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성기관 -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 센터장 (1/2)

in #zzan5 years ago

“부산에 신발기업이 돌아온다. 제 2의 신발산업 중흥기를 대비해야 한다.” 근래 이런 뉴스를 심심치 않게 접한다. 지금 부산은 신발산업을 새롭게 도약시키기 위해 모두가 팔을 걷어 부치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부산경제진흥원 신발산업진흥센터의 역할은 크다. 동센터의 성기관 센터장을 만나 신발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들어본다.


  • 신발산업에서 봉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데 많은 부분이 해외로 이전하여 국내에서는 보기 힘든 공정이 되었다. 신발에 있어서 봉제의 비중은?

근래 노소잉(No sewing) 신발 바람이 불기는 했지만 견고함이나 디자인 측면에서는 봉제의 장점도 많다. 노소잉 제품이라 해도 봉제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경우는 드물고 내구성이 더 필요한 부위, 즉 구목과 같은 부위에는 반드시 봉제가 필요하다. 결국 봉제는 신발 제조에 있어서 필수 공정으로 계속 남아 있을 것으로 본다. 요즘은 컴퓨터 재봉기 등 자동화 장비가 많이 개발되어 이 공정을 더욱 쉽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 신발 봉제에는 과거보다 자동화된 재봉기와 주변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인력 비중이 현저히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생산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 따른 문제점은 없나?

신발 공장을 떠올리면 재봉기로 꽉 들어찬 현장을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컴퓨터 재봉기 라인에서 봉제된 패턴을 제조라인에서 완성하기까지 자동화가 잘 발달된 시설이 많다. 재봉기뿐만 아니라 각종 주변기기도 자동화가 진행되어 과거 신발공장 모습과는 많이 달라졌다. 신발은 접착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예전에는 용액형의 접착제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핫멜트 즉 열을 가하면 접착되는 이면 접착식 방식도 도입되고 있다. 컴퓨터화된 자동 봉제가 이뤄지고 핫멜트에 의한 이면접착 방식이 도입되면서 인력 비중은 더욱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자동화된 시설과 신기술이 도입되어도 신발 생산에 있어서 인력 의존도를 완전히 없앨 수는 없다. 당면한 우리의 내부 문제가 바로 이런 신발봉제를 하는 사람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신발봉제를 하지 않으니 이런 인력들은 자연 도태될 수밖에 없다. 봉제는 해외공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국내에서 제조(갑피와 밑창을 서로 붙여서 최종 완성하는 공정)만 하기 때문에 신발 전공정에 관한 생산 기술 보유를 점점 어렵게 하고 있다. 신발 제조원가 중에서 봉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높기 때문에 해외생산은 어쩔 수 없지만 최소한의 생산기반만이라도 살려놓아야 한다. 해외봉제는 리드타임도 길어 국내 시장에 대한 대응력도 낮고 경쟁력도 취약하다. 바로 디자인해서 바로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내에도 신발 봉제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설은 유지되어야 한다.

  • 신발봉제를 전적으로 해외생산에 의존하게 된 것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명맥이 끊길 기로에 있는데 방법은 없나?

요즘 업계에서 이슈로 떠오른 것이 할당제 도입이다. 일부 품목에 한해서 전공정을 국내에서 할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신발 산업에 있어 필수 공정이 점점 사라지고 인력도 고갈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방법을 써서라도 명맥은 유지시켜야한다는 절박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뭔가 확실한 근거와 논리를 가지고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래서 논의되고 있는 것이 국방에 관련된 군화와 국민 산업 안전에 관련된 안전화 분야이다. 이 품목만이라도 전공정을 국내에서 생산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군수품인 군화는 현재 봉제를 해외에서 하고 국내에서 갑피와 밑창을 붙이는 제조만 이뤄지고 있다. 우리 군이 사용하는 군화를 외국에서 생산하는 것이 옳으냐는 의견도 많다. 안전화 역시 국민의 산업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전공정 국내 생산이 맞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해외에 투자한 국내 기업의 공장에서 생산되는 것인데 단순히 해외생산으로 치부해야 하느냐는 의견도 있다. 여러 의견이 있지만 이들 두 품목만이라도 100% 국내에서 전공정이 이뤄진다면 최소한의 국내 제조기반은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신발 뿐만 아니라 섬유업계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최근 국내 유명 의류업체인 H사의 C 회장이 판매 제품 중 최소 20%는 국내 제조를 하겠다고 선언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 업체의 경우처럼 최소한 물량을 국내 생산으로 할당한다면 국내 제조업은 사라지지 않는다. 군수품이나 관급 납품 제품이 아닌 일반 사기업 제품의 국내 생산 할당제는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주어야 하는 것으로 법으로는 절대 강제할 수 없다. 쿼터제나 기타 법률적 강제는 WTO나 FTA 등의 협정에 위배된다.

  • 국내 생산 기반 유지를 위해서 이윤 창출이 목적인 기업의 선의에만 목을 맬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이는데…

요즘 판매율 고공행진을 벌이는 F사의 신발은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고 있다. 경영적인 측면에서는 찬사 일색이다. F사의 신발은 경쟁사들이 백화점에서 10만 원대에 팔 때 6만9천원으로 책정해 내놓았다. 소비자들은 거품 뺀 가격이라고 좋아했고 지갑도 열었다. 결과적으로 높은 판매고를 올려 높은 이익을 창출했다. 그러나 신발 제조업계에서는 칭찬보다는 볼멘 목소리가 더 많다. F사가 제조과정에서 거품을 걷어내기 위해 오더를 놓고 가격 응찰제를 도입해 경쟁을 유도한 결과, 제조원가를 대폭 낮출 수 있었다. 가격 응찰제 도입 전 이 제품의 제조원가가 2만8천 원에서 2만9천 원 가량이었다. 그러나 비딩 과정에서 1만3천 원대까지 떨어졌다. 국내 제조가 도저히 불가능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협력업체들이 울며 겨자 먹기로 생산하고 있다. 경제논리를 적용해 국내 제조원가에 맞지 않으면 포기하면 되지 않느냐고 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무라는 관점에서는 이건 아니지 않냐는 뒷소리도 많다.

(2편으로 이어집니다)

Sort:  

Thank you for your continued support towards JJM. For each 1000 JJM you are holding, you can get an additional 1% of upvote. 10,000JJM would give you a 11% daily voting from the 700K SP virus707 account.

Congratulations @bongje! You have completed the following achievement on the Steem blockchain and have been rewarded with new badge(s) :

You published a post every day of the week

You can view your badges on your Steem Board and compare to others on the Steem Ranking
If you no longer want to receive notifications, reply to this comment with the word STOP

To support your work, I also upvoted your post!

Vote for @Steemitboard as a witness to get one more award and increased upvotes!

Coin Marketplace

STEEM 0.19
TRX 0.14
JST 0.030
BTC 63196.13
ETH 3385.94
USDT 1.00
SBD 2.45