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보팅 및 글보상의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

in #coinkorea6 years ago (edited)

안녕하세요, fenrir입니다.

요즘 계속 스팀잇의 보상체계에 대해 들여다 보고 있는데, 오늘은 그 중 ‘업보팅 및 글보상의 가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주제로 삼아 글을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업보팅의 가치가 얼마인지 궁금한 경우에는 스팀나우 업보트 계산기에서 원하는 스팀파워를 입력 후 엔터를 치시면 바로 나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어떤 변수로 인하여 업보팅의 가치가 변동하는지, 그리고 업보팅의 가치 변동이 저자의 최종 보상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함입니다.

읽으시다가 내용 중 틀린 점이 있으면 바로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동일한 스팀파워로 업보팅을 한다고 할 때 업보팅의 가치는 변하는가?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변한다. 동일한 스팀파워로 업보팅을 한다고 해도 그 가치는 Steem의 가격(이하 Steem) 및 Reward Balance(이하 RB), Recent Claim(이하 RC) 이 세 가지 변수의 변동에 따라 변하게 된다.

아래 그림1, 2, 3을 보면(출처: 계산기에서 추출) 동일한 스팀파워로부터 계산되는 업보팅의 가치가 동일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그림이 커서 보기가 어렵고 ㅠㅠ, 뒤에 다시 언급되니 아래 글만 읽고 넘어가도록 하자.

그림1과 그림2를 비교해보면, Steem은 동일, RB는 증가, RC는 감소했고, 업보팅의 가치는 증가하였다.

그림1와 그림3을 비교해보면, Steem은 증가, RB가 감소, RC가 증가했고, 업보팅의 가치는 증가하였다.

[그림1]
IMG_201803130657551.PNG

[그림2]
IMG_201803130657552.PNG

[그림3]
IMG_201803130657550.PNG

  • 세 가지 변수간의 관계

그럼 이 세 가지 변수간에는 무슨 관계가 있는 걸까? 해당 변수들에 의해 업보팅의 가치가 변한다는 건 위 그림에서 확인을 하였으니, 해당 변수들이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개략적으로 생각해보자.

Steem: 당연히 상승할수록 업보팅의 가치가 커질 것 같음.

RB: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스팀잇이 보유하고 있고 제공할 수 있는 스팀 잔고 개념으로 생각하면 될 것 같음. 해당 금액을 전체 파이라고 하면 파이가 더 크면 클수록 많은 금액은 보상해줄 수 있으니, 해당 금액이 클 수록 업보팅의 가치가 커질 것 같음.

RC: 보상을 요구하는 금액 정도가 될 것 같음. 전체 파이가 고정이라면 청구하는 금액이 클수록 나누어 줄 수 있는 금액 자체는 줄어들 것임. 즉, 해당 금액이 클수록 업보팅의 가치는 작아질 것 같음.

일단, 대충 이 정도로 감을 잡고 정확한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아래 표를 보자
(Steem, RB, RC는 모두 위 그림1,2,3에 해당하는 값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12.png

그림1에 대비하여 그림2의 Steem/RB/RC는 각각 0.00%/0.32%/-0.24% 증가하였고, 업보팅의 가치는 0.56% 증가하였다. 그리고 각 Steem/RB/RC의 증가율을 곱하면 0.56%로 실제 업보팅의 가치 증가율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림1과 그림3를 비교한 아래 표도 보자.

13.png

그림1에 대비하여 그림3의 Steem/RB/RC는 각각 12.15%/-0.71%/+0.15% 증가 하였고, 업보팅의 가치는 11.10% 증가하였다. 그리고 각 Steem/RB/RC의 증가율을 곱하면 11.18%로 실제 업보팅의 가치 증가율과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그림1과 그림2를 비교 시에는 스팀나우 금액으로부터 계산한 증가율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동일한데 반해, 그림1과 그림3을 비교했을 때는 0.08%p 만큼 차이가 난다. 사실 이 차이는 Steem의 가격이 소숫점 둘째자리까지 밖에 표현이 안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한 라운딩 문제이지 않을 까 싶다.

업보팅의 가치를 계산할 수 있는 정확한 산출식을 알면 가장 좋을텐데, 검색 및 컴맹의 한계로 포기하였다. 혹 정확한 산출식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다.

비록 세 가지 예시만을 통해 산출된 논리이지만, 업보팅의 가치는

Steem 및 RB와 정비례, RC와 반비례의 관계

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업보팅의 가치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는 대략 아래와 같은 업보팅 가치 산정식을 산출할 수 있다.

업보팅의 가치 = Steem Power * Steem * RB / RC / 대략 24.458

실제 RC의 단위는 빌리언이나 어차피 우리는 빌리언 단위로 표시된 RC를 보게 될 것이므로 굳이 단위를 따지지 않았다.

위 공식이 맞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그림 1,2,3의 세 가지 변수를 산정식에 대입하면, 스팀나우 계산기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업보팅 가치 금액과 매우 비슷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림 1 = 10,000,000 * 2.47 * 713,749 / 435,656,188 / 24.458 = 1,654.54(스팀나우 값 1,654.54)

그림 2 = 10,000,000 * 2.47 * 716,007 / 434,600,361 / 24.458 = 1,663.81(스팀나우 값 1,663.77)

그림 3 = 10,000,000 * 2.77 * 708,691 / 436,307,897 / 24.458 = 1,839.60(스팀나우 값 1,838.24)

사실 대략 24.458로 되어 있는 금액은 상수가 아닐 수도 있다. 하지만 그 변동폭이 크지 않다면 업보팅의 가치를 계산하는 데 있어서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 내 글 보상의 가치

지금까지 업보팅의 정확한 가치에 대해 알아 보았으니, 이번에는 그것을 바탕으로 글 보상의 정확한 가치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자.

지난 글 스팀 대비 스팀달러의 상대적 약세는 지속될 것인가?을 보면 만약 $1의 보상이 찍혔다면, 보상 시점에서 Steem의 가격은 관계가 없다고 말하였다. 왜냐하면 Steem은 $0.375에 해당하는 만큼을 받았기 때문이다.

사실 이 말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

왜냐하면 이 보상을 동일한 스팀파워를 보유한 사람이 제공하였다고 할 때, Steem의 가격이 달라졌다면 $1라는 보상액 자체가 달라졌기 때문이다. 위에서 봤듯이 Steem의 가격에 따라 업보팅의 가치(표시되는 보상액)가 변하기 때문이다.

아래 그림 4와 5를 보도록 하자.

(그림4는 그림1에서 보여지는 업보팅의 가치를 이용하게 계산하였고, 그림 5는 그림 3에서 보여지는 업보팅의 가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스팀파워는 동일하게 10,000, SDB는 2.47을 가정하여 산출하였다.)

[그림4]
4.png

[그림5]
5.png

그림 4와 그림 5를 비교해보면 내 글 보상액의 가치 증가율 11.10%(2.39/2.15-1)는 표시되는 보상액(업보팅의 가치) 증가율 11.10%(1.84/1.65-1)와 동일하다.

뒤에서 말하겠지만 이는 거의 Steem의 가격증가율12.14%(2.77/2.47-1)에 기인한다.

표시되는 보상액(업보트의 가치)가 커졌으니 내 글 보상액의 가치도 비례해서 늘어야 함을 생각할 때 당연한 얘기이다. 이제 당연한 걸 하나씩 풀어서 보도록 하자

우리는 위 표에서 글 보상액의 가치는 아래와 같음을 알 수 있으며,

표시되는 보상액(업보팅의 가치) * 0.375 * (SDB +1)

위의 업보팅의 가치 산정식을 대입하면 최종적으로 글 보상액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 Steem Power * Steem * RB / RC / 대략 24.458 ] * 0.375 * (SDB+1)

즉, 글 보상의 가치는

  1. 스팀파워가 많을수록,

  2. Steem의 가격이 비쌀수록,

  3. SDB의 가격이 비쌀수록,

  4. 스팀잇이 보유하고 있는 잔고가 많을수록,

  5. 청구하는 금액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 결론

이 글은 Steem 및 SDB의 가격이 글 보상의 가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기 위해 작성하였고, RB와 RC, 스팀파워가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

글 보상의 가치는 Steem * (SDB+1) 만큼 변동한다

글 보상의 가치는 위 두 가지 가격 변수에 동시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Steem과 SDB 가격이 동반 상승할 때는 글 보상의 가치는 더 크게 올라 우리를 기쁘게 하고, 동반 하락 시에는 더 크게 하락하여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이다.

참고로 원래 백서대로 SDB의 가격이 1달러로 고정이라면 위 식은 Steem * 2 가 되어, Steem의 가격만이 보상의 가치를 결정할 것이다.

이상입니다.

오늘도 열심히 적기는 했는데 도움이 되셨을까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Sort:  

헐..
관심은 엄청 많은 주제인데,
너무 어렵네요.

그냥 열심히 보팅하는 수 밖에.. ㅠㅠ

ㅎㅎ 찬찬히 보시면 안 어렵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쉽지않네요. 열심 읽어볼께요.

다들 어려워 하셔서 눙물이 ㅠㅠㅠㅠ

이렇게 적용되는구나~ 하고 느낌만 배웠네요.
몇 번 더 읽어봐야겠습니다.
좋은 포스팅 감사합니다~!!

다들 어렵다고 하셔서 좌절 모드입니다 ㅠㅠ 결론만 보셔도 무방합니다만 ㅎㅎ 그래도 열심히 작성한 글이니 한 번만 더 읽어주세오. 감사합니다

뭔가 복잡한것이 눈앞에 아른 아른....
어질어질

흑, 죄송합니다. 정 어질어질하시면 결론만 봐주세요 ㅠㅠ

감사합니다

수식나오면 머리가ᆢᆢ
ㅠㅠ

ㅠㅠㅠㅠ

궁금했던 내용인데, 조금은 궁금증이 해소되었네요.ㅎㅎ
스팀잇 유저가 늘어날 수록 나눠 갖는 보상이 줄어든다는 말이 이해되었습니다.
(팔로우 하고 갑니다.)

도움이 되셔다니 다행입니다. 유저가 늘어나면 보상이 준다는 것 보단 그 유저들이 업보팅을 통해 Reward claim을 증가시키면 보상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지나친 셀프보팅 및 각종 어뷰징이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줄 수 있는 파이는 한정적인데 자꾸 올바르지 않은 방법으로 갉아 먹는거죠

정신이 아득해지네요
이런거 보면 스팀 만든사람은 머리가 좋은거 같아요 ㅎㅎ

정말 대박입니다. 근데 스달 가격이 1달러가 아님으로 인해 만든 사람의 의도와는 많이 다른 방향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감사하네요. 정확히 이해하려면 계속 비교해가면서 봐야 할듯합니다.

도움이 되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_^

음..... 리스팀하고 계속 봐야겠네요 ㅎ 어려워요

리스팀 감사 드립니다. ㅎㅎ 한 번만 더 보시면 바로 이해가 거실 겁니다.

어렵네요. 현기증이 ㅎ 몇 번 더 읽어봐야겠어요 ㅋㅋ

글을 쉽게 쓰는 재주가 없어서 죄송합니다. ㅠㅠ 한 번만 더 읽어 보시면 이해가 가실껍니다 ㅎㅎ

아니에요. 이해하시는 분들 많은 거 보면 제가 무식해서 그런거에요. ㅠㅠ하실 필요 전혀 없으세요!! ^_^

이렇게 계산을 해보시고 대단합니다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니 고생해서 적은 보람이 있네요. 감사합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30
TRX 0.12
JST 0.033
BTC 64386.10
ETH 3142.17
USDT 1.00
SBD 3.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