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수요일새벽5시)부동산 불패신화는 어디로 갔을까요?

in #kr7 years ago (edited)

(지난 칼럼 보기 : https://steemit.com/trending/kr-economyit )

오늘은 세계는 지금에서 대한민국 부동산에 관하여 잠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경제 용어 해설에 올려야할지 고민하다 세계는 지금에 올리게 되었습니다

지역과 특성등이 고려된 내용이며 대한민국 전체를두고 말씀드리는것은 아닙니다 오해 없으시길 사전에 말씀드립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오르는 부동산 가격은 아직도 그 기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또 어느 곳은 부동산 가격이 지금도 계속 오르고 있지요 그런가 하면 아직도 부동산 불패 신화를 꿈꾸며 이불 속에서 울고 있는 투자자들이 있어요

믿고 싶지 않는 거죠 부동산 불패 신화가 깨 질 수 있다는 것을요 그런데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고 있으니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직 그들에게는 시간이 더 필요한것 같은데 벌써 시작해 버린걸까요?

미분양 아파트가 급증하는 현상은 뒤늦게 부동산으로 수익을 올리려 했던 개발사들에게 큰 짐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게 부동산 시세가 거품이라고 그렇게 경고를 했는데 아파트를 왜 지어서 그 야단인지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부동산 특히 주택/아파트/빌라 등에 투자를 안좋게 보고 있거든요

건설사 관계자들이 들으면 기분이 나쁘겠지만 아직도 늦지 않았다며 쏟아지는 부동산 관련 전단지를 보면 한숨만 나올 뿐입니다 아직도 늦지 않았다고 떠든다는 건 늦었다는 말이거든요

주택은 사람이 거주하는 공간으로 사실 투자의 영역은 아니지요 이런 상황을 여러 차례 많은 투자기관들과 전문가들이 예상을 했고요
이제 추측만 가지고 투자를 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어요 더구나 더 중요한 것은 부동산에 낀 거품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겁니다 이는 전문가들의 전반적인 의견인 것 같아요

그런데도 부동산 시장이 각종 규제로 얼어붙은 것이지 여전히 수요는 있다고 판단하고 계속 신도시 건설/ 재건축 등을 하고 있으니 끝물까지 다 빨아먹고 튀겠다는 말일까요?

미분양 아파트가 부동산 거품의 단적인 증거라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입니다
부동산 시장 부양을 하는 것은 실질적인 부동산 소비자들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급량을 조절하여서 가격을 상승시킬 이유가 없죠 문제는 부동산이 안전 자산이라는 것과 레버리지 투자의 확대로 인해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엄청 늘어났고 이는 정상적인 공급을 공급불량 상태로 만든 겁니다

이러한 공급 불량 상태로 인해 부동산의 가격 상승이 심화됐고 그 여파가 고가 부동산에까지 미친 거죠

예를 들어 1억짜리 집이 30% 오르면 3천만 원이 수익이지만 10억짜리 아파트가 30% 오르면 3억이죠
그럼 투자를 하는 입장에선 당연히 고수익을 위해 투자 범위를 극대화 시키게 되는 거죠 이러다보니 고가는 고가대로 저가는 저가대로 가격이 상승하고 이런 붐에 너도 나도 편승하려고 투자자들이 몰리는 거죠

그러다보면 일시적으로 수요와 공급이 같이 늘어나다가 투기 과열로 수요의 속도가 공급의 속도보다 빨라지는 시점에
건설사들은 재개발/ 신규 주택 건설/ 신도시 조성 등의 각종 개발 사업에 뛰어들죠

그런데 부동산은 삶과 직결되기 때문에 이런 과열 현상을 국가가 규제를 하게 되는 순간 투자는 냉각이 된답니다 즉, 공급과잉 상태가 되는 거죠 (지금의 상황처럼 말이죠)

이러한 미분양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조심해야 할 사항은 있습니다 바로 하이컷(High Cut) / 높은 가격을 설정하고 할인해 주는 척 하는 거죠
미분양 아파트가 늘어나서 당장 아파트 값이 싸질 것 같지만 아직은 가격을 높이고 그보다 약간 낮추는 정도를 넘어서지 않을 것 같네요

사람이 사는 집은 먹는 것 입는 것만큼 중요한데 이것 때문에 사회초년생부터 채무자가 되는 지금의 현상은 정상이 아닌 거죠 또 빚을 내서 집을 사야한다는 생각도 잘못이고 그런 생각 저변에 있는 레버리지 투자에 대한 오해와 안이한 의식도 문제죠

사실 수요가 없으면 시장은 고개를 숙이는 것이 당연한 이치인데 미분양 아파트가 너무 늘어나면 건설사들은 휘청할 테고
그렇다고 각종 규제 풀어버리면 양심 없는 몰지각한 부동산 투자자들이 빚내서라도 매점매서해서 부동산 가격을 쥐락펴락 할 테고... 부동산 문제 참 해결하기 쉽지 않은 것 같네요.

  • 해당게시글의 보상액중 SBD 전액은 적극적으로 스팀잇을 홍보하시고 T 셔츠까지 착용하시며 오프라인에서도 그 존재감을 널리 알려주시는 @venti님에게 전달됩니다 @venti님 정말 고생이 많으십니다

  • 이렇게 글로써 기부를 약속 드리는것은 글을 끝까지 읽고 보팅을 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조금의 노력이라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Sort:  

Good thought for the world economy now.
This is interesting news from you @gotoperson

지금 포스팅한 것은 대한민국의 부동산 이야기 입니다 :) 한국 커뮤니티에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나는 한국에 관심이 있어요, 한국은 매우 아름다웠다.

나는 당신의 이름을 kr community에서 종종 발견한다.
반갑다.

그는 정말 열심히 꾸준히 부지런히를 보여주는 표준입니다 그래서 저도 그를 좋아합니다 : )

우리 시만 하더라도 말씀처럼 엄청 아파트를 그것도 모잘라서 고층아파트를 짓고 있죠.
주변의 많은 사람들에게 그렇게 충고를 해도 아직까지 부동산에 대한 애착은 많이 남아있더군요.

아마 구관이 명관이라는 생각과, '손에 잡히고 눈에 보이는' 자산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오르고 내리는 등락은 똑같아도 부동산 투자는 ok이고 주식은 no 인 어르신들이
많이 계시잖아요... 그런분들이 다들 코인 시장에 관심을 갖으시는 때는... 언제쯤일까요 ㅎㅎㅎ

그들은 항상 우상향을 외칩시다 지금까지 그래 온것처럼 우상향일것이라 생각을 합니다 이제는 우리 사회의 변화에 주목해야 할 때 입니다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을 떠나서 이미 우리에게 닥친 현실을 말이죠 좋은댓글 감사합니다 :) 즐거운 수요일 되세요

네 변화가 빠른 시기에 현실 파악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gotoperson 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ㅎㅎㅎ

글쎄 말입니다.
자산은 세대별로 따져 보자면 제일 많이 쥐고 계신 세대인데요 ㅎㅎ

우리나라 역사속에서 그 이유를 배웁니다 그리고 나는 그러지 말자를 외치죠
제 주변에는 땅 그자체에 투자를 하지 주택이나 아파트등에는 투자를 전혀 하지 않으시거든요 그나마 고민 한가지를 안해도 되니 다행인거죠 :)

지금은 부동산에서 가상화폐로 부가 이전되는 시기의 바로 전단계라고 생각해요. 이제 부동산 거품이 빠지기라도 하는 시에는 급격한 부의 이전이 일어날것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댓글 감사합니다 :)

13년도에 선대인이 폭락론 말했는데
그 뒤로 폭등하더라고요 ㅋㅋ
앞으로 좀 떨어질까요?
집값이 너무 비싸서 고민이네요

댓글 감사합니다 :)

좋은글감사합니다. 결국 해결안되고 다음세대들이 부담지겠죠~~

그 다음세대들이 우리 아들/딸이라는것이 슬프네요 :(

현실이니까요~~쩝...지금 부동산이익봤다고 좋은것들은 아니겠죠..쩝

정보 감사해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반갑습니다 :)

고생하시는 @venti 님께 기부가 된다니 더 즐거운 마음으로 미약한 보팅을 하게 되네요. ㅋ
세상의 흐름이라는 것이 있긴 하지만, 모든 것에 일방적인 정답은 없다고 생각해요... 부동산 관련으로 이미 문제들이 많지요.
뭐든 어중이떠중이처럼 덤벼들면 뭔가 이루기 힘든 것 같아요.

부동산에 큰 관심은 없지만, 이렇게 포괄적인 이야기들에는 관심을 가지고 보는 편입니다.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우리의 @venti님 이제 더운 여름인데 "팬티" 라도 좋은것 입고다니시라고 기부합니다 :)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고토님 댓글을 모두 읽고 있다가 커피 엎지를 뻔 했습니다.
책임지세요 ^^
@venti님을 @panti 님으로 만드시다니 ㅋ

함정이었는데 아깝습니다 커피 쏟으시라고 한말인데 말입니다 :)
sochul님의 "ㅋ"를 보니 살아계시네요
시간과 여유가 되시면 https://steemit.com/kr/@philipkoon/rfcdw 이곳에 들려보심을 추천드립니다 돈이 없어 죽음을 맞이하는 일만큼 세상에 드러운일이 없더라구요 :)

Coin Marketplace

STEEM 0.20
TRX 0.12
JST 0.029
BTC 60813.09
ETH 3389.90
USDT 1.00
SBD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