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상승 요인과 가격동조화

in #kr5 years ago

주요 美금융자산 가격은 정책과 위험선호 여부 등에 의한 동조화가 강화한다. 한편 사상 최고를 지속하는 美주가는 향후 추가상승 여력이 내재한다.

◎금융자산과 가격동조화

  • 가격동조화 원인

2019년 초반 이후 100영업일 중 S&P 500 지수와 달러화 대비 유로화가치 등 위험자산이 동시에 상승하고 대표적인 안전자산 즉 달러화 대비 엔화가치와 10년 물 美국채가격 등이 동반하락하거나 그와 상반(相反)된 경우가 2016년

중반 이후 가장 높은 편이다. 이는 美연방준비제도와 ECB(유럽중앙은행)의 통화정책, 美무역정책, 中경기부양책 등의 영향으로 위험선호 여부에 의한 금융자산 가격의 동조화현상(Coupling)이 강하게 나타난 것을 의미한다.

  • 자산투자자 신뢰

일각에서는 전기(前記)한 내용과 관련해서 시장이 2진법에 의해 움직이는 것으로 평가한다. 부연(敷衍)하면 다양한 채권과 주식의 가격이 개별종목의 수익성 등 본질적 가치보다 통화당국이 추진하는 정책에 의해 결정되는 주요 원인은 투자자들이 장기적 측면에서 정책당국이 선택하는 사항에 따라 경기둔화를 벗어나거나 위험(Risk)이 도래(到來)할 수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다.

  • 2가지 투자전략

한편에서는 지금과 같이 금융자산의 가격동조화가 눈에 띄게 강한 기간에도 전체 지수와 상관관계가 낮으면서 개별가치가 우수한 종목을 현명(賢明)하게 선택하면 양호한 금융수익률을 얻을 수 있음을 주장한다. 다른 한편에서는

정부정책에 의해 시장가격이나 상황이 결정되는 불확실성 시기에는 궁극적으로 위험(Risk)을 회피(回避)할 수 있는 선택이 필요하며 최근 금(Gold) 가격이 6년 만에 최고수준을 기록하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한다.

◎증시상승 요인

  • 대체투자 대상 유무

최근 대기업위주의 美S&P 500 지수가 다시 사상 최고치를 나타내면서 일각에서는 주가수준이 경기상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과도하게 높다는 우려가 제기한다. 하지만 아직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

다. 다수의 투자자들은 여전히 美연준(FED) 통화정책이 증시를 부양할 것으로 믿고 있으며 최근 10년 물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하여 2%내외에서 움직이고 있어 주식을 대신할 수 있는 투자대상이 별로 없는 게 현실상황이다.

  • 강한 경제성장 여력

실물경제 측면에서도 물가상승률 등 美경제지표 일부가 부진(不振)하지만 GDP(국내총생산)성장률 3%대 등 여전히 강한 성장여력을 유지한다. 일부에서는 경기하강 전조(前兆)로 주장하는 국채금리 장단기 역전현상도 과거에

비해 예측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평가한다. 다만 미국과 이란의 갈등(葛藤), 미중무역관련 전쟁,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유럽연합 이탈) 불확실성 등은 향후 증시 위협요인으로 지적한다. 게다가 美연준의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대응(금리인하)도 예상보다 시장의 기대를 하회할 가능성도 상존(常存)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Sort:  

언제나 좋은 글 주셔서 감사합니다.

방문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70929.96
ETH 3846.26
USDT 1.00
SBD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