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K] Node.js API 문서 번역 진행기~steemCreated with Sketch.

in #kr7 years ago

daemoon.png

안녕하세요~ @super2451894 입니다. 역시 개발 관련글들은 밤~새벽에 써야 제맛이지요! 최근에 NodeJS의 v6 LTS버전의 API 문서를 번역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 공부를 위해서이기도하고 앞서 많은 개발자분들께서 참여해주신 오픈소스 프로젝트들 덕분에 제가 편하게 이용할수 있음에 조금이나마 보답하고자 진행하는것이기도 합니다.

하루에 문서 한개씩 번역하기로 목표를 세웠는데 어떤 문서들은 엄청나게 길고.. (os 쪽 문서가 그랬습니다 ㅠㅠ) 어떤 문서들은 매우 짧아서 목표치가 너무 빨리 달성되기도 하는것같습니다 ㅎㅎ.

최근들어 어떻게 번역작업을 하는지 보여드리고 싶어서 이 글을 쓰게되었습니다.

우선 번역작업에 참여하겠다는 생각을 한 이후로 원 페이지인 https://nodejs.org 사이트를 방문하여 기여 부분의 페이지를 탐방해보았습니다. 원 페이지의 경우 번역별로 /en /ko 요런식으로 뒤에 언어를 붙이면 해당 번역된 페이지로 이동되기에 여기에 참여하여 번역작업을 해볼 생각이였습니다. 하지만 github 페이지를 방문해보니 해당 페이지의 issue가 열려있지 않으면 번역이 불가능한데..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API문서쪽의 페이지들은 이슈가 전부다 closed로 변환되어있었습니다..ㅠㅠ

그래서 요 부분은 포기하기로 하고 제가 http://nodejsk.com 이라는 도메인을 따로 구입 -> github Page 호스팅 기능을 이용하여 따로 한페이지한페이지 따서 번역작업을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부트스트랩 같은 경우에도 이미 이런식으로 한글화 작업을 해두신분이 있던데 구글 광고를 달아두셨더라구요. 저도 하나 달까 생각해봤지만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한다고 진입했는데 사익을 추구하는건 아닌것같아서 수익이 나는 어떠한 부분도 손대지 않았습니다.

Cap 2017-08-18 00-10-02-197.png

제가 듀얼모니터를 사용해서 캡쳐하니 두 화면이 보입니다. (듀얼 모니터는 사랑입니다 ㅎㅎ)

우선 저도 영어가 많이 부족하기에.. 두 번역기의 힘을 조금씩 빌리고 있습니다. 네이버 파파고와 구글 번역기 그리고 저의 허접한 영어 실력을 보충하여 최종 검수가 되고 최종적으로는 업로드가 되고 있습니다.

ATOM을 사용하고 ATOM live-server 라는 패키지를 사용하여 제가 저장할때마다 제일 좌측의 페이지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모습을 볼수가 있습니다.

Cap 2017-08-18 00-10-12-338.png

그리고 마지막으로 업로드할때가되면 Github이용하여 Page로 최종 업로드해줍니다.

갈수록 코어개발자들에 대한 대단함을 느끼고 있습니다. 번역작업만으로도 이렇게나 처리해야할 페이지들이 많은데 이런것을 창조하고 설명하기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할지 상상이 가질않네요..ㅎㅎ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3
JST 0.030
BTC 61599.30
ETH 3389.34
USDT 1.00
SBD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