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이더리움? ICON의 ICX토큰의 가격은 얼마가 될까? (2/2)steemCreated with Sketch.

in #coinkorea7 years ago (edited)

글쓰기에 앞서

사실 본 글을 통해 ICON에서 사용하는 ICX 토큰의 가격이 얼마가 될지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다만 ICX가 얼마나 활발하게 사용되게 되고, 그게 다른 경쟁 플랫폼 대비 어떠한 수준일지 가늠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전 글들을 읽지 않으신분은 읽고 오시면 이해하시는데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한국판 이더리움? 곧 ICO를 진행하는 ICON 요약 및 의문점
윗 글에 대한 ICON 팀의 답변
한국판 이더리움? ICON의 ICX토큰의 가격은 얼마가 될까? (1/2)

본 글은 ICON 의 ICX토큰 세일에 대한 참여 촉진 또는 저해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은 본인이 직접 해야하고, 그에 따른 책임 또한 본인의 몫입니다.

ICON 프로젝트의 모델

제일 먼저 ICON이 다루고자 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더루프 (ICON 프로젝트의 모태가 되는 루프체인의 개발사)의 블로그에 잘 나와 있어 그 내용으로 대신하겠 습니다.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같은 누구나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하나의 기관에서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
컨소시움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여러 기관들이 컨소시움을 이뤄 구성하는 블록체인, 허가된 기관만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예를들면 삼성전자 사내에서만 사용할 목적으로 만든 블록체인이고, 컨소시움 블록체인은 루프체인으로 모인 25개 증권사 연합이 사용하는 공용 시스템 같은 것이 되겠네요.
ICON백서에서는 프라이빗과 컨소시움을 그냥 퉁쳐 프라이빗이라고 부르는 것 같습니다. 개념상으로도 퍼블릭체인이 아닌 블록체인을 프라이빗이라고 하는데에 문제가 없어보이고, 이후의 논의도 퉁쳐서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진행하겠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장점은 위와 같다고 합니다. 이렇게 장점이 많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인데 단점도 있을까요?
당연하게도 외부와 연결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겠습니다.

"연결은 하면 되는거잖아?"라고 생각하시는 분도 계실 것 같습니다.
ICON이 바로 그 연결을 하고자 나온 프로젝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결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 연결

지난 글에 ICON팀이 주신 답변에 따르면 "ICON은 시작은 loopchain으로 구성된 블록체인 커뮤니티간의 연결을 요청하는 요구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어떤 사례가 있을 수 있을까요? 이미 루프체인을 도입한 사례들을 기반으로 생각해보면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를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 의료기관 연합의 블록체인과 보험사 연합의 블록체인이 연결된다면 어떨까요? 사용자가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나면, 그 정보가 보험사 블록체인에 자동으로 전송되고 별도의 검증절차("의료기관이 바로 준거니까 믿어도 되겠군") 없이 보험사에서 사용자에게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험금을 지불할 수 있겠죠.
  • 의료기관에서 축적한 사용자 의료정보를 증권사의 인공지능 투자플랫폼에 판매하면 어떤일이 일어날까요? 의료장비와 신약들의 효과, 성공율, 백신의 수요 트렌드 등을 분석하여 의료관련 투자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발굴해내기 시작할지도 모릅니다.

그냥 상상해본 내용이니 너무 깊이 들어가진 말고, 생각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간 연결이라는게 필요할 수도 있겠구나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퍼블릭 체인의 연결

ICON은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이더리움을 연결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발생가능한 시나리오가 훨씬 많습니다.

  • 예를들어 이더리움 기반으로 블록체인을 운영중이던 해외 금융사와 블록체인을 연결하여 국내외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호제공할수도 있겠네요.
  • 단순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해외 증권사간 송금기능같은것도 블록체인 내에서 구현할수도 있겠습니다.

이 밖에도 상상도 못할 여러가지 용도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ICX 토큰의 가치 모델

ICX의 가치모델은 이더리움의 이더와 거의 흡사하게 두가지 측면을 보면 됩니다.

  • 거래의 매개체
    예시) 병원연합이 의료정보를 증권사에 판 댓가로 사용자에게는 ICX지급
  • 거래 수수료
    예시) 위 거래를 할 때 거래의 검증에 발생하는 컴퓨팅비용과 불필요한 거래발생에 대한 방지 목적으로 일정 수수료를 시스템에 지불

ICX 토큰의 실질 가치는 어떻게 결정될까?

이전 글에서 말씀드렸듯이 공급량은 제한이 되어있으므로 ICX가 많이 필요해지는 상황이 오면 가격이 오르게 됩니다.
증권사가 의료기관에서 의료정보를 사오고 싶다면? ICX를 사야만 합니다. ICON내에서 화폐로 쓰이기 때문이죠. 물론 이더를 사서 ICON이 제공하는 DEX를 통해 ICX로 교환해도 무방합니다. 여전히 ICX의 수요는 증가하게 됩니다.

결국 제가 위에서 말씀드린 시나리오들이 더 '다양하고' 그 거래량이 '많을'수록 ICX의 가격은 오른다는 뜻입니다.

"와 그럼 루프체인은 국내에서 25개증권사 및 금융투자협회, 탑티어 생명보험사, 대부분의 국내 주요병원, 국내 주요대학이 이미 참여하고 있고, ICON이 출시되면 이들이 연결될테니 ICX가격 엄청 오르나요?"

답은 YES 일수도, NO 일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세 가지 논점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1. ICON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수 측면에서 루프체인은 분명 우위가 있습니다. 또 루프체인을 오픈소스화 하는 만큼 국내에서 더욱 더 많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루프체인상에서 돌아가고, 자연스럽게 ICON내에 편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전적으로 루프체인의 기술력과 영업력에 달려있겠네요.

  2. 하지만 ICON에 연결된 프라이빗 블록체인들의 블록체인간 거래모델 개발은 또 다른 문제입니다. 루프체인이 대박이 나서, 국내 대부분 기관(또는 그 연합)들이 루프체인을 쓰게되었다고 하여 ICX가격 상승이 보장되는 것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그들이 타 블록체인이나 퍼블릭블록체인과의 연결을 갈망하고 실제로 그러한 거래모델을 만들었을 때만 그것이 ICX 가격상승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3. 마지막으로 ICON은 최초의 블록체인 연결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이미 폴카닷, 코스모스, ARK 등이 블록체인간 연결을 주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고 어느정도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이 먼저 우위를 점하고 네트워크 효과(네트워크 내에 노드가 많아질수록 그 효과가 강력해지는 것)를 선점하면 어떻게 될까요? 루프체인 블록체인이라고 하여도 ICON이 아니라 다른 플랫폼을 주로 이용해서 다른 블록체인과 거래를 하게 되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예를들어 MS사의 윈도우즈(루프체인)가 지배적인 OS이고, 익스플로러(ICON)을 기본으로 제공하지만 그거 안쓰고 크롬브라우저 깔아서 쓰면 익스플로러 사용율은 낮을 수도 있겠지요.
    이 경우에는 블록체인 간 거래를 아무리 많이해도 ICX 가격상승에 별로 보탬이 안될 수 있겠습니다.

ICON팀은 당연히 이러한 가능성들을 잘 알고 있고, 그에 대한 대비도 하고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거래모델 자체는 해외 사례들이 충분히 생기면, 국내 프라이빗 블록체인들이 도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보면 걱정할 부분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루프체인 프라이빗 블록체인들의 ICON 사용 유인은 무엇이 될까요?
ICON 팀의 영업력과 ICON 의 기술력 (진검승부?) 뿐만 아니라 어떤 다른 장치가 있을 수 있을까요?

저는 ICX 토큰 배분 모델과 그에 따른 동기부여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루프체인 기반 각 프라이빗 블록체인들에게 규모에 따라 ICX를 대략 백만개씩 나누어 주었다고 합시다. ICO기준 가격으로 계산하면(현재 1이더 시가 30만원으로 대략계산) 1억 2천만원인데, 각 프라이빗 블록체인들이 이걸 바로 현금화하지는 않겠죠. 나중에 사용하게 될수도 있으니 어느정도 보유를 하게 될텐데, 이는 ICON 활성화에 대한 큰 동기로서 작용합니다. 본인들이 거래사업모델을 열심히 만들고 그 거래를 다른 네트워크말고 ICON에서 하면, 초기 거래수수료를 위한 토큰을 따로 구매하지 않아도 되니 비용측면에서 이득이고 장기적으로도 ICX가격이 오르게 되면추가적인 자산증식효과가 있습니다.

현재 초기단계에서 루프체인 블록체인들에게 ICX를 분배한다는 내용은 찾아보기는 어렵습니다만, 백서에 보면 ICON에 참여하는 모든 노드들에게 네트워크 활성화를 기준으로 ICX 인플레이션 분을 할당한다는 내용이 있기는 하여, 위의 동기부여 모델이 빠르든 늦든 동작하긴 할 것으로 봅니다.

결론

외부인의 시선에서 최대한 생각의 틀을 제시해보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실제로 판단은 각 투자자분들이 ICON 팀에 이것저것 물어보고, 직접 수집한 정보를 종합하여 내려야 하겠습니다.

ICON은 다른 프로젝트 보다 그 가격의 향방을 읽기가 더 어려운 프로젝트라고 생각합니다.
저변기술이 되는 루프체인의 성공과 ICX의 상관관계가 딱 떨어지게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ICON 프로젝트 성공과 ICX 가격 상승을 위해서는 루프체인 저변 확대 뿐 아니라 참여주체의 동기를 자극할 경제적 미끼를 아주 잘 구성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내팀이 진행하는 몇 안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잘 되었으면 좋겠고, 이론적으로는 굉장히 커질 수 있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잘 발전시켜 해외 블록체인들도 자발적으로 도입하는 등 널리 퍼져나가면 좋겠습니다.

혹시 제가 잘못알고 작성한 내용이 있다면 ICON팀 또는 누구든지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잘못된 내용이 유포되지 않도록 바로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Sort:  

Cheer Up!

  • from Clean STEEM activity supporter

텔레그램 방에 아래와 같은 질문이 있어서 댓글을 통해 부연설명을 하겠습니다.

이부분이 핵심인거 같은데, 설명이 부족한 아쉬운 점이 있네요.

  1. 한번의 스마트컨트랙이 어느정도의 icon 코인을 사용하고, 가정을 통해 향후 몇개의 기관이 참여하고 몇번의 컨트랙 발생시 소모되는 갯수와
  2. 과연 그 회사들이 공개된 시장에서 코인을 매집할 것인지
  3. 매집한다면, 어느 거래소를 통해서 매집을 하게될 것 같은지
    등이 있으면 좋을 듯 합니다.

실질가치 말고 일반적 가격형성에 대한 부분은 1편을 보시면 더 이해하시기 좋을 것 같습니다.

  1. 거래 내용과 ICX시세에 따라 다릅니다. 단순하 거래내용 공유하는 정도면 매우 쌀거고, 에셋자체를 보내면 커지겠죠. ICX가 100만원이면 100만원짜리 거래에 1개만 필요하고, 10만원이면 10개가 필요하겠죠.
  2. 이 부분은 저도 매우 궁금한데 확인이 불가능하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회사들에 초기에 토큰지급하는 것도 괜찮은 아이디어라 생각하여 본문에도 그렇게 적었습니다.
  3. 거래소 상장에 대한부분은 1편에서 다루었는데 단기적인 호재이지 장기적인 실질가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자체 DEX도 있을 것이기에 이더리움만 사도 ICX로 이미 교환이 가능하구요, 어느 거래소를 사용하든 가격은 연동되어 움직이기 때문에 특정거래소와 장기 가격형성은 무관합니다.

Congratulations @dev1by0! You have completed some achievement on Steemit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Award for the number of upvotes

Click on any badge to view your own Board of Honor on SteemitBoard.
For more information about SteemitBoard, click here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By upvoting this notification, you can help all Steemit users. Learn how here!

올려주신 글들 잘보았습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개인적으로 괜찬아보이는 ico 입니다. 팀도 괜찬아보이고 장기적으로 주목해볼만한것 같습니다.

하지만 "병원에서 지급받은 코인을 사용하여 다른 Community에서 결제 및 환전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의 가장 큰 의문을 가지게 되는 부분입니다.
이부분에 대한 설명을 백서를 봐도 안나와있는것 같은데 제가 못찾은것이면 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어떻게??? 그리고 된다면 수수료문제는 어떻게 할것인가라는 점인데 ?
만약 수수료를 사용자에게 부과하게 되다면 누가 저걸 할것인라는 의문과 수수료가 무료라고 해도 어떻게 해당코인들간의 가치를 정해서 교환해줄것인가 등등 굉장히 많은 문제들이 있을것 같은데 이부분에 대해 설명이 없어보입니다. 만약 ICON팀이 본다면 답변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Coin Marketplace

STEEM 0.27
TRX 0.11
JST 0.030
BTC 67653.09
ETH 3789.60
USDT 1.00
SBD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