금강정경》과 같은 문헌으로 나타남으로써 밀교의 기초가확립되었다.

인도 라다크 지방의 헤미스 사원의 파드마삼바바 상밀교도 대승 불교로 분류되고 있으나 인도에서 대승 불교가 쇠퇴하고 있던 당시의 상황을 반영한 사상으로 평가된다. 그 이유는 세친(4세기) 이후 대승 불교가 지나친 철학적·이론적 경향으로 흘러 일반 대중과 유리되었는데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밀교가 발생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아비달마 불교의 지나친 철학적·이론적 경향에 대한 반작용으로 대승 불교가 발생한 것과 동일하다. 또 당시 인도에서 탄트라 문학이 유행되었고 그 풍조에 따라 불교의 밀교적 전개가 촉진되었다. 중관 사상도 밀교화되었으며 따라서밀교는 힌두 사회에서 환영받아 급속히 보급되었다. 8세기 후반에 와서는 밀교가 대중화됨과 동시에 저급한 의례를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금강승과 티베트 불교로의 발전

밀교가 대중화되면서 금강승이라는 불교 유파가 형성되었다. 금강승 운동을 일으킨 사람은 인타라부저(687~717)였다. 그의 아들인 파드마삼바바는 밀교를 티베트로 전했고, 또한 당시에 인도로부터 다수의 고승이 티베트에 들어가 밀교를 중심으로 한 대승 불교를 전파하였다.

그러나 티베트에는 중국에서 온 학승들이 있어, 이들과 인도 학승 사이에 견해 차이가 생겨 혼란이일어났다. 티손데첸(755~797) 왕은 수도 라사에서 회의를 열어 논쟁을 매듭지었고, 그 결과 인도측의 점문파의 설이 인정되고 중국의 돈문파의 설은 배척되었다. 이로써 티베트 불교는 인도 후기 불교의 성격을 그 주류로 삼게 되었다. 티베트로 들어간 밀교는 머지 않아 라마교로 발전하여 티베트고유 불교로 정착하였다.

인도 불교의 쇠퇴

데바팔라(재위 810-850) 왕 때의 팔라 왕조의 최대 판도

8세기 중반부터는 금강승 불교가 팔라 왕조(750~1174)의 보호를 받으며 마가다 지방과 서벵골 지방에서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나 이때의 불교는 거의 힌두교나 다를 것이 없는 상태로 변질되고 말았다.

불교는 오히려 중국·한국·일본에서 번성하였다. 이와 같이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된 것은 불교 자체가 내적으로 변화를 일으켜 미륵·관음·대일여래 등의 부처나 보살이 힌두교의 신들과 거의 같은 성격과 기능을 갖게 되었고 이슬람교의 박해에 의해 승려의 수가 줄어들고 사원이 파괴되었기 때문이었다.

불교의 역사: 다른 글들

https://steemit.com/kr/@thomaslee101/6azkdl 부파블교
https://steemit.com/kr/@thomaslee101/75bqnn 원시불교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8
BTC 66043.66
ETH 3593.27
USDT 1.00
SBD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