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세계경제는.

in #kr6 years ago (edited)

☉금융위기 이전

1990년대 중반 이후 大발산(Great Divergence)의 악몽이 떠오른다. 구체적으로 유럽중앙은행(ECB)창립 이전에 유럽통화정책의 중심적인 역할을 독일의 Bundesbank가 수행하는바 당시 이 은행은 금리를 연 5.0%에서 4.5%로 내린다. 반면에 美연준(FED)은 연 3.75%에서 4.25%로 인상한 이후 1년도 채 안 되는 단기에 연 6%까지 올린다. 당시 美경제는 생산과 이익이 함께 늘어나는 수

확체증의 법칙이 적용되는 정보기술(IT)이 주력산업으로 부상하면서 고성장하면서도 저물가라는 신경제 현상이 생긴 호시절이다. 그 결과 외자유입→자산가격의 상승→부(富)의 효과 발생→추가성장을 야기하는 상호간 선순환 고리가 형성되면서 달러강세의 루빈독트린 시대가 전개된다. 반면에 신흥국은 대규모 자금이탈에 시달린다. 1994년 중남미 외채위기,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1998년 러시아 국가채무 불이행(Moratorium) 사태까지 이어지는 신흥국 위기 이른바 그린스펀 쇼크가 발생한다. 참고로 그린스펀은 당시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장이다. 미국과 유럽 등 여타국가 상호간 금리차가 벌어지고 감세, 자본과 다국적기업의 Re-shoring(환류) 등으로 또 다른 신경제 신화를 쌓아가는 Goldilocks 美경제의 지금 상황과 비슷한 측면이 존재한다.

☉금융위기 이후

  • 선진권역 통화정책

금융위기 직후 부정적 파급을 억제하기 위해 주요국 통화당국은 양적완화와 함께 초저금리정책을 시행함으로써 시장에 대규모 유동성을 공급한다. 이는 투자자의 위험추구 행동을 유발시켜 미국 등 주요국 증시, 채권과 같은 금융시장의 회복으로 연결된다. 이런 가운데 금융위기 이후 10년이 경과하면서

관련 정책의 후유증 등을 검토할 필요가 존재하는 등 통화당국은 기존정책의 변경여부를 두고 기로(岐路)에 있다. 2015년 12월부터 금리인상을 시작한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통화당국은 20조$ 이상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바 이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교적 안정적이며

2018년부터 관련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추산한다. 대규모 자산이 지속적으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FED(미연방준비제도)의 작년 10월부터 매월 100억$ 상당의 자산축소와 금년 연말에 ECB(유럽중앙은행)의 추가 채권매입 중단 예정 등 주요국 중앙은행은 양적완화 축소를 단행한다. 이는 투자자의 위험회피의 증가를 초래한다.

  • 아시아권 원유시장

1980년대 후반 선진국 주식시장(블랙먼데이), 1990년대 후반 신흥국 통화시장(아시아 외환위기), 2000년대 후반 미국發 선진국 주택시장(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한 점을 감안해 2010년대 후반에는 금융위기 후보지로 신흥국 상품시장이 지목되고 있다. 아시아 신흥국은 고유가로 인한 경상수지적자와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전망이다. 최근 크게 하락한 상태이

지만 얼마 전만 하더라도 WTI기준 원유가격은 배럴당 80$에 근접하며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다. 이로 인해 원유공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아시아 신흥국 경제에 부정적 여파가 불가피하다. 특히 인도와 인도네시아 등은 가파른 유가상승으로 우려한 경상수지 적자가 증대한다. 필리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 대에 이르는 가운데 유가상승으로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될 전망이다. 이들 국가의 통화가치는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유가상승의 여파로 경제적 타격이 지속될 경우에 외환시장 불안도 내재한다. 중국도 최근 경기부양을 위해 통화 공급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고유가는 궁극적으로 물가와 경제전반에 마이너스(−)요소이다. 특히 위안貨약세는 중국은 물론 여타 아시아 신흥국에 위협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5
JST 0.029
BTC 62956.16
ETH 2588.54
USDT 1.00
SBD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