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통합사전 DBTS 표제어] #Dīpavaṃsa

in KR.BUDDHISM4 years ago

Dīpavaṃsa는 초반부에서 인도불교의 역사를 서술한 후, 9章부터는 스리랑카史를 다루고 있다. 그 주요 내용으로는 3번에 걸친 붓다의 스리랑카 방문, 인도와 스리랑카의 왕족계보, 3차에 걸친 결집들과 2차 결집 이후 부파의 발생, 아소까의 업적, 위자야와 그 후손들의 스리랑카 개척, 데와낭삐야띳사 통치기에 마힌다와 상가밋따의 불교전파, 이후 둣타가마니, 왓타가마니, 마하세나를 중심으로 한 왕들에 대한 서술 등을 들 수 있다.

스리랑카의 역사는 위자야(Vijaya)가 700명의 신하들을 이끌고 정착하여 왕이 된 BCE 543년부터 시작된다. 위자야는 벵갈(Bengal)의 랄라(Lala)지역에 있던 싱하뿌라(Sinhapura)의 왕 싱하바후(Sinhabahu)의 아들이었다. 그는 700명의 범죄자들과 함께 자국에서 추방당하여 여러 지방을 떠돌던 끝에 스리랑카에 도착한 후, 당시 스리랑카의 통치자였던 약카(Yakkha)족의 여왕 꾸웨니(Kuveni)과 결혼하여 자연스럽게 정착민이 되었다고 한다. 이후 위자야는 스스로를 싱하라(Sinharā, 사자) 혹은 싱할라(Sinhalā, 전사)로 불렀다고 한다. (Jinaratana(1948) pp.8-9)

프라우발너(E. Frauwallner)는 네 가지 주제 - 1붓다의 스리랑카 방문 2왕조 31차 결집이후 불교승단의 역사(스리랑카 승려들의 이름도 언급) 4위자야(Vijaya)의 모험부터 마하세나왕의 통치기까지를 다루는 스리랑카역사 - 로 Dīpavaṃsa를 정리했다. (Hinüber(1996), p.90.)

Kim (2012) "A Study on the Theravāda Authority: Comparative Study of Dīpavaṃsa and Mahāvaṃsa" pp. 312. source_불교통합사전DBTS


#cheerup myanmar


Coin Marketplace

STEEM 0.13
TRX 0.34
JST 0.034
BTC 115592.17
ETH 4497.72
SBD 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