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gin Cal과 주식시장

in #kr5 years ago

image.png
최근 공매도가 경제이슈로 부각한다. Margin Call 과정에서 Hedge Fund 위기설도 존재한다. 여기에 美연준이 개입할 태세다. 관련 내용을 짧게 살펴본다.
image.png
위 그림은 참고용이며 지구촌 3대 조세회피지역의 이동상황을 나타낸다.

  • 최근의 공매도 전쟁

Hedge Fund는 2008년 Global 금융위기와 최근 중국發 신종 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온라인과 모바일 상으로 이동하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으며 나름대로 순기능이 있으나 자신의 이익만을 좇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을 교란하는 역기능 작용도 한다. 주식투자 역사상 개인을 상대로 불패신화를 이어가던 헤지펀드(Hedge Fund)가 게임스톱에서 비롯된 공매도 전쟁에서 참패하여 발

생한 손실발생액이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인 대(大)이변이 발생한다. 거기에다가 美증권당국마저 개인투자자 보호에 나서고 있으며 헤지펀드 위기설도 재등장한다. 참고로 헤지펀드란 1949년 미국에서 생긴 일종의 사모펀드이며 대체로 100명 미만의 소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파트너 십(Partnership)을 결성하며 카리브 해와 같은 조세회피지역을 무대로 활동한다. 여기에선 법인이윤과 개인소득에 대한 과세가 전혀 없거나 아주 낮은 세금을 부과한다.

美게임스톱 문제

美옐런 재무부장관에 의하면 일부 주식을 둘러싼 개인투자자의 과열거래 현상 즉 게임스톱 문제는 대응이전에 정책당국의 깊은 이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금융시장이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기능하는지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행동주의 Hedge Fund

헤지펀드의 성격도 바뀌고 있는바 금융위기를 계기로 전통적인 헤지펀드의 수익률이 부진하자 행동주의 헤지펀드가 기승(氣勝)을 부린다. 이는 주주가치 극대화 등의 명분을 내세우는 전략으로 투자기업을 고사(枯死)시키고 공매도, 콜옵션 등을 일삼으면서 공포를 유발한다. 헤지펀드가 투자원금까지 손실을 보는 상황에 직면하면 Margin Call을 당한다. 이는 각종 펀드가 수익률 하락으

로 증거금에 일정수준 이상의 부족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전하라는 요구로 응하지 않으면 펀드 런(Fund Run)에 직면한다. 헤지펀드가 고객과의 신뢰 유지를 생명처럼 여기는 것도 이 때문이다. 헤지펀드와 금융회사의 개인고객 비중이 높은 최근과 같은 상황일수록 더 그렇다. 이 때문에 펀드매니저는 투자이익 극대화, 비용 최소화, 위험의 민감(敏感)화 원칙을 철저히 준수한다. 만약 투자실적을 내지 못하면 시장에서 퇴출당해 자연스럽게 구조조정이 이뤄진다.

  • Margin Call과 De-leverage

Margin Call 상황이 발생하면 헤지펀드는 시장의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응할 수밖에 없고 이 과정에서 디-레버리지(De-leverage)로 연결되거나 상황이 긴박할 때에는 중앙은행이 나서 긴급 유동성을 지원한다. 참고로 De-leverage란 Margin Call을 당했을 때 헤지펀드가 증거금 부족분을 메우기 위

해 기존에 투자해 놓은 자산을 회수하는 행위이다. 최근처럼 금리가 오르거나 中인민은행의 Tapering(유동성 회수)과 맞물릴 경우 신용경색(梗塞) 우려가 급부상하면서 낙관론이 팽배하던 증시에 비관론이 순식간에 덮치게 된다. 특히 한국과 같은 신흥국에 투자한 자금을 우선적으로 회수대상으로 택한다. 이에 신흥국에선 외국인자금의 이탈에 따라 통화가치와 주가가 폭락하게 된다.

  • 한국에서 위기발생 가능성

전기(前記)한 바와 같이 나비 효과(Butterfly Effect)를 발생시켜 헤지펀드 위기설이 나돌 때마다 선진국에서는 영향이 크지 않다가 신흥국에서 엄청난 파장을 몰고 온다. 문제는 최근 Game Stop 관련한 공매도 전쟁으로 한국에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느냐 하는 점이다. 이론적으로 전문기관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의 경우 최근 헤지펀드(Hedge Fund) 위기설이 나돌기 시작한 이후

국내증시에서 외국인자금이 이탈하고 주가가 급락하고 있으나 중장기 투자자금의 회수로 악화돼 위기로 치달을 확률은 낮게 나온다. 하지만 최근 공매도 전쟁發 헤지펀드 위기설은 실제발생 여부와 관계없이 앞으로도 계속 대두(擡頭)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한국의 정부 당국도 조기경보 체계의 가동, 증권사 증거금의 추가 확보 등 다양한 각도에서 대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12
TRX 0.34
JST 0.033
BTC 123985.73
ETH 4704.47
BNB 1312.23
SBD 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