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Global 증시의 조정이유

in #kr6 years ago

美中무역협상이 진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국내증시와 美증시는 등락을 거듭하며 움직인다. 英, 獨, 佛 등 유럽증시와 중국, 일본 등 아시아증시도 흐름은 마찬가지다. 특히 최근엔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짧은 급등락을 자주 연출한다. 이럼에 따라 최근 Global증시의 조정 관련한 이유를 간략히 살펴본다.

  • 무역마찰 악화

첫째는 美中무역전쟁이 시간이 지나갈수록 분쟁해결보다는 악화한다는 점이다. 심지어 도널드 트럼프 美대통령은 하락하는 주식시장을 의식해 對中무역협상 합의사항에 현재 美제재를 받고 있는 통신기기업체 中화웨이가 포함될 수 있음을 언급하지만 지수하락을 막기엔 역부족한 상황이다. 부연(敷衍)

하면 中화웨이 제재관련 미국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동맹국들 즉 영국, 일본, 대만 기업들까지 거래중단에 동참하면서 무역전쟁 관련 파장이 더욱 확대되며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萎縮)한다. 이는 증시엔 非우호적이며 악재로 작용한다. 한편으로 시장에선 중국의 맞대응 카드의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 경제지표 부진

둘째 美경제지표 부진으로 인한 투자자의 불안감 확산이다. 경기상황을 판단하는데 있어 중요한 경제지표인 美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 지수가 간신히 50을 넘기며 10년래 최저치를 기록한다. 이는 美中무역전쟁의 부정적 영향이 美실물경제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방증한다. 한편 국제유가 역시 변동성

이 커지면서 에너지관련 주식들 그리고 금년 초반부터 급상승한 FAANG 등 IT기업, 반도체 관련주들의 주가가 춤추고 있는 모습은 모두 마찬가지다. 참고로 FAANG은 페이스 북, 아마존, 애플, 넷 플릭스, 구글(알파벳)을 지칭하고 PMI는 50이 넘으면 경기확장을 , 미만이면 경기가 위축된 것으로 판단한다.

  • 위안화 움직임

셋째 달러당 위안화 환율의 움직임이다. 이는 6.2 대수준까지 떨어지던 위안화가치가 최근 마지노선인 7.0에 근접한 수준까지 상승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에 근접하자 美中은 정부차원에서 예의주시한다. 미국은 상계관세 부과 등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신흥국의 통화약세에 따른 외국인 자본유출 위험이 점차 확산되는 형국이다.

  • 정치적 불안정

넷째 유럽권의 향후 정치적 불안정이다. 영국의 브렉시트와 이탈리아의 재정부문 갈등문제도 유럽권역의 위험요인으로 존재한다. 하지만 지난 5월 23일 3일간 치른 유럽의회 선거에서 기존 정당은 의석을 크게 잃고 대신 중도성향

의 親 EU진영이 과반을 차지하면서 EU 붕괴위기를 벗어난 데 따른 안도감으로 유럽증시는 상승한다. 한편 유럽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곧 Global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아직 안심할 때는 아니라는 경고도 존재한다.

  • 유로화의 약세

다섯째 유럽권의 유로화약세이다. 비록 유럽의회 선거결과 극우 Populism 정당이 당장 제1정당으로 올라서지 않은데 따른 안도감으로 유럽증시는 오르지만 당분간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존재한다.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는 유로화약세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유럽권역 내수

경기에 마이너스(−) 영향으로 작용해 대외수요 약화로 경기불안에 시달리고 있는 유럽경제에 또 다른 악재로 판단한다. 유럽의회 선거로 인한 나비효과(Butterfly Effect)가 달러강세의 속도를 자극할 경우 하반기 Global금융시장엔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이에 추세전환 가능성을 경계한다고 분석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세계 경제의 큰 전환점이 아닐까요?

개인적으론 Big Change시기로 봅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09
TRX 0.30
JST 0.034
BTC 113282.81
ETH 4042.10
USDT 1.00
SBD 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